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likes | 949 Views
제 13 장. 게임 이론. 10 , 5. 15 , 0. 6, 8. 10, 2. 문제 : 광고 게임. 기업 B. 광고하지 않음. 광고함. 광고함. 기업 A. 광고하지 않음. A: B 와 관계없이 , 광고를 하는 것이 좋다 B: A 와 관계없이 광고를 하는 것이 좋다 우월전략균형. 기업 B. 광고하지 않음. 10, 5. 15, 0. 광고함. 광고함. 기업 A. 6, 8. 10, 2. 광고하지 않음. 우월전략. 우월전략 균형
E N D
제 13 장 게임 이론
10, 5 15, 0 6, 8 10, 2 문제: 광고 게임 기업 B 광고하지 않음 광고함 광고함 기업 A 광고하지 않음 Chapter 13
A: B와 관계없이, 광고를 하는 것이 좋다 B: A와 관계없이 광고를 하는 것이 좋다 우월전략균형 기업 B 광고하지 않음 10, 5 15, 0 광고함 광고함 기업 A 6, 8 10, 2 광고하지 않음 Chapter 13
우월전략 • 우월전략 균형 • 게임의 각 참가자들이 우월전략을 가질 때 나타나는 게임의 결과 • 다른 참가자들의 행동에 관계없이 결정된다 • 모든 게임에서 참가자들이 우월전략 균형을 갖는 것은 아니다. Chapter 13
10, 5 15, 0 6, 8 20, 2 문제: 광고게임 2 기업 B 광고하지 않음 광고함 광고함 기업 A 광고하지 않음 Chapter 13
A: 우월전략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B의 행동에 따라 다르다 B: 광고를 하는 것이 우월전략이다 기업 A는 B의 우월전략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기업 B 광고하지 않음 광고함 광고함 10, 5 15, 0 기업 A 광고하지 않음 6, 8 20, 2 Chapter 13
우월전략균형 vs 내쉬균형 • 우월전략은 안정적인 전략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참가자들이 우월전략을 가지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 보다 일반적인 균형의 개념은 12장에서 소개된 내쉬 균형이다 Chapter 13
내쉬균형 • 꾸르노 모형에서 각 기업들은 상대방 경쟁기업의 생산량이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하였다. 꾸르노균형은 내쉬균형이다 Chapter 13
우월전략 vs. 내쉬균형 • 우월전략: “나는 당신이 어떻게 하든지 관계없이,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한다.” • 내쉬균형: “당신의 선택이 주어졌을 때,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한다.” • 우월전략은 내쉬균형의 특별한 경우이다 Chapter 13
문제: 신제품 생산 • 제품의 선택 • 산뜻한 시리얼 vs. 달콤한 시리얼 • 각 기업은 하나의 시리얼을 생산할 수 있는 자원만을 가지고 있다 • 비협조적이다 Chapter 13
-5, -5 10, 10 10, 10 -5, -5 기업 2 산뜻한 시리얼 달콤한 시리얼 산뜻한 시리얼 기업 1 달콤한 시리얼 Chapter 13
기업 2가 달콤한 시리얼을 생산한다는 소식을 들으면, 기업 1은 산뜻한 시리얼을 생산하는 것이 최선이다 다른 내쉬균형은 무엇인가? 기업 2 산뜻한 시리얼 달콤한 시리얼 -5, -5 10, 10 산뜻한 시리얼 기업 1 달콤한 시리얼 10, 10 -5, -5 Chapter 13
문제: 해변에서 위치잡기 게임 • 두 경쟁자 Y와 C가 음료수를 팔고 있다 • 해변은 200야드의 길이를 갖고 있다 • 수영객들은 해변을 따라 균등하게 자리 잡고 있다 • Y의 가격 = C의 가격 • 소비자들은 가까운 판매대에서 음료수를 구입할 것이다 Chapter 13
바다 C 해변 0 B A 200야드 • 경쟁자들은 어디에 위치를 잡을 것인가(내쉬균형은 어디인가)? • 가운데에 자리잡기를 원할 것이다 Chapter 13
