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1.15k Views
도입기 ( 구한말 ) 의 간호 우정국사건 (1884) – 한일합방 (1910). 전체개요 강화도조약 ( 1876 년 , 고종 13 년 ) 부터 한일합방 (1910) 에 이르는 의료체계 왕도 ( 王道 )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삼의사 ( 三醫司 ) 를 주축으로 수행되었던 조선의 전통적인 보건의료체제가 무너지고 새로운 보건의료체제가 형성 삼의사 ( 三醫司 ) : 내의원 ( 왕실담당 ), 전의원 ( 양반담당 ), 혜민서 ( 평민담당 )
E N D
도입기(구한말)의 간호우정국사건(1884)– 한일합방(1910)
전체개요 • 강화도조약(1876년, 고종 13년)부터 한일합방(1910)에 이르는 의료체계 • 왕도(王道)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삼의사(三醫司)를 주축으로 수행되었던 조선의 전통적인 보건의료체제가 • 무너지고 새로운 보건의료체제가 형성 • 삼의사(三醫司) : 내의원(왕실담당), 전의원(양반담당), 혜민서(평민담당) • 약화된 왕권을 확립하고,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자주 독립국으로서의 국가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의 의료에 대한 의지가 크게 작용 • 서양의학은 신민(臣民)의 건강을 지키고 군대의 사기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부국강병을 실현할 수 있는 • 유력한 방법으로 주목받음 • 대한제국의 보건의료체제 개혁의 또 다른 이유는 기본적으로 당시 조선사회가 안고 있던 전염병문제와 열강의 • 각축으로 인해 생겨난 개항지의 인구관리 문제가 부각 • 서양의 보건의료와 의학이 도입으로 간호변화가 도래 : 일상적인 돌봄에서 벗어나 전문직 개념 도입 • 우리나라 현대간호의 발전단계 • - 도입기(구한말): 우정국사건(1884) – 한일합방(1910) • - 수난기 (일제강점기) : 한일합방(1910) – 해방(1945) • - 성장기 : 해방(1945) – 의료법개정(1962) • - 발전기 : 의료법개정(1962) - 현재
1. 왕립병원 • 1) 광혜원(제중원) • : 한국 최초의 현대적인 서양식 국립병원(40병상 규모) • 설립계기 • - 1884년(고종 21년) 우정국 사건 (갑신정변의 시초) • - 수구파인 민영익의 부상을 미국 공사관의 선교사 겸 공의인 알렌(Allen, H. N)이 완치 • - 왕실이 서양의술의 우수성을 인정 • - 궁중의 전의로 발탁된 알렌의 건의를 수용 • - 혜민서와 활인서를 폐쇄하고 1885년(고종22년) 광혜원 설립 후 12일 만에 제중원으로 개칭 • 체제 • - 조선왕실은 광혜원 규칙을 제정 • - 원장 격인 ‘광혜원당랑(廣惠院堂郞)’을 조선인 관리가 담당 • - 의료진 : 미국인 선교사 알렌 초빙 • - 병원 운영 및 사무관리 : 조선인 관리 • - 운영비 : 치료비와 약값을 국가(왕실)에서 충당 • - 학생을 선발하여 의학실습교육, 서양의학 학습 • - 조선의 유교적 풍습수용 : 13-16세의 총명한 기녀 5명에게 최초로 서양의술을 가르쳐 보조자로 활용 • - 공식적으로 간호인력 양성은 하지 않음
제중원에서 활약한 인물 • - 의사 선교사 : 알렌 – 고종에게 제중원 설립을 건의함 • 스크랜튼(Scranton) – 알렌의 협조자 • 헤론(Heron) – 알렌의 뒤를 이어 제중원의 진료책임자로 활약, 병사함 • 빅톤(Victon) – 캐나다의 선교사로 헤론의 뒤를 이어 제중원 진료책임자로 활약 • 에비슨(Avison) -빅톤의 뒤를 이어 제중원 진료책임자로 활약 • - 여성의료인 : 엘러스(Elless) –제중원의 부인부 책임자, 왕비와 왕실부인의 의료담당 • 호르톤(Horton) – 엘러스의 후임으로 부인부 책임 • 언더우드(Underwood) – 약사 겸 간호사 • 제중원의 쇠퇴 • - 선교를 근본 목적으로 하는 서양선교사들과 서양의술만을 활용하려는 조선정부의 갈등 • - 갑오경장과 청일전쟁 이후 왕실재정지원 부실 • - 설립된 지 겨우 9년 만인 1894년 고종은 미국 북장로교파선교부에 병원을 위탁경영 • - 위탁경영 11년 만인 1905년 조선정부는 환수금을 지불하고 미국 북장로교파선교부로부터 제중원을 환수 • 이후 제중원의 기능은 유명무실해짐
