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k likes | 1.97k Views
ì œ 10 장 ê°ì—¼ë³‘관리 ê°ë¡ . 급성ê°ì—¼ë³‘ 만성ê°ì—¼ë³‘. I. 급성ê°ì—¼ë³‘ (1). ê°ì—¼ë³‘ 급성ê°ì—¼ë³‘ : ë°œìƒë¥ ë†’ê³ ìœ ë³‘ë¥ ë‚®ìŒ ì†Œí™”ê¸°ê³„ ê°ì—¼ë³‘ : 장티푸스 , ì½œë ˆë¼ , ì„¸ê· ì„±ì´ì§ˆ , í´ë¦¬ì˜¤ , ìœ í–‰ì„±ê°„ì—¼ 등 호í¡ê¸°ê³„ ê°ì—¼ë³‘ : 디프테리아 , í™ì— , 성í™ì—´ , ìœ í–‰ì„±ì´í•˜ì„ ì—¼ , í’진 등 ì ˆì¡±ë™ë¬¼ 매개ê°ì—¼ë³‘ : 페스트 , 발진티푸스 , ë§ë¼ë¦¬ì•„ , ìœ í–‰ì„±ì¼ë³¸ë‡Œì—¼ 등 ë™ë¬¼ 매개ê°ì—¼ë³‘ : 공수병 , ë ™í† ìŠ¤í”¼ë¼ì¦ , íƒ„ì € 등 만성ê°ì—¼ë³‘ : ë°œìƒë¥ ë‚®ê³ ìœ ë³‘ë¥ ë†’ìŒ.
E N D
제10장 감염병관리 각론 급성감염병 만성감염병
I. 급성감염병(1) • 감염병 • 급성감염병: 발생률 높고 유병률 낮음 • 소화기계 감염병: 장티푸스, 콜레라, 세균성이질, 폴리오, 유행성간염 등 • 호흡기계 감염병: 디프테리아, 홍역, 성홍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등 • 절족동물 매개감염병: 페스트, 발진티푸스, 말라리아, 유행성일본뇌염 등 • 동물 매개감염병: 공수병, 렙토스피라증, 탄저 등 • 만성감염병: 발생률 낮고 유병률 높음
I. 급성감염병(2) • 참고 • WHO가 공식적으로 지구상에서 박멸되었다고 선언한 감염병 • 천연두(두창)생물테러감염병
I. 급성감염병(3) • 1. 소화기계 감염병 • 수인성 감염병 • 분변으로 배설된 병원체음식물 또는 물 오염경구적 침입 • 공기(X) • 종류 • 장티푸스, 콜레라, 세균성이질, 폴리오, 유행성간염, 파라티푸스 등
I. 급성감염병(4) • 1) 장티푸스(typhoid fever) • 특징 • 세계적으로 분포 • 우리나라에 상주(원발성)하는 전형적인 여름철 수인성감염병의 대표적인 질병 • 제1군감염병 • 임상증상 • 지속적인 고열, 불쾌감, 식욕감퇴, 서맥, 림프절 종창, 피부발진(장미진), 변비 등 • 급성 열성전신질환 감염병
I. 급성감염병(5) • 전파 •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에 의해 전파 • 병원소: 사람사람간의 전파경로만 차단 • 예방접종 •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나 장티푸스에 걸려 타인에게 감염시킬 위험이 높은 사람 • 항생제 남용으로 비전형적인 감염과 보균자가 늘고 있음 • 환자의 진단 • 혈청검사 :widal test
I. 급성감염병(6) • 병원체 • Salmonella typhi(티푸스균) • 그람음성이며아포 및 협막이 없는 간상균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환자와 보균자 • 감염원 :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
I. 급성감염병(7) • 전파 • 감염자의 대소변식품이나 물 오염 • 잠복기 :1~3주 • 균배출: 치료하지 않는 경우 약 10%의 환자는 발병후 3개월까지 균을 배출하고 2~5%는 영구보균자 • 감염 부위 : 장의 림프조직, 담낭 및 신장 등 • 감수성 • 전반적으로 높음 • 회복시 일반적으로 영구면역 • 화학요법으로 치료한 경우는 영구면역 안됨 • 인공능동면역 :사균 vaccine사용
I. 급성감염병(8) • 예방대책 • 환경위생의 관리 및 보균자의 색출(가장 중요) • 환자 및 보균자 관리 철저 • 보건교육 및 예방접종의 강화 • 예방접종으로 질병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근절은 못함
I. 급성감염병(9) • 장티푸스 관리 상 감염원에 대한 대책 • 환자의 담낭절제 수술 • 환자나 보균자 색출 • 환자 격리 • 환자 치료 • 파리나 바퀴의 구제 환경요인으로 감염경로의 차단대책이며 감염원에 대한 대책은 아님
I. 급성감염병(10) • 2) 콜레라(cholera) • 임상 증상 • 심한 설사로 탈수상태, 사망 • 위경련을 동반하는 불안 증세, 의식불명상태 • 보통 열이 없음 • 복통은 없음 • 제1군감염병 • 검역감염병 • 인도, 방글라데시, 동남아 일대에 상재
I. 급성감염병(11) • 진단 • 대변이나 직장도말검사 • 병원체 • Vibriocholerae • 한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는 단간균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배설물(대변, 구토물(토사물) 등)
