1 / 14

Safeguard Clauses I : Emergency protection and Anti-dumping duties

Safeguard Clauses I : Emergency protection and Anti-dumping duties. - 거의 모든 무역협정은 “ 긴급수입제한 규정 (safeguards clauses )* ” 을 두고 있음 . * 특별히 정해진 환경하에서 정부로 하여금 가 장 중요한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협정의 정 상적인 의무를 철회 또는 비적용하도록 허용 한 무역협정의 조항들 o 보험 (insurance) 작용 또는 안전판 (safety

Download Presentation

Safeguard Clauses I : Emergency protection and Anti-dumping dutie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afeguard Clauses I :Emergency protection and Anti-dumping duties

  2. - 거의 모든 무역협정은 “긴급수입제한 규정 (safeguards clauses)*”을 두고 있음. * 특별히 정해진 환경하에서 정부로 하여금 가 장 중요한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협정의 정 상적인 의무를 철회 또는 비적용하도록 허용 한 무역협정의 조항들 o 보험(insurance)작용 또는 안전판(safety valve) 역할을 함 o GATT의 경우 동 규정들은 크게 나눠 1. 특정 한 환경에서 일시적인 수입장벽 증가를 합법 화하는 것들과 2. 일반의무의 영구적으로 제외 를 허용하는 것들로 나뉘어짐.

  3. 1. 특정한 환경에서 일시적인 수입장벽 증가를 합법화하는 조치들 (1) 불공정무역 관행의 교정(trade remedy) 조치들 (가) Anti-dumping duty (ADD) : 6조 (나) Countervailing duty (CVD) : 6조 (2) 불공정 관련없이 적용되는 조치들 (가) Balance of payments protection : 12, 18조 (나) Infant industry protection : 18a, 18c조 (다) Emergency protection : 19조 (라) General waivers : 25조 (회원국 3/4의 찬성으로 양허 철회) 2. 일반의무의 영구적으로 제외 조치들 (가) General exceptions : 미풍양속, 건강, 자연자원 보호 를 위한 조치들, 20조 (나) National security : 국가안보차원 조치, 21조 (다) Tariff renegotiation : 보상제공후 특정관세 양허조치 철회 허용, 28조

  4. 초기 GATT의 취지는 무역자유화 이후 수입품과의 경쟁에 적응하기 힘든 산업의 일시적 보호를 위해서는 19조를 이용하라는 것이었음. o 미국의 요구로 AD, CVD가 도입되고, 선진국들은 발동이 매우 제한적인 19조 대신 이들을 주로 이용함-> 더 나아가 VER 사용 발동 건수(1980-1986년간) GATT 19조 GATT 6조(AD) • EU 10 213 • 미국 5 195 - 각국 정부는 특정국을 면제하거나 보상회피를 위해서 19조 이외의 다른 수단 선호 - 개도국들은 거의 양허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GATT 18조 대신 QRs 사용 선호 - Safeguard 조치들은 소비자로 부터 수입경쟁산업으로 소득재분배 o 대부분의 경우 소비자피해 > 생산자 이익, -> 비효율적이며 rent- seeking activity 만연 가능 o 여러 조치들은 합법적이지만 세계무역체제의 문제점 노정 o 필요하면 허용되어져야 하나, 너무 많은 예외가 허용된다는 문제

  5. 가. Emergency protection : 19조 - GATT의 일반적인 도피조항(escape clause)임. - 수입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본 국내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긴급수입관세 부과 가능 - 양허에 대한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무역자유화를 촉진하려는 목적 - 발동요건 수입증가, 수입증가가 예측 못된 사실임, 수입증가가MTN에서 협상된 무역자유화의 결과임, 국내생산자에게심대한 피해를 입혔거나 입힐 우려가 있음, 인과관계 입증. - 원칙적으로 일시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나 공식적인 시간제한은 없으며 실제로 몇 년씩 지속된 경우도 있음. - 1994년까지 단지 150건의 공식적인 발동 기록 o 초기에는 보상도 제공되었으나 그 후에는 무시 o 비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하고 보상의무 있음. - AD나 CVD 등 다른 조치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19조를 각국이 비차별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QRs를 선호했고, 보상을 싫어했기 때문임. - AD이외에도 VER이 많이 사용 o 시행국은 편리, 대상국은 관세 납부대신 가격상승 이익, 그리고 AD보다 낫기 때문에 불평 못함.

