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969 Views
Logistics Management. 물류관리 특강. 제 13 주. 보 관 하 역 론. 제 1 강 창고시스템운용 , 창고자동화 , 컨테이너터미널. 제 2 강 파레트풀 , 포장개론 , 포장기법과 ULS, 포장재료 및 설계 · 기기. 제 1 강 . 창고시스템운용 , 창고자동화 ,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 13 주. 창고시스템운용. 가 . 인력에 의한 방식은 선반 등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사람이 걸어서 또는 오더피킹 기계를
E N D
Logistics Management 물류관리 특강 제13주 보 관 하 역 론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제2강 파레트풀, 포장개론, 포장기법과 ULS, 포장재료 및 설계·기기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가. 인력에 의한 방식은 선반 등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사람이 걸어서 또는 오더피킹 기계를 이용하여 피킹하는 것으로서 물품의 종류나 수량이 많아지면 물품 파악이 어려워피킹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나. 릴레이방식은 여러 사람의 피커(picker)가 각각 자신이 분담하는 종류나 선반의 작업범위를 정해 놓고, 피킹 전표에서 자기가 맡은 종류의 물품만을 피킹하여 릴레이식으로 다음 피커에게 넘겨주는 방식이다. 다. 싱글 오더피킹방식은 한 건의 주문마다 물품을 피킹해서 모으는 것으로서 1오더별로 품목 갖추기가 완료되기 때문에 그때마다 출하할 수 있다. 라. 일괄오더피킹방식은 여러 건의 주문전표를 합쳐서 한번에 피킹하는 방식으로서 피킹 전표상의 물품이 자동 선별되므로 주문별로 분류할 필요가 없다. 마. 총량피킹방식은 주어진 기간내의 주문전표를 한데 모아서 피킹하는 방식이다. 1. 다음 오더피킹 방식 중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7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2. 다음 그림은 오더피킹 방식의 하나이다. 어떤 오더피킹 방식에 대한 표현인가? (7회) 가. 총량 피킹 방식 나. 싱글오더 피킹 방식 다. 씨뿌리기 방식 라. 집어내기 방식 마. 배치(Batch) 피킹 방식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가. 1인 1건 방법 나. 존 피킹 방법 다. 싱글오더피킹 방법 라. 일괄오더피킹 방법 마. 총량피킹 방식 3. 다음 오더피킹 방식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가. 오더피킹은 저장 중에 있는 창고내 화물을 거래처로부터 수주받아 주문별로 모아서 출하하는 것이다. 나. 총량피킹방식이란 일정량에 해당되는 화물의 무게만을 피킹하는 방식이다. 다. 싱글오더피킹은 한건의 주문에 대해 물품을 피킹하는 것이다. 라. 릴레이방식은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신이 분담하는 종류나 작업범위를 정해 놓고 피킹 전표에서 자기가 맡은 물품만을 피킹하여 릴레이식으로 다음 피커에게 넘겨주는 방식이다. 마. 어소트 방식은 집하된 물품을 주문별로 배분하는 방식을 말한다. 4. 오더피킹과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0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가. 트럭 적재함과 창고높이 조절과 같이 창고와 연계되는 접점을 조정한다. 나.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등을 수직․수평운반에 이용한다. 다. 입출고 등을 위한 창고 내의 작업시간대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한다. 라. 보관품의 재고위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한다. 마. 드라이브인 랙이나 이동식 랙을 설치하여 통로면적을 축소한다. 5. 집배중심형창고에서 창고의 입출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6. 창고 내 격납장 유형 중에서 선입선출이 어느 정도 필요하게 될 때, 2열(2산법) 또는 3열(3산법)로 입출고하는 형태는? (10회) 가. 나. 다. 라. 마.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가. 스태킹(Stacking) 나. 배닝(Vanning) 다. 디배닝(Devanning) 라. 래싱(Lashing) 마. 피킹(Picking) 7. 수송기기에 실려진 화물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8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시스템운용 가. 창고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는 층수, 높이, 화물흐름 등이 포함된다. 나. 특별한 제약조건이 없다고 가정할 때, 가장 이 상적인 창고는 자동화된 고층창고이다. 다. 창고의 최대 높이는 화물취급장비가 안전하게 격납 및 반출할 수 있는 높이와 스프링클러 시스템과 관련된 안전규정 등에 의해서 제약된다. 라. 일반적으로 창고에서의 화물의 흐름은 입하구역, 보관구역, 선별구역, 포장 및 단위 적재작업구역, 선적대기구역을 거치며 이루어진다. 마. 창고 내에서의 화물의 이동은 한번에 가능한 한 멀리, 가능한 한 적은 빈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창고운영 기본원칙에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7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자동화 가. 광학식 인도방식 : 주행로의 바닥에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페인트로 선을 그려 운반기기가 테이프나 페인트를 광학센서로 식별하여 주행하는 방식 나. 자기 인도방식 : 인도용 동선이 주행로 바닥에 매설되어 있어 저주파가 흐르는 동선을 운반기기가 탐지용 코일로 탐지하여 주행하는 방식 다. 무선 제어방식 : 작동지시용 카드를 기기에 삽입하면 내장된 컴퓨터가 카드의 정보를 해독하여 제어하는 방식 라. 전기스위치 : 셀렉터랙에 꽂은 자기 셀렉터의 내용에 따라서 코일박스가 분기관을 개폐하여 카드의 선행을 결정하는 방식 마. 레이저 스캐닝 방식 : 바코드라벨을 스캐너로 판독하여 컴퓨터에 정보를 전달하여 제어하는 방식 9. 다음은 무인반송차의 제어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바르지 않은 것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자동화 가. 원하는 화물을 자유롭게 반출시킬 수 있다. 나. 화물의 위치 관리가 용이하다. 다. 고층화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라. 하역의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마. 어떠한 화물이라도 적입할 수 있다. 10. 자동창고와 일반창고와의 비교에서 자동창고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자동화 가. 보관면적의 감소 나. 운영인력의 절감 다. 재고관리 용이 라. 화물손상 감소 및 안전성 증대 마. 시설자금 조달의 경감 11. 다음 중 자동창고의 장점이 아닌 것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자동화 가. 자동화 창고는 선입선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나. 