2) 내부병원(광제원) • 설립과정 • - 관립의학교관제 반포 (1899년, 고종36년) : 제중원과 별도로 반포 • - 관립의학교(官立醫學校)설립 (1899년, 고종36년): 초대 교장에 지석영을 임명 • - 내부병원관제반포 (1899년, 고종36년): 내부(內部)직할의 국립병원인 ‘내부병원(內部病院)’ 설립 • 내부병원 설립목적 • - 일반 환자의 진료를 주 업무로 함 • - 이외에도 감옥에 수감된 죄수의 구료 • - 전염병 환자를 위한 피병원(避病院, 격리수용병원) 역할 담당 • 운영체제 • - 외래 중심(입원실을 마련하지 않음) • - 한방진료와 서양의술 겸용 • - 초대 병원장 : 최훈주가 임명 • - 감옥의 죄수, 전염병 환자, 빈민, 일반민중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병원의 설립과 운영의 특성은 조선시대 • 활인서의 부활로 여겨져개원 초부터 번창
개명 • - 내부병원 보시원(普施院) 광제원(廣濟院) • 운영 • - 1902년 전국적인 콜레라 발생 콜레라 방역 기관으로 변신 • - 각 지방의 병자를 구료 • - 인천, 평양, 의주 등 세 곳에 광제원피병원을 설치 • - 을사보호조약과 조선통감부 설치 후 일본인 의료 인력 증가, 서양의술 전용기관으로 전환 • - 서양의학의 전문 진료과 표방 : 이비인후과, 일반외과, 안과, 부인과 등이 개설 • - 입원과 수술을 시행 • - 일본 간호부(3명) 근무 : 간호업무담당, 잡무를 맡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리감독 • 합병 • - 대한의원에 통합(1907년) • 3) 관립의학교 부속병원 • - 광제원과는 별도로 ‘관립의학교부속병원(官立醫學校附屬病院)’개원 • - 광제원과 함께 : 대한의원에 통합(1907년)
3) 적십자 병원 • 설립배경 • - 국제적십자에 대한 지식인의 호감 : 적십자의 인도주의적 사상 • - 개화 선각자들의 적십자 활동(서재필 : 적십자 소개, 독립신문 발간) • - 스페인 적십자사의 공한(1898): 대한제국의 군대조직의 위생 상태를 알려달라는 요청 • - 고종의 적십자에 대한 관심 : 파리 주재 공사 민영찬을 적십자 국제회의에 처음으로 파견 • - 제네바조약 가입(1903년, 고종40년) • 설립과정 • - 대한적십자사규칙 제정 및 반포(1905년, 고종 42년) • - 적십자병원(赤十字病院) 설립 (1905년, 고종 42년) • 설립목적 • - 빈곤한 환자, 천재(天災) 혹은 사변(事變)으로 인한 상병자의 구호
운영체제 • - 적십자사 총재 : 왕족 중에서 임명 • - 구호환자는 대한제국 적십자사에서 발행하는 치료 표를 가진 경우에만 진료를 받을 수 있었음 • - 일반 환자의 경우 정해진 진찰료와 약값, 그리고 병실 이용료를 미리 지불 • - 적십자병원은 왕실직속으로서 왕실이 직접 환자의 구료사업에 참여하였다는 점에 주목 • 간호와의 관련 • - 최초로 국가병원조직에 간호부(看護婦)를 두었다는 점에 의의를 둠 • - 간호부장으로 하여금 간호 부서를 통솔하도록 간호위계를 갖추었다는 점 • - 그러나간호졸감원(看護卒監員) 김용호, 간호부감원 박의호 등 간호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력이 없는 • 남성들이 임명되었다는 점이 큰 아쉬움으로 남아있음 • 합병 • - 을사보호조약 체결과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 - 광제원, 관립의학교부속병원과 함께 대한의원에 흡수통합