  6. UR시 target countries는 AD, VER의 사용을 억제하고 19조에 의존 하도록 유도 -> AD규범 강화 및 19조 사용의 불편함 완화 노력 - UR의 Agreement on Safeguards o 가장 큰 진전은 VER 및 유사 수출입 제한 조치 금지임. o 기존 조치들은 폐지 또는 규범 합치화 o 심각한 피해 입증 필요 o QRs이 쓰이게 되면 지난 3년간 평균 이하로는 안되며 4년 이상 지속 못함. o 특정 수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비율보다 더 높게 증가하면 차별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음. 한편, 상호합의에 의한다면 수출국에 의한 QRs 가능(VER 가능) o 3년 동안은 보상이 필요없고, 8년 이상은 지속할 수 없고(sunset clause) 또한 체감적이어야 함. o 원칙적으로 4년을 초과할 수 없음. o 개도국의 특정 시장 점유율이 3% 미만이고 이런 점유율의 합이 전세계적으로 9% 미만이면 이들은 조치에서 면제됨.-de minimis rule o 현실 인정하에서 WTO 규범화 o 그러나 injury test를 시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발동하기 어려움 -> AD 선호 가능성

  7. 나. Anti-dumping duties - dumping은 정상가(normal value)보다 낮은 가격으로 수출하는 행위를 의미함. o 정상가는 일반적으로 수출국 국내시장에서 동종제품의 정상적인 (ordinary) 거래에서* 유사한(comparable) 판매시** 매겨지는 가격을 의미함. * 일정기간 이상 평균생산비 이하의 거래는 배제(보통 기업내 할인판매) ** 도매, 소매가격 구분 적용 o 유사하고 정상적인 거래를 수출국내에서 찾기 어려우면 제3시장 최고가격, 또는 구성가격(constructed value)*으로 결정 * 생산비+정상적인 이윤의 합을 계산 - 전통적으로 미, 호, 캐, EU 등이 주로 이용. 최근에는 개도국들도 활용 o 주로 개도국들이 대상 o 다자간 협상에서는 Kennedy R. 때부터 논의 되었으나 미국의 반대로 code로만 존재하다가 UR시 “Agreement on Implementation of Article VI”합의. • GATT 제6조 규범하에서는dumping이 국내산업에 실질적 피해(material injury)를 입히거나 입힐 우려가 있는 경우 AD 조치 가능 o 국내 수입경쟁기업들의 제소에 의거 정부가 객관적인 증거 조사 필요 o 덤핑에 의한 수입급증과 국내 산업피해 인과관계 입증이 필요요건임. o 따라서 dumping margin*의 계산이 중요함 * 덤핑마진=(정상가-수출가)/수출가 : 기업마다 다를 수 밖에 없음

  8. Dumping Margin의 계산 예 o 어떤 한국기업이 한국산 가격은 $199인 양복을 중국에서 수입하여 $165에 판매하려 하는 경우($34만큼 저렴) o 소매이윤, 운송비 및 관세 등 총 $65을 빼면 실제 수출가는 $100가 됨. o 중국내에서 동 양복이 $142에 소매점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17의 추정 소매마진을 빼면 수출국 국내시장가격(정상가)은 142-17 = $105가 됨 -> dumping margin=(105-100)/100=5% o 그러나 추후에 정상가 판정시 $15의 국내운송비를 빠뜨린 사실을 발견했다면 정상가는 142-17-15=$90가 되고 dumping margin= (90-100)/100=-10% -> 덤핑 무혐의 o 그러나 다시 중국 양복생산기업의 평균생산비+8%정상이윤을 계산했더니 정상가가 $115로 계산되었다면 dumping margin=(115-100)/100=15% -> 덤핑! - 덤핑판정 이후 수입국 정부는 덤핑수입품으로 인해 국내산업이 실질적 피해(material injury)를 입었는지를 판정해야 함. o 피해(injury)는 시장점유율, 이윤, 고용 하락 정도 등으로 판단됨. - 피해 판정 결과, 부정적(negative)이라면 미리 예치했던 반덤핑 관세(미리 예치를 명령했다면!)를 이자와 함께 반환해야 함.

  9. - dumping은 이윤극대화 동기에 따른 국제적 가격차별로 경제학적 관점에서는 자연스러운 것이며, 문제는 AD라고 볼 수 있음. o dumping은 GATT에 의해서 금지된 것은 아니며, GATT에 규정된 것은 dumping을 상쇄하려는 정부가 지켜야 할 것들임. o AD 찬성론자들의 주장은 암묵적으로 국내생산의 유지임. o 그러나 AD 자체로는 도움이 안되며, 필요한 것은 자신의 노력뿐임. o 국내 기업이 문제 삼는 것은 자신보다 저가의 판매이며, 가격차별이나 생산비 이하의 판매가 문제는 아님. -> disguised protectionism일수 있음. o AD는 GATT의 주요 헛점이었고,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활용했던 것이 사실임.

