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9

효과적인 강화법

효과적인 강화법. 천안대학교 특수교육과 이성봉. 목 차. 서론 행동적 중재 효과적인 강화법 긍정적인 행동지원과 차별강화 맺는말. 생각해 봅시다. 학생이 공부시간에 떠든다. 수업시간 내내 복도에 나가 손들고 벌선다. 생각해 봅시다. 학생이 공부시간에 떠든다. 수업시간 조용히 하면 컴퓨터실에 가서 게임한다. 생각해 봅시다. 자폐아동이 사물함에 올라간다. 올라갈 때 마다 주의를 준다. 생각해 봅시다. 자폐아동이 사물함에 올라간다. 사물함에 화분을 배치한다. 1. 행동적 중재. 행동수정의 정의.

dandre
Download Presentation

효과적인 강화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효과적인 강화법 천안대학교 특수교육과 이성봉

  2. 목 차 • 서론 • 행동적 중재 • 효과적인 강화법 • 긍정적인 행동지원과 차별강화 • 맺는말

  3. 생각해 봅시다 학생이 공부시간에 떠든다. 수업시간 내내 복도에 나가 손들고 벌선다.

  4. 생각해 봅시다 학생이 공부시간에 떠든다. 수업시간 조용히 하면 컴퓨터실에 가서 게임한다.

  5. 생각해 봅시다 자폐아동이 사물함에 올라간다. 올라갈 때 마다 주의를 준다.

  6. 생각해 봅시다 자폐아동이 사물함에 올라간다. 사물함에 화분을 배치한다.

  7. 1. 행동적 중재

  8. 행동수정의 정의 행동수정은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간행동의 변화를 의도적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9. 행동수정의 방법 • 강화에 의한 중재방법 • ∙ 행동형성법 • ∙ 행동연쇄법 • ∙ 용암법 • ∙ 간헐강화 • ∙ 도피 및 회피학습 • ∙ 자극통제와 자극변별 훈련 등

  10. 혐오자극에 의한 중재방법 • ∙ 벌 • ∙ 소멸 • ∙ 타임 아웃 • ∙ 반응대가 • ∙ 차별강화 등

  11. 강화원리의 통합에 의한 중재방법 • ∙ 토큰강화체제 • ∙ 관찰학습 • ∙ 자기통제 등

  12. 기술습득의 중재방법 • ∙ 자기조절 기술 • ∙ 기능적 의사소통 기술 • ∙ 사회적 기술 • ∙ 의사결정 기술 등

  13. 2. 효과적인 강화법

  14. 강화의 정의 강화는 특정한 행동 발생에 즉각적인 결과가 뒤따르고, 그 결과로 행동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다.

  15. 모든 행동은 강화를 받으면 변한다.

  16. 조작적 행동 : 강화를 통해 증가된 행동 • 강화인 : 조작적 행동을 강화하는 결과

  17. 강화의 종류

  18. 정적강화 vs 부적강화 • 정적강화 행동발생 뒤 ⇒ 자극이나 자극강도의 증가 ⇒ 행동 증가 예) 토큰, 보너스(정적 강화인)

  19. 부적강화 행동발생 뒤 ⇒ 자극의 제거나 자극강도의 감소 ⇒ 행동 증가 예) 교실청소 면제(혐오자극)

  20. 정적벌 vs 부적벌 • 정적벌 행동발생 뒤 ⇒ 혐오자극 수반 ⇒ 행동 감소 예) 자라에 놀란 가슴 솥뚜껑만 봐도 놀란다

  21. 부적벌 행동발생 뒤 ⇒ 자극의 제거 ⇒ 행동 감소 예) 교통범칙금(반응대가), 타임아웃

  22. 도피행동 vs 회피행동 • 도피행동 :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혐오자극의 종결을 가져온다. • 회피행동 : 혐오자극의 출현 방지한다.