자동화 창고는 입출고상의 효율성을 높이고 인력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 자동화 창고는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취급하는 영업용 창고에 적합하다. 라. 자동화 창고는 협소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된다. 마. 자동화 창고는 다품종 소량생산이나 소량 다빈도 배송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다. 12. 자동화창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8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창고자동화 가. 피킹설비 및 운반기기를 자동화하고 컴퓨터 제어방식을 통해 입출고 작업의 효율성 제고효과와 인력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나. 물품의 보관에 있어서는 free location 방식 을 채택하여 보관능력을 향상시킨다. 다. 자동화창고는 물품의 흐름보다는 보관에 중점을 두어 설계되어야 한다. 라. 자동화창고에서 처리할 물품들은 치수와 포장, 중량 등을 기준으로 단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마. 적은 투자로 기존 건물을 개조하고 랙을 설치하여 제한적인 자동창고의 효과를 볼 수도 있다. 13. 다음의 자동화창고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 (11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2가지 이상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화물터미널로 일반화물터미널과는 구분된다. 나. 운송.보관의 공급기능과 금융.정보 등의 보조적 기능이 종합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진다. 다. 화물의 집하, 하역, 분류, 외부포장, 보관 등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어 화물유통의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라. 수출입화물의 내륙통관기능은 내륙ICD의 고유기능으로 복합화물터미널은 이 기능을 가질 수 없다. 마. 투자방식은 크게 정부.지자체 주도방식, 민간주도방식 및 민관합동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4. 복합화물터미널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축된 구조물로 보통 표준 선박 1척을 직접 정박시킬 수 있는 곳을 안벽이라 한다. 나. 안벽에 접한 야드 부분에 일정한 폭으로 나란히 뻗어 있는 하역작업을 위한 공간이며, 부두에서 바다와 가장 가까이 접한 곳으로폭이 30m-50m 인 공간을 에이프런이라 한다. 다. 방금 하역하였거나 적재할 컨테이너를 정열해 주는 넓은 장소를 마샬링야드라 하며 에이프런과 이웃하고 있다. 라. 컨테이너를 인수, 인도하고 보관하는 장소를 컨테이너 야드라 하며, 넓은 의미로서는 마샬링야드, 에이프런, CFS 등을 포함한다. 마. 컨테이너 한개를 채울 수 없는 소량화물을인수, 인도하고 보관하거나 컨테이너에 적입 또는 끄집어내는 작업을 하는 곳을 CY라 한다. 15. 다음 중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 시설에 대한 내용으로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7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마샬링야드(Marshalling Yard)는 에이프론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나. 컨테이너 야드(CY)는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마샬링야드의 배후에 배치되어 있다. 다. LCL은 컨테이너 하나에 채우기 부족한 화물을 말하며, FCL은 컨테이너 1개를 가득 채울 수 있는 화물을 말한다. 라. CFS는 컨테이너 소량화물의 혼재작업을 하는 취급장을 말한다. 마. 선석(berth)은 컨테이너선에 선적해야 할 선적예정 컨테이너를 사전계획에 의해 순서대로 쌓아올린 장소이다. 16. 다음 중 컨테이너 터미널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스트레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터미널내에서 컨테이너를 양각 사이에 놓고 상하로 들어올려 컨테이너를 마샬링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하는데 사용된다. 나. 트렌스테이너 크레인(Transtainer Crane)은 일정한 간격을 가진 교각형 기둥으로 상부 크레인을 지지하고 기둥의 상하로 컨테이너를 감아올려 적재 및 인수를 수행하며, 하부에는 이동할 수 있는 바퀴를 지니고 있다. 다. RTGC(Rubber-Tyred Gantry Crane)는 직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된 인식 장치 및 유도장치 등이 필요하다. 라. RMGC(Rail-Mounted Gantry Crane)는 레일위에 고정되어 있어 컨테이너의 적재 블록을 자유로이 바꿀 수 없기 때문에 RTGC에 비해 작업의 탄력성이 떨어진다. 마. OHBC(Over-Head Bridge Crane)은 돌출된 구조물 위에 레일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RMGC에 비해 초기투자비가 적게 소요되며 크레인 동작부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컨테이너의 단위적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17.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하역기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 나. 트랜스테이너 방식 다. 샤시 방식 라. 혼합방식 마. 갠트리 크레인 방식 18. Sealand사에서 개발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하역방식으로 육상 및 선상에서 크레인으로 컨테이너선에 직접 상차하며, 보조 하역기기가 필요 없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7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샤시 방식(Chassis System) 나.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다. 스트래들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라. 지게차에 의한 방식(Pork Lift System) 마. 겐트리크레인 방식(Gantry Crane System) 19. 다음은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방식 중 어떤 방식인가? (9회)
제1강. 창고시스템운용, 창고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보관하역론 제13주 • 컨테이너터미널 가. CY는 LCL화물을 쌓아두는 야외공간을 말한다. 나. 수입 LCL화물은 대부분 CFS를 거쳐서 각각의 수화주에게 인도된다. 다. 수출 LCL화물은 CFS에서 FCL화물로 전환된 후 컨테이너선으로 운송된다. 라. FCL화물은 CFS를 거치지 않고 CY로 직접 운송된다. 마. CFS는 반드시 터미널 내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20. CY(Container Yard)와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거리가 먼 것은? (9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