문제: 투자 게임 • 두 기업은 파일을 암호화하는 소프트웨어를 팔고 있다 • 두 기업 모두 같은 암호기법을 사용한다 • 기업 1은 기업 2보다 더 큰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 두 기업은 새로운 암호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Chapter 13
0, 0 -10, 10 -100, 0 20, 10 기업 2 투자하지 않음 투자함 투자하지 않음 기업 1 투자함 Chapter 13
기업 2의 우월전략: 투자함 기업 1은 기업 2가 투자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내쉬균형 기업 1: 투자함 기업 2:투자함 기업 2가 합리적이라는 가정을 한 것이다 기업 2 투자하지 않음 투자함 0, 0 -10, 10 투자하지 않음 기업 1 -100, 0 20, 10 투자함 Chapter 13
만약 기업 2가 투자하지 않는다면, 기업 1은 심각한 손실을 입는다 기업 1은 투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손실을 10으로 최소화한다 – 최소최대화 전략 기업 2 투자하지 않음 투자함 0, 0 -10, 10 투자하지 않음 기업 1 -100, 0 20, 10 투자함 최소최대화 전략 Chapter 13
최소최대화 전략 • 두 기업이 합리적이면 • 두 기업은 모두 투자를 한다 • 내쉬균형 • 한 기업이 합리적이지 않거나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 기업 1의 최소최대화 전략은 투자하지 않는 것이다 • 기업 2의 우월 전략은 투자하는 것이다 Chapter 13
-5, -5 0, -10 -10, 0 -1, -1 문제: 죄수의 딜레마 죄수 B 자백함 자백안함 자백함 죄수 A 자백안함 Chapter 13
순차적 게임 • 게임참가자들이 순서적으로 행동하는 게임 • 예: 스타켈버그 모형(12장) • 경쟁자의 광고에 대한 반응 • 진입 의사결정 Chapter 13
문제: 신제품 2 • 두 개의 새로운 시리얼 • 한 회사가 하나의 시리얼을 생산할 때만 성공할 수 있다 • 달콤한 시리얼이 더 잘 팔린다 • 여전히 하나의 생산자만 존재해야 이윤을 얻을 수 있다 Chapter 13
수정된 제품선택 문제 • 기업들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의사결정을 한다면, 그들은 모두 달콤한 시리얼을 선택하게 되고 손실을 입게 될 것이다 • 기업1이 새 시리얼을 시장에 먼저 내놓은 경우 • 이제는 순차적 게임이 된다 • 기업 1은 기업 2의 행동에 대해 생각한다 Chapter 13
-5, -5 10, 20 20, 10 -5, -5 수정된 제품선택 문제 기업 2 산뜻한 시리얼 달콤한 시리얼 산뜻한 시리얼 기업 1 달콤한 시리얼 Chapter 13
확장형 게임 • 확장형 게임 • 게임에서 선택 가능한 행동들을 의사결정 나무로 표현한 것 • 끝에서부터 거꾸로 살펴봄으로써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hapter 13
-5, -5 산뜻한 산뜻한 기업 2 달콤한 10, 20 기업 1 산뜻한 20, 10 달콤한 기업 2 달콤한 -5, -5 확장형 게임에서의 제품선택 Chapter 13
선점자 우위 • 제품선택 게임에서는 먼저 행동하는 것에 이점이 있다 • 첫 번째 기업은 많은 생산량을 통해 두 번째 기업이 작은 생산량을 선택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 스타켈버그 모형과 꾸르노모형을 비교하여 선점자의 우위를 살펴보자 Chapter 13
선점자의 우위 • 가정: 복점 Chapter 13
선점자의 우위 • 복점 Chapter 13
위협, 몸던지기, 믿음성 • 기업은 시장에서 이득을 얻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는가? • 진입을 방해한다 • 경쟁기업들이 가격을 올리도록, 생산량을 줄이도록, 시장을 떠나도록 유도한다 Chapter 13
위협, 몸던지기, 믿음성 • 전략적 행동 • 자신의 행동을 제한함으로써 자신이 우위를 갖게 하는 행동 • 기업 1은 기업 2가 확신할 수 있도록 자신의 행동을 제한해야 한다 Chapter 13