I. 급성감염병(12) • 전파 • 오염된 물오염된 식품(식기, 손, 파리 등) • 잠복기 : 12~18시간, 최장 5일 • 감수성 • 전반적으로 높음 • 병이 회복된 후에는 수년간의 면역 • 인공능동면역 : 사균 vaccine
I. 급성감염병(13) • 예방대책 • 해외 유입감염병으로 검역 철저 • 중증 탈수환자는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 • 환자의 신속한 보고 및 격리 • 환경위생의 강화(대변, 물의 소독, 파리의 구제 등) • 식품의 가열 후 섭취 / 식기의 관리 • 보건교육의 강화와 예방접종 실시
I. 급성감염병(14) • 3) 세균성이질(bacillary dysentery) • 이질의 종류(원인체에 따라) • 세균성 이질 제1군감염병 • 아메바성 이질 • 바이러스성 이질 • 임상증상 • 고열과 구역질, 경련성 복통, 배변 후 불편감을 동반한 설사, 점액이나 혈액이 혼입된 혈변 • 대장의 점막에 심한 궤양 형성 • 대․소장의 급성세균성감염 • 어린이들에게는 전신적 경련
I. 급성감염병(15) • 병원체 • Shigelladysenteriae(A아군), S. flexneri(B아군), S. boydii(C아군), S. sonnei(D아군) • A아군 : 가장 심함 • D아군 : 경증이며 점액성혈변이 없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분변 • 잠복기 :2~7일
I. 급성감염병(16) • 감수성 • 성인<소아, 질병 회복 후의 면역은 불확실 • 전파 • 분변으로 탈출하여 파리나 불결한 손을 통하여 식품 등으로 경구적 침입 • 예방대책 • 장티푸스와 동일한 관리 • 예방접종은 실시되지 않음 • 예방접종 백신은 개발이 시도되었으나 아직 유용한 백신은 없음 • 배변 후 손씻기
I. 급성감염병(17) • 4) 폴리오(poliomyelitis:급성회백수염) • 특징 • 소아마비, 제2군감염병 •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영구적인 마비를 일으키는 급성 감염병 • 세계적으로 골고루 분포 • 6~9월에 많이 발생(늦은 여름과 초봄에 다발)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환자 발생이 거의 없음
I. 급성감염병(18) • 병원체 • 폴리오바이러스 • 종류 :I형, II형, III형I형이 마비형폴리오와관계가 있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 • 감염원 :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의 호흡기계 분비물과 분변
I. 급성감염병(19) • 전파 •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와의 직접 접촉 • 비말감염 전파 • 식품이나 물에 의한 전파는 드물며 증거 불충분 • 오염된 하수오물을 통한 전파가 많음 • 감수성 • 미감염자는 연령에 관계없이 감염보통은 불현성 감염 • 일반적으로 소아기에 면역을 획득 • 잠복기 : 7~12일
I. 급성감염병(20)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하며 효과가 확실 • 혼합형 sabin vaccine(생백신)을 경구 투여 • 경구 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주사용 salk vaccine을 사용 • 생후 2개월에서 2개월 간격으로 3회 기본접종을 하고 추가접종은 생후 18개월에 실시
I. 급성감염병(21) • 5) 유행성 간염(infectious hepatitis) • 특징 • 주로 어린 연령층에서 급성간염을 일으키며 대부분 회복 • 간염의 종류 • A형, B형,C형(nonAnonB), delta형 • 유행성 간염(감염성 감염)은 A형에 의해서 발생 • 제1군감염병
I. 급성감염병(22) • 병원체 • A형 바이러스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분변 • 전파 • 환자의 분변탈출식품 등에 오염경구로 침입 • 오염된 손을 통해 경구로 침입
I. 급성감염병(23) • 감수성 • 어린 연령층에서 감수성이 높으며 급성감염을 일으키나 대부분이 회복되며 병이 회복된 후 다소의 면역력이 생김 • 잠복기 : 15~40일 • 예방대책 • 환경위생의 강화 • 식품의 위생적인 취급
I. 급성감염병(24) • 6) 파라티푸스(paratyphoid fever) • 특징(장티푸스와 비교) • 장티푸스와 비슷한 증세 • 기간이 짧고 증세가 미약 • 제1군전염병 • 임상증상 • 위장염을 일으키기도 하여 식중독과 구별하기 힘듬 • 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
I. 급성감염병(25) • 병원체 • Salmonella paratyphi A․B․C형의 세 종류 • 우리나라는 B형이 가장 많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환자와 보균자 • 감염원 : 환자와 보균자의 대소변 • 전파 • 환자 또는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식품 등에 의하여 경구 침입 • 오염된 손 등에 의하여 직접 감염