  10. - dumping이 문제가 될 수 있는 경우 o 수출국의 국내수입장벽 o 수출국 경쟁법 부재 예) 경쟁법 부재로 일본기업들이 담합하여 국내가격을 높이고 수출가를 낮추는 행위 - Jeffrey Garten(전 미국 예일대 경영대학원원장)은 dumping을 야기하는 4가지 주요한 조건 제시하고 이 같은 경우는 AD 필요 주장 o 수출국 시장 폐쇄 o 수출국의 반경쟁적 관행 o 정부보조 o 비시장 경제 - AD의 가장 큰 문제는 조사당국에게 부여된 재량(discretion)임. o 덤핑마진을 과장하여 국내기업보호 o 정상가를 높이고 수출가를 낮추는 자의적 계산 o 또 다른 문제는 피해기준을 기업이 조작 가능하다는 것임 : 많은 지표들이 수입보다는 경기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 o AD의 잠재적 피해자들인 소비자들은 행정과정밖에 있는 문제도 있음.

  11. - 보호에 의해 원료, 중간재 생산기업은 최종재 생산기업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종재 생산 기업은 다시 AD 보호를 신청할 가능성이 큼 -> 보호의 수직적 연계(vertical linkage of protection) o 미국의 경우 실증분석은 금속(철강), 화학원료 사용기업들은 생산기업의 뒤를 이어 AD 보호를 요청하는 경향이 있음. o 이런 보호의 연계는 생산단계를 따른cartel화를 사실상 촉진한다고 볼 수 있음. o AD 관련법은 따라서 기존 cartel을 강화하고 가격경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킴으로써 담합을 촉진할 수 있음. (믿을만한 AD 발동 위협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동종 산업내 기업들에게 암묵적 담합을 장려함) o 기업이나 협회 등 민간부문들이 AD를 활발히 활용함으로써 사실상 무역정책을 민영화(de facto privatization of trade policy)할 가능성이 큼.

  12. - 반덤핑조치에 대한 가능한 반응 o 시장 퇴출 o 제소 취하를 조건으로 가격인상 합의 o 법정 다툼 (국내판매와 수출은 다르다, 덤핑이 국내산업피해를 야기하지 않았다 등) - WTO Anti-Dumping Agreement o 80년대 유행하였던 조사방법의 보호주의적 경향 제약 o sunset clause : AD 관세는 덤핑으로 인한 피해가 계속 되거나 AD 철회로 덤핑 및 피해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되지 않는 한, 발효일 또는 재심일로 부터 5년 이내에 종료되어야 함. o de minimis rule : 덤핑 마진이 2%이내이거나, 피해 경미, 또는 특정국 덤핑기업의 시장점유율이 3% 이내, 또는 그런 기업들을 합쳐서 7% 이내이면 AD 관세부과 안함. o 조사개시 1년이내에 원칙적으로 종결, 최장 18개월을 초과할 수 없음. o 반덤핑관세는 원칙적으로 덤핑하는 모든 기업, 국가에 무차별하게 부과해야 하나, 현실적인 이유에서 개별 부과 가능. ☞ serious injury(19조) vs. material injury(6조)

  13. - Anti-circumvention measures는 여전히 미결(한, 일 등 해결 주장) o 수출기업은 AD 회피를 위해 수입국 또는 제3국에 최종재 조립공장 설치 o 1987년 6월 EC는 우회덤핑방지 입법화(EC내 수입중간재 조립품에 적용) -> 주로 일본 관계업체들인 복사기, 전자저울, 전자타자기 업체들을 조사, 우회덤핑관세 부과 o 일본은 이에 대해 덤핑 및 피해에 대한 적절한 조사 부재, 불법적인 역내부품 사용, 외국기업에만 관세부과(차별) 등의 이유로 GATT에 제소 : 미국과 EU 공조 o GATT 패널의 결정은 일본 승소 : 우회덤핑관세는 역내조립품에 대한 것이므로 관세가 아니라 역내세금임. 차별적으로 부과되었으므로 NT 위반임. EC 역내기업에도 적용하여 GATT와 합치시킬 것을 주문. o 그러나 UR에서 합의문화하지 못함. o 일본은 battle에서는 이겼지만 war에서는 진 것으로평가됨. o 향후 추진 과제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