4) 대한의원 • 설립 • - ‘대한의원관제’ 반포 및 ‘대한의원’ 설립(1907년, 순종 1년) • - 의정부 직속으로 창경궁의 바깥 정원인 함춘원(현 서울대 의대병원)의 언덕에 위치 • - 개원(1908년) • - 광제원, 관립의학교 및 부속병원, 적십자병원을 차례로 흡수 통합 • - 시설 및 건축 : 병동, 부검실, 의학교, 6개병동(이비인후과, 내과, 혈환자, 보통내과, 하과(下科)), 전염병실 1동, • 온돌식 병동 • 운영체제 • - 수준이 격상된 의료 기관 • - 의정부 직할로 격상(병원장 : 내부대신이 겸직) • - 원장 밑에 위생부, 진료부, 교육부(의육부)의 3부로 나누어 업무를 담당 • 위생부: 의사, 약제사, 산파의 업무에 관한 사항, 매약(賣藥) 단속에 관한 사항, 전염병 및 지방병의 예방, • 종두 및 기타 공중위생에 관한 사항, 성병검사, 검역관련 사항, 지방병원에 관한 사항 담당 • 진료부 :질병구료와 빈민시료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 • 교육부 : 의사, 약제사, 산파의 양성, 의학교과서 편찬 등의 업무 관장 • - 한방을 배제하고 순수 서양의술만으로 진료 • - 적십자의 업무에 해당하는 구호사업도 관장
대한의원 부속의학교 • - ‘대한의원관제개정’(1909) : 병원에서 교육기능을 분리 • - 대한의원 교육부(의육부)를 ‘대한의원부속의학교(大韓醫院附屬醫學校)’로 개칭하고 교육기능 귀속 • - 의사, 약제사, 산파 및 간호부의 양성을 위해 따로 부속학교를 둠으로써 의료인력 양성 기능 강화 • - 따라서 간호교육도 대한의원부속의학교간호과 및 산파과로 그 명칭을 바꾸고 세부규정을 개정 • 간호에 미친 영향 • - ‘대한의원관제’에는 정규직으로서 간호 인력이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대한의원 개원 당시부터 산파와 간호부 • 를 둠 • - 두고 있었다. 1907년에 산파 3명과 간호부 10명에서 점점 그 숫자가 증가하여 1909년에는 산파 및 간호부의 • 수가 전체 의료인의 87명 중 69%를 차지 • - 당시 간호부와 산파는 대부분 일본인이었음 • - 대한의원의 간호부서에는 간호부장, 간호부장 대리, 병동 주임간호부, 일반간호부가 있어 직급에 따라 • 월급이 지급 • - 주로 대한의원 내에서 근무하였으나 필요 시 의사를 동반하여 왕진에 참여 • 기타 • - 대한의원의 의료직에서 한국인들이 소외되는 경향이 강했음 • - 약제사 부속학교 교관 등 38명의 한국인이 근무(지석영 : 대한의원부속의학교의 학감으로 봉직) • - 대한의원은 진료비가 비싸고, 일본에 대한 반감 때문에 한국인의 이용은 저조하였음
2. 선교계 병원 • 구한말(개항기)선교계 의료와 간호의 특징 • - 임상중심(병원과 외래)의 간호 • - 공중보건 및 예방 경시 • - 사람들과의 접촉이 빈번한 치료에 집중(선교목적) • - 선교간호사들은 환자간호를 담당할 한국인 간호사 양성 • - 병원은 1-2명의 선교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외래중심의 의료시설을 갖춤 • 1) 세브란스 병원 • 설립배경 • - 선교의사 에비슨(Avison, O. R)은 제중원의 경영을 둘러싸고 조선정부와 갈등을 겪자 새로운 돌파구 모색 • - 1900년 뉴욕에서 열린 만국선교사회 참가 시 한국에 새로운 서양식 병원과 의학교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여 • 동석하였던 세브란스(Serverance)의 후원으로 남대문 밖 도동(현 서울역 앞)에 세브란스 병원 설립 • - 미국 북장로회선교부는1905년 조선정부로부터 환수금을 받고 제중원을 조선정부에 반환함
세브란스 병원의 간호사 • - 제이콥슨(Jacobson) : 에비슨의 요청으로 1895년 장로교 해외선교부에서 파견된 첫 선교 간호사 • - 쉴즈(Shields) • 제이콥슨의후임으로 부임 • 미국 필라델피아 종합병원 간호학교 출신으로 나이팅게일식교육을 철저하게 받은 인물 • 36년 동안 한국에 머물면서 고통에 시달리는 수많은 사람을 간호함 • 최초의 간호단체를 조직하는데 공헌 • ‘한국의 나이팅게일’이라는 찬사를 받음 • 세브란스 병원의 간호 • - 그 당시 병원 간호사들은 12시간을 근무 • - 식사제공, 성경공부와 기도, 드레싱, 찜질, 투약, 침상정리, 마사지, 환자기록 등의 업무를 수행 • - 간호사의 덕목 : 복종, 인내, 온순, 친절로서 윗사람의 지시를 철저하게 따름 • - 간호사들은 질병에 유능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고, 청결과 위생을 중요시 하였음