  23. 도피행동 vs 회피행동의 예 • 뜨거운 아스팔트 - 맨발과 신발 • 영화관람 - 10대 소녀들 옆 자리와 먼 자리

  24. 무조건 강화인 vs 조건 강화인 • 무조건 강화인(1차 강화인) : 생존가치나 생물학적 중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자연히 강화되는 자극이다. 예) 음식, 물, 성적자극/ 추위, 더위, 불쾌감

  25. 조건 강화인 : 원래는 중립적 자극인데, 무조건 강화인이나 다른 조건화된 강화인과 한 쌍을 이루어 강화인이 된 것이다. 예) 관심, 돈, 토큰

  26. 강화의 요인 • 즉시성 : 자극은 행동 후 즉시 주어졌을 때 강화인으로서 더욱 효과가 있다. 예) 물개쇼

  27. 유관성 : 자극은 행동에 유관되어 있을 때 강화인으로서 더욱 효과가 있다. 예) 자판기 vs 동전

  28. 유인력 : 특정한 시간이나 특정한 상황은 강화인의 가치를 변화시킨다. 예) 시장이 반찬

  29. 결과의 특성 : 강화인은 사람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더 강한 자극이 더 효과적인 강화인이다. 예) 섹시하다.

  30. 강화계획 (schedule of reinforcement) • 연속강화계획(continuous reinforcement schedule) :모든 반응이 강화되는 것이다. 예) 자동판매기 • 간헐강화계획(intermittent reinforcement schedule) :모든 반응이 강화되지 않고 간헐적으로 강화되는 것이다. 예) 슬롯머신

  31. 고정비율 계획(fixed ratio; FR) • 반응이 고정된 수만큼 일어난 후에 강화인을 제공한다. • 높은 비율로 반응하나 강화 다음에 “휴지” 현상이 있다.

  32. 고정비율 계획의 예 - 고정비율 10(FR10) 계획 - 성과급(연봉)

  33. 변동비율(various ratio; VR) • 강화를 위해 요구되는 수가 어떤 평균을 전후로 변화한다. 예) 변동비율 10(VR10) 계획 특별성과급

  34. 고정간격계획(fixed interval; FI) • 정해진 기간이 지난 후 일어나는 첫 번째 학습된 반응에 대해 강화인을 제공한다. 예) 고정간격 20초(FI20) 계획 월급

  35. 변동간격계획(various interval; VI) • 다양한 시간 간격 후에 발생하는 첫 반응에 대해 강화인이 주어진다. 예) 변동간격 20초(VI20) 계획 추석보너스

  36. 반 응 률 • VR > FR > VI > FI • 월급파괴

  37. 강화제공의 원리 • 강화자극은 그것이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느냐 하는 관점에서 규정되어야 한다. • 강화는 바람직한 목표행동에 직접 관련하여 주어져야 한다. • 강화는 일관성 있게 주어져야 한다.

  38. 강화자극은 높이고자 하는 행동이 발생한 즉시 주어져야 한다. • 강화물은 행동변화를 위해서 필요한 만큼 충분하게 주어져야 한다. • 변화시키고자 하는 행동에는 강화 받을 수 있는 많은 단계가 있어야 한다.

  39. 행동유도 • 점진적 접근 • 언어촉구 • 신체적 유도

  40. 칭찬합시다 • 구체적으로 한다 • 간결하게 한다 • 남 앞이나 제삼자에게 칭찬한다 • 사소한 것을 칭찬한다

  41. 당사자 주변의 인물을 칭찬한다 • 우연 그리고 의외의 상황에서 칭찬한다 • 상대에 따라 칭찬 내용이나 방법을 달리한다

  42. 3. 긍정적인 행동지원과 차별강화

  43. 긍정적인 행동지원

  44.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전재들 • 학생의 모든 행동은 언어이다. - 교실의 우유 vs 문제행동 • 학생들의 장점을 찾아 그것을 강화한다. - 물장난 vs 화분물주기 • 환경을 중재한다. - 사물함 vs 화분

  45. 부모 및 교사 자신의 행동을 중재한다. - 학교놀이 vs 회초리 • 학생에 대한 적절한 기대를 가진다. - 피그말리온 효과

  46.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 자폐아동 vs 시간표 • 그 동안의 지도 방법들은 우리가 다 아는 전략들이다.

  47.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특징 • 개인 존중의 철학과 보다 나은 생활양식을 돕기 위한 요구에 기초한다(Horner, Dunlap , & et al., 1990).

  48. 개별적인 기능평가 과정을 통해 획득된 중재들은 아동과 환경이 서로 상호작용 하는 것에 기초한다(Foster-Johnson & Dunlap, 1993; Repp & Horner, 1999).

  49. 중재들은 단순히 바람직하지 않는 행동을 억누르는 것 보다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고, 적응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Carr & et al., 1994; Evans & Meyer, 1985).

  50. 지원계획은 사회적인 맥락, 교육과정, 생태학적인 맥락의 변인들을 포함한다(Dunlap & Kern, 1993, 1996; Munk & Repp, 1994).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