위협, 몸 던지기, 믿음성 • 어떻게 우위를 차지할 것인가 • 몸 던지기를 한다 • 기업 1은 달콤한 시리얼을 생산할 것이라고 공표한다 • 비싼 광고비를 들인다 • 대량의 설탕 주문을 내고 송장을 기업 2에게 보낸다 Chapter 13
월마트의 선점 투자전략 • 월마트는 어떻게 미국에서 가장 큰 할인소매체인점이 되었는가? • 다른 경쟁이 없는 작은 마을에 개점을 하여 독점력을 획득하였다 • 내쉬균형의 선점게임 Chapter 13
-10, -10 20, 0 0, 20 0, 0 할인점 선점 게임 기업 X 진입함 진입하지 않음 진입함 월마트 진입하지 않음 Chapter 13
진입봉쇄 • 독점력에 있어서 진입장벽은 중요하다 • 규모의 경제, 특허권, 면허증, 핵심적인 생산요소 • 기업들은 진입을 봉쇄할 수도 있다 • 진입을 막기 위해서 기존기업은 잠재적 경쟁기업에게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이윤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확신시켜 주어야 한다 Chapter 13
100, 20 200, 0 70, -10 130, 0 문제: 진입 봉쇄 잠재적 진입기업 ($80 고정비용) 진입 진입하지 않음 높은 가격 (진입을 받아들임) 기존기업 낮은 가격 (가격전쟁) Chapter 13
진입봉쇄 • 기업 X가 진입하지 않는다면 나는 2억$의 이윤을 얻을 수 있다 • X가 진입하고 높은 가격을 부과하면 나는 1억$을 벌 수 있고 X는 2천만$을 번다 • X가 진입하고 낮은 가격을 부과하면 나는 7천만$을 벌고 X는 -1천만$을 번다 Chapter 13
진입봉쇄 • X에게 시장에 진입하면 가격전쟁을 하겠다고 위협할 수 있다 • 그러나 일단 X가 진입하고 나면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당신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 Chapter 13
진입봉쇄 • 진입 이전에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투자를 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 돌이킬 수 없는 몸 던지기 • 투자에 의해서 이윤이 감소하기 때문에 새로운 보수행렬이 주어진다 • 위협은 신뢰성을 갖게 된다 • X가 합리적이라면 시장에 진입하지 않을 것이다 Chapter 13
100-50, 20 200-50, 0 70, -10 130, 0 진입봉쇄 잠재적 진입기업 진입 진입하지 않음 높은 가격 (진입을 받아들임) 기존기업 낮은 가격 (가격전쟁) Chapter 13
진입봉쇄 • 기존기업이 손실을 입으면서까지 가격을 낮춰 과거에 진입기업들을 시장에서 내쫓았다면, 위협은 신뢰성을 갖게 된다 • 단기적인 손실은 독점자로서 장기적인 이윤을 얻게 해줄 것이다 Chapter 13
사례: 기저귀 전쟁 • 비록 시장에 두 개의 기업만이 있다 하더라도 경쟁은 치열했다 • 경쟁은 주로 비용을 절감하는 혁신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 생산비용을 아주 조금만 감소시킬 수 있더라도 큰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었다 • 두 기업은 연구개발에 막대한 비용을 들였다 Chapter 13
40, 20 80, -20 -20, 60 60, 40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통한 경쟁 킴벌리-클락 연구개발 연구개발에 투자하지 않음 연구개발 프록터앤갬블 연구개발에 투자하지 않음 Chapter 13
둘 다 R&D 투자 우월전략 죄수의 딜레마 왜 협력하지 않는가 협상력을 높이는 방법 신뢰성 유연성을 줄인다 (배수진) 킴벌리-클락 R&D No R&D 40, 20 80, -20 R&D P&G -20, 60 60, 40 No R&D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통한 경쟁 Chapt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