2) 기타 선교계 병원 • 부인병원(종로) • - 선교의사 스크랜튼(Scranton)이 개설 • - 여의사 하워드(Haward)와 쉴우드(Sherwood)가 사업을 계승 • 부인병원(동대문 북쪽, 현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 • - 여의사 커틀러(Cutler)가 1908년 개설하여 부인전문 의료사업을 시작 • 성 메튜병원(서울남부 낙동, 현 서울시 회현동) • -1892년 영국성공회에서 설립 • - 와일스: 외과를 담당하면서 영국해군기지의 병원을 함께 관리 • - 1893년 의사 발독크(Baldock)에 의해 주로남자환자를 치료 • 성 피터병원 : 의사 알렌(Allen)이 설립 여자환자를 진료하였으나 1904년 폐쇄 • 성 누가병원 • - 1890년 랜디스(Landis)가 인천 외국인 거류지의 외곽에 개설하여 인천세관의 검역업무와 진료업무를 겸임. • - 랜디스가 장티푸스로 사망하자 1898년 폐쇄 • 남성병원(개성) : 미국 남감리교의 선교 의사 레이드(Reid, M. T)가 설립 • 구세병원(원산) : 의사 맥길(Magil)이 설립하여 운영 • 예수병원(전주) : 미국 남장로교회의 의사 인골드(Ingold)가 1899년 설립명명됨
동산병원(대구, 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병원) • -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의사 존슨(Johnson)이 1897년 진료소를 바탕으로 병원을 신설 • - 존슨의 후임 피쳐(Fetcher)가 확장 • 애락원: 1909년 피쳐에 의해 설립된 나병원 • 호주장로교 • - 패톤기념병원(진주) 설립 • - 1907년 나병구제사업 :매켄지(Mackenzie)의 공로 • 홀기념병원(평양)과 래드기념병원(평양) : 서북지방 의료사업의 중심지 • 자혜병원 (함흥) : 캐나다 장로교파의 크리어슨(Crierson)이 1900년 설립 • 천주교 • - 성바오로수녀회: 순조, 철종 때부터 소규모의 의료사업을 실시, 1894년 명동성당 내 수녀원에 진료소 개설 • (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병원) • - 기타 수도회 : 지방도시의 천주교 성당에서 무료 시약소와 진료소 개원 • 영국성공회 • - 히트코트(Heathcote) :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근대적 간호사업을 수행한 사람, 1891년 한국에 도착한 • 첫 선교간호사, 이듬해 여의사 쿠크(Kooke)와 함께 부녀자를 대상으로 하는 작은 진료소를 경성 정동에 개설 • (후에 성 베드로병원)
구한말 초기 선교간호사의 업적 • 전문직 속성을 가진 서양의 근대적 간호를 실시함 • 과학적 이론과 체계를 갖춘 간호법을 소개 • 초창기부터 국제교류를 맺어 국제적인 진출의 밑거름을 마련함 • 의사의 시중을 드는 것(일본식 간호)에서 벗어나 의사와 동반자로서 환자의 질병치료 및 건강교육을 중시 •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두고 사랑과 희생으로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모범적 태도를 보여줌 • 남존여비 사상에 젖어 있던 조선시대에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이끄는 계기를 마련
3. 일본계 병원 • 개항지 일본 의원 • 강화도조약(1876년, 고종 13년) 체결 후 일본은 조선으로부터 청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조선의 개항지에 • 일본인의 거주를 장려 • 개항지에 일본인 거주민 증가 : 일본정부는 자국 이민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서양식 병원을 설립 • 개항지 일본의원 • - 부산의 제생의원(1877)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 • - 원산의 생생병원(1881) • - 인천의 영사관부속병원(1883) • - 목포와 진남포의 공립병원 • 일본에 의해 세워진 개항지 의원은 일본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백성에게도 의술을 시행하여 • 우리나라 백성들이 최초로 서양의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됨 • 그러나 청일 전쟁 후 이러한 병원들은 병참병원으로 개칭 활용됨