I. 급성감염병(26) • 감수성 • 보편적이고 질병이 완쾌된 후 면역성이 수년간 생성 • 잠복기 :1~2주,침입균량이 많을 때 1~10일 • 장티푸스의 잠복기 는 1~3주이므로 잠복기가 장티푸스보다 짧음 • 예방대책 • 장티푸스와 동일
I. 급성감염병(27) • 2. 호흡기계 감염병 • 직접전파 • 비말(droplet) 전파 • 공기전파 • 비말핵(droplet nuclei), 먼지 • 대책 • 환경개선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움 • 감염원 및 감수성 보유자의 관리가 특히 중요 • 호흡기계 감염병 질병 •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성홍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인플루엔자 등
I. 급성감염병(28) • 1) 디프테리아(diphtheria) • 특징 • 인후, 코 등의 상피조직에 국소적 염증 • 장기조직에 장애 • 체외독소를 분비하여 혈류를 통해 신체 각 부위에 운반 • 겨울과 봄에 많음 • 우리나라는 10세 이하, 특히 1~4세 층이 전 환자의 60%를 차지 • 10세 이상에는 급격히 발생이 감소 • 호흡장애와 심장마비가 사망원인
I. 급성감염병(29) • 병원체 • Corynebacteriumdiphtheriae • 그람양성간상균이며아포를 형성하지 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환자 및 보균자,보균자에 의한 전파 많음 • 감염원 : 환자 및 보균자의 콧물, 인후 분비물, 기침 등에 발생하는 비말 및 비말핵 • 전파 • 비말이나 비말핵이호흡기나 피부 상처 등을 통하여 전파 • 잠복기 : 2~5일간
I. 급성감염병(30) • 감수성 • 생후 6개월간은 모체로부터 받은 면역 유효 • 감수성지수 : 10% • 회복된 후 약한 면역 • 병후보균자의 감염력이 큼(디프테리아&장티푸스)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이 중요 • 환자가 발생된 경우 격리와 소독 필요 • 예방접종은 순화독소(toxoid)가 이용 제2군감염병 • 감염이 의심될 때에는 항독소(antitoxin)가 이용
I. 급성감염병(31) • 2) 백일해(pertussis) • 특징 • 전 세계적으로 유행 • 겨울에서 봄까지 유행 • 기관지와 모세기관지에 주 병변이 생겨 심한 기침 • 9세까지의 발생이 높고, 특히 1~5세에 많이 발생 • 1세 이하에는 치명률이 높음 •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 • 약 2주 동안 격렬한 기침과 경련성 발작 • 우리나라는 4~7월에 많이 발생
I. 급성감염병(32) • 병원체 • Bordetellapertussis • 운동성이 없는 그람음성균,아포나 편모는 없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환자 • 잠복기 : 1주일 전후 • 전파 • 감염자와 직접 접촉 감염 • 비말감염, (객담오염) 또는 오염된 물품
I. 급성감염병(33) • 감수성 • 모체로부터 받는 수동면역이 없음 • 7세 이하에서 발생률 높음 • 회복된 후 영구면역 • 예방대책 • 조기 예방접종이 중요(사균백신) 제2군감염병 • DTP접종 :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 환자가 발생 시 격리와 소독
I. 급성감염병(34) • 3) 홍역(measles) • 특징 • 법정감염병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던 감염병 • 세계 전 지역에서 거의 아이들에게만 발생하는 감염력이 가장 강한 감염병(1~2세) • 주기적으로서 1~5(2~3)년 간격으로 유행 • 3~6월에 많이 발생 • 열과 전신에 발진, 이염(耳炎), 폐렴의 합병증 • 항생제의 발달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음
I. 급성감염병(35) • 병원체 • Measle바이러스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상기도 분비물 • 전파 • 비말감염 또는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물건을 통하여 전파 • 잠복기 : 8~13일, 발진 14일 • 초기 증상 : 고열, 기침, Koplik 반점
I. 급성감염병(36) • 감수성 • 이환된 후 영구면역 획득 • 생후 6개월까지는 모체로부터 받은 항체로 감염이 되지 않음 • 선천면역(X) • 발진기보다 전구기가 감염의 위험이 가장 큼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 제2군감염병 • 예방접종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면 감마글로블린을 사용하여 예방 또는 경증화