2) 기타 일본계 병원 • 일본관의원(1883) • - 일본공사관 옆에 개원 • - 일본인들과 함께 조선인들에게 의료를 실시 • - 개원 6개월 후 : 내원환자 수 1200여명에 달함 • 찬화의원(1889) • - 일본공사관 의관으로 경성에 부임한 후루시로바이케이가 개원 • - 종두의(種痘醫)를 양성 • 한성의원 (명동) • - 청일 전쟁 직후 우리나라 정부의 위생고문으로 서울에 오게 된 오리와키토시오가 설립 • - 1904년 병원의 경영권이 일본거류민단에 이관되어 ‘공립한성병원’으로 개칭 • - 조선 관리들의 이용이 빈번
구한말의 보건의료 • 콜레라의 유행과 간호 • 전염병법령반포(1895년, 고종 32년) • - 경성과 지방에 콜레라가 창궐하여 북쪽 국경지대에서만 6만 여명이 사망 • - 대한제국 정부는 처음으로 전염병에 대한 법령을 반포 • ‘내부령 제 4, 5호 : 호열자 예방과 소독집행규칙’ 반포(1895년, 교종 32년) • - 내부(內部)에서 반포 • - 이 규칙에 의해 검역소와 피병원 설치 • - 각 지방 관아의 협조를 받아 전염병의 전파차단, 콜레라 사망자와 이환자의 파악, 각종 조치 • - 방역사업과 관련하여 일반인에 대한 강제적인 통제가 행해짐 • - 소독 및 예방 규칙에 있어서 서양의 과학적 소독법이 처음으로 채택되어 실시 • - 전염병 퇴치를 위한 검역소와 피병원을 인천, 평양, 의주에 설치하기로 하였으나 순조롭지 못함 • - 에비슨 박사를 비롯한 서양 선교사와 일본인 의사들의 협력 • - 내부(內部)에 방역국 설치 : 방역국장으로 에비슨이 임명 • - 방역국의 활동 : 예방법의 작성과 배포, 피병원 환자의 구료, 환자와 사망자의 보고와 역학조사, 환자의 집 • 소독, 전염병의 전파경로 차단, 물자와 경비의 보급
구한말의 간호교육 • 1) 정동 보구여관(保救女館) • 설립 • - 1887년에 감리교에서 세운 최초의 여성 전용병원인 ‘보구여관’에 간호교육기관 개설 • - 1903년 간호사교육을 위한 정규과정이 개설 • - 선교간호사 에드문드(Edmunds)가 개설 • - 한국 최초의 간호교육 기관 • 입학자격 • - 기독교인 • - 읽고, 쓰고, 시계를 볼 수 능력 • - 입학연령은 21-31세로 규정 • - 부모동의서, 의사건강진단서, 교회증서, 소정의 입학금이 요구
교육과정 • - 정규과정(6년) • - 단기과정(3년) • - 임상지도 중심의 교육 : 교육의 이상은 높았지만 교사와 교과서 부족,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 - 교과목 • 이론 : 인체골격, 순환과 혈액, 해부, 생리, 식이요법, 약물, 위생학, 중독과 해독법, 산과학, 이비인후과, 외과, • 전염병, 예수의 생애, 나이팅게일의 생애, 간호사의 자격, 간호윤리, 병원규칙 등의 강의 • 실습 : 붕대법, 침상 만들기, 목욕법, 투약, 식이준비, 활력증상 측정, 증상기록, 세척, 찜질, 드레싱, 마사지 • 원리, 사후처리, 수술실에 관한 실습 등 • 교양 : 성경, 음악, 산수, 국어, 한문, 영어 • - 2개월 수습기간을 거쳐 입학이 허락되면 계약을 하고 학교 유니폼 착용 • - 교과서 • 『전체공용문답(全體功用問答)』 : 이화학당의 프라이(Frey)와 페인(Paine)의 공저인 생리학교과서 • 본역소책자: 고열환자 간호, 조리법 • 미국간호학 번역본 서적
운영현황 • - 동료 선교사의 도움으로 운영 • - 운영의 어려움 : • 당시 한국여성들의 은둔생활, 조혼풍습 • 현대식 병원제도에 익숙하지 못한 점, 여성전문직에대한 사회의 몰이해 • 시간개념의 부족 • 청결과 순종에 대한 인식 및관습의 차이 • 입학생들의 낮은 사회적신분 • - 첫 가관식 : 1906년 1월 25일 • - 첫 졸업생 배출 : 1908년에는 2명의 졸업생(김마다, 이 그레이스) • - 이익채는보구여관 간호부 양성소에 재직하여 해리슨(Harison) 소장과 커틀러(Cuttler) 의사를 협조하면서 • 처음으로 두 권의 간호 교과서를 한글로 번역 • - 1912년 2개의 양성소 분할 • 평양 부인병원내에 설립 • 모체인 정동 보구여관이 경성 동대문 부인병원으로 발전적 통합(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의 전신)
2) 세브란스 병원의 간호교육 • 설립 • - 1906년 쉴즈(Shields)가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를 세브란스병원 내에 설립 후 초대교장 역임 • 교육이념 :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인간애 • 입학자격 • - 기독교인 • - 한글, 기초산수의 해득 가능 • - 학교의 규칙의 엄수 서약 • - 2개월의 예비기간을 거침 • 교육과정 • - 기본간호술 및 실습, 해부와 생리, 증후관찰과 식이공급, 안과질환, 약물학, 미생물학 등 • - 내외과 병실, 수술실, 부인과 진료실, 외래진찰실, 산부인과 및 공중보건 간호실 등의 임상실습 • - 실무능력 개발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옴 • - 전원 기숙사 의무화 : 서구식 생활 및 공동생활을 배우고, 신여성의 예의범절과 교양, 공중도덕을 익힘 • - 수업과 기숙사 생활은 엄격한 규율 밑에서 이루어짐 • - 학생과외 활동 : 학교구내에 있는 기독교 교회활동과 병행 • - 보구여관과 자매병원 : 합반교수(合班敎授)들이 교환실습, 양쪽 교육기관의 자원 공유 • - 제1회 가관식 : 1908년 (5명이 가관자격) • - 제1회 졸업식 : 1910년 (김배세) • - 세브란스 간호부양성소는 오늘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의 전신
3) 대한의원의 간호교육 • 설립 • - 1907년 3월 10일에 반포된 칙령 제9호 ‘대한의원관제’에 의해 설립 • - 대한제국 정부가공식적으로 설립한 국립간호교육기관의 효시 • 입학자격 • - 18세-25세 • - 품행이 단정하고, 신체검사 및 입학시험에 합격한 자 • 입학시험 • - 산파 및 간호과: 독서(국문 오륜행실)와 간단한 국문작문
교육과정 • - 수업연한 : 의학과(4년), 약학과(3년), 산파과 및 간호(2년) • - 입학정원 : 의학과(50명), 약학과(10명), 산파과(10명), 간호과(20명) • - 산파과 및 간호과는 우리말로 수업을 한 것으로 추측 • - 학기 :전학기(4월 1일부터 10월 20일)와 후학기(10월 21일부터 다음 해 3월 31일)로 구분 • - 수업일수 : 매 학년 200일 이상 • - 방학휴가 : 봄(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여름(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 겨울(12월 29일부터 다음해 1월 7일까지) 3회 • - 엄격한 징계 규정 • - 졸업자격 : 각 과목을 100점 만점, 모든 과목을 40점 이상, 총 평균 60점 이상 • - 수업료 무료 혜택 : 졸업 후 일정기간 대한의원에 의무적 근무조건, 조건 불 이행시 학비 상환 • (의무근무 : 의학과 3년, 약학과 3년, 산파 및 간호과1년) • - 수업료를 사비로 지불할 수 있으나 간호과는 사비생이 허용되지 않음 • - 대한의원 부속의학교는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이며 • 산파 및 간호과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의 전신이다. • 역사적 평가 • - 긍정적 평가 : 근대적 교육 기회가 제한되어 있던 당시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전문직 교육을 제공한 점 • - 부정적 평가 : 일본의 간섭과 영향력을 배제하지 못하고 의존적이었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