I. 급성감염병(37) • 4) 성홍열(scarlet fever) • 특징 • 피부발진을 일으키는 용혈성(hemolysis) 구균질환의 일종 • 용혈성 : 적혈구를 파괴하는 성질 • 온대지방에 많이 유행(우리나라 5월 전후) • 진단법 :dick test 방법 • 갑자기 시작되는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오한, 인후염 • 발진은 주 증상이 있은 후 12~48시간 뒤에 선홍색의 작은 구진이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서 생겨 몸통이나 사지로 퍼져나감
I. 급성감염병(38) • 병원체 • 화농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중 일명 Dick’s toxin이라는 발적독을 생성 분비하는 균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나 보균자 • 감염원 : 환자나 보균자의 상기도나중이부 등 감염 부위에서 나오는 분비물 • 전파 • 환자의 분비물이 호흡기나 외상 부위로 침입 • 잠복기 : 3일 전후
I. 급성감염병(39) • 감수성 • 보통 • 예방대책 • 환경위생의 강화 • 환자의 발견 및 격리
I. 급성감염병(40) • 5) 유행성이하선염(mumps):볼거리 • 특징 • 이하선(귀밑샘)을 침범하여 종창, 오한, 미열, 두통이 계속되다가 이하선이나 고환, 난소, 젖샘 등에 감염되는 것 • 특히 생식선의 감염에 주의 • 어린아이에게서 많이 발생 • 평균잠복기간 :18일 • 발열, 두통, 근육통, 식욕부진, 구토 등 • 체내 여러 부분으로 침투할 수도 있음
I. 급성감염병(41) • 오래 지속되지는 않지만 몇 가지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음 • 임신 초기(4개월 이내)에 임산부가 감염되면 기형아를 출산할 수도 있음 • 어린 시절 청각장애의 주요한 원인
I. 급성감염병(42) • 병원체 • Mumps 바이러스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침에 섞여 나오는 비말이나 비말핵 • 전파 • 환자의 비말에 의한 직접전파 • 비말핵에 의한 간접전파 • 잠복기 : 2~4주
I. 급성감염병(43) • 감수성 • 보통이며 이환(현성감염) 및 불현성감염시 영구면역을 획득 • 대책 • 환자의 격리가 중요 • 환자의 분비물에 오염된 물건의 소독 • 예방접종 제2군감염병
I. 급성감염병(44) • 6) 풍진(German measles:rubella) • 특징 • 홍역보다 증상이 가벼우나 감염력이 강함 • 열이 나고 목 뒤의 림프절이 커지면서 발진이 생김 • 임신 초기에 이환되면 태아에 영향을 줌 • 잠복기 : 14~21일(약 16일) • 열과 발진이 있을 때에는 격리 필요 • 병원체 • Rubella 바이러스
I. 급성감염병(45)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인두에서 배출되는 비말이나 비말핵 • 전파 • 비말이나 비말핵(유행성이하선염과 동일) • 잠복기 :2~3주 • 감수성 • 감수성이 높으며 출생 후 몇 개월은 면역성이 있고, 이환 후 영구면역을 획득
I. 급성감염병(46) • 예방대책 • 예방접종 실시(임산부에게는 예방접종을 금함) 제2군감염병 • 임신 초기에 이환되었을 때는 감마글로블린 주사 • 환자의 격리
I. 급성감염병(47) • 7) 인플루엔자(influenza) • 특징 • 유행성 감기 또는 독감 • 갑작스런 발열(38~40℃), 오한, 두통, 근육통 및 전신쇠약 • 범세계적으로 유행 / 감염력이 매우 강함제3군 • 발열기간은 약 2주이며 40세 이상 환자는 사망가능 • rickettsia가 혈액을 통하여 전신에 퍼져, 특히 뇌, 심근 및 모세혈관에 혈전과 괴사가 생길 수 있음 • 발병 후 5~6일에 발진이 배와 목에 나타나 전신에 퍼지나 얼굴에는 생기지 않음
I. 급성감염병(48) • 병원체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C형 • 해마다 유행하는 유형은 일정하지 않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비말 • 전파 • 비말에 의한 직접전파 • 오염된 물건에 의한 간접전파 • 잠복기 :24~72시간 • 감염기간 : 환자의 임상적 증상 후 3일까지
I. 급성감염병(49) • 감수성 • 어린 학령기 아동의 감수성이 높음 • 이환 후에는 유행하는 바이러스균에 대하여는 면역 • 예방대책 • 유행시에는 대중이 많이 밀집한 장소 금지 • 예방접종 :A형과 B형을 혼합한 vaccine • 다른 유형의 균이라면 면역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