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3

2 . 한국 문 학의 역사와 갈래 [2] 중세 문학

2 . 한국 문 학의 역사와 갈래 [2] 중세 문학. 04 도산십이곡. 시 조. 갈래 정리. 시조의 개념.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된 형태로 ,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창작되고 불려지는 우리 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 3 장 6 구 4 음보 45 자 내외의 서정시가. 시조의 발생 과정. 고려 후기에 이르러 새로이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기존의 문학 양식인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한 새로운 표현. 시조의 형식.

Download Presentation

2 . 한국 문 학의 역사와 갈래 [2] 중세 문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2] 중세 문학 04 도산십이곡

  2. 시 조 갈래 정리

  3. 시조의 개념 •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된 형태로,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창작되고 불려지는 우리 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 • 3장 6구 4음보 45자 내외의 서정시가

  4. 시조의 발생 과정 고려 후기에 이르러 새로이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기존의 문학 양식인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한 새로운 표현

  5. 시조의 형식 • 기본 음보율: 각장4음보, 전체 12음보 • 기본 음수율: 3·4조 또는 4·4조 전체 45자 내외

  6. 고려 말의시조 • 내용: 늙음에 대한 탄식과 한탄, 군주에 대한 걱정, 우국충절, 혼란한 정치에 대한 원망, 쇠락해가는 고려왕조에 대한 번민 등이 어우러져 이 시기의 시조의 내용적 특성을 형성 • 대표적 작가 : 이색, 정몽주, 최영 등

  7. 조선 초기의 시조 • 작가 및 내용 • 형식의 간결함이 당시 유학자의 검소하고 담백한 정서를 표현하는 데 알맞음. • 다양한 미의식을 보여줌. • 단형시조와 평시조가 주류를 이룸. • 많은 지식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드러냄.

  8. 조선 후기 시조 문학 • 조선 중기 이후, 가객 김천택, 박효관, 김수장, 안민영 등의 등장으로 시조창이 보편화됨. • 조선 후기 평민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작자층이 평민으로 확대됨. 특히 정형적인 평시조의 틀을 벗어나 사설시조가 많이 창작됨. • 우국충절, 현실에 대한 관심, 진솔한 생활 감정, 익살과 풍자 등 다양한 내용

  9. 이황의생애와 작품 세계

  10. 1. 이황의 생애 • 이황(1501~1570)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 본관 진보(眞寶). 자(字) 경호(景浩). 호(號) 퇴계(退溪). • 1523년(중종18) 성균관(成均館)에 입학 ▶서울 남산공원 이황 동상

  11. 이황의 생애 • 1528년 진사가 되고 1534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한 이후로 수많은 벼슬을 역임하고 1569년(선조 2년) 고향에 은퇴하여 후학 양성에 온 힘을 기울였다. • 이동설(理動說),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 주리론적사상을 형성하여주자성리학을 심화, 발전시켰다. 퇴계선생 친필 홀기

  12. 이황의 생애 • 그의 학풍은 뒤에 그의 문하생인 유성룡(柳成龍), 김성일(金誠一), 정구(鄭逑) 등에게 계승되어 영남학파(嶺南學派)를 이루었고, 이이(李珥)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기호학파(畿湖學派)와 대립, 동서 당쟁은 이 두 학파의 대립과도 관련되었다. • 그의 학설은 임진왜란 후 일본에 소개되어 그곳 유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3. 2. 이황의 의의와 평가 • 이황의 학문은 일대를 풍미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를 통해 영남을 배경으로 한 주리적(主理的)인 퇴계학파를 형성해 왔다. 도산서원 전교당

  14. 2. 이황의 의의와 평가 • 이황의 유학은 일본의 기몬학파(崎門學派) 및 구마모토학파(熊本學派)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쳐 왔다. • 또한, 개화기 중국의 정신적 지도자에게서도 크게 존중을 받아,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3국의 도의철학(道義哲學)의 건설자이며 실천자였다고 볼 수 있다.

  15. 이황의 작품 세계 • ‘도산십이곡’ • 조선조 13대 명종 20년(1565년)에 퇴계 이황이 지은 12수로 된 연시조이다. • 벼슬을 사직하고 향리로 돌아와서 도산서원에서 후진을 양성할 때에 이학(理學)을 닦는 심지(心志)를 노래한 것이다. •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를 본받아 천석고황(長石膏肓)과 강학(講學), 사색으로 나날을 보내던 그의 생활상이 잘 나타나 있다.

  16.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2] 중세 문학 04 도산십이곡 작품 정리

  17. 학습 목표 • ’도산십이곡’은 한시가 아닌 우리말로 지은 시로, 시조의 형식적인 특징뿐 아니라 자연과 학문을 대하는 사대부들의 태도가 어떠한지도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당시에 시조가 향유되었던 방법과작가가 한문이 아닌 우리말로 노래를 지은 까닭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18. 작품연구 • 갈래: 평시조, 연시조 • 성격: 교훈적, 예찬적, 도학적(道學的) • 형식: 4음보, 전12수(전 6곡/후 6곡) • 표현: 반복법, 대구법, 영탄법 • 제제: 언지(言志) 및 언학(言學) • 주제: 자연의 관조와 학문의 길

  19. 작품 연구 • 의의 • 한자어가 많아 생경한 감을 주지만 강호가도(江湖歌道)의 대표적인 작품임. • 성리학의 대가가 지은 시조로서 시가의 출발과 발전이 유가(儒家)에 의해 이룩되었음을 보여 줌. • 자연과 학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엿보이며, 자신의 심경을 소박하게 노래함.

  20. 핵심 강의 • ‘도산십이곡’의 구성

  21. 핵심 강의 • ‘도산십이곡’의 전체 내용

  22. 핵심 강의

  23. 조선 사대부들의 자연관 “경국제민”이 반영되어 있음. 핵심 강의 • ‘도산십이곡’에 드러난 자연관 도산 십이곡 경국제민(經國濟民) 사상 : 불우한 정치적 현실에 처해 있어도 자연 속에 침잠하지 않는 것을 사대부의 도리로 여김.

  24. 핵심 강의 • ’도산십이곡’과 사대부의 자연관 • 자연의 절경 속에서 느끼는 서정을 시조에 담아내면서도 세상을 잊는 우를 범하지 않고자 함. • 여느 강호 시조와의 차이점 : 사회와 자연을 서로 대립적인 것으로 여기지 않고 자신이 펼치고자 한 뜻(志)과 자연과 조화를 이뤄내고자 함. • 도산십이곡에서 자연관이 나타나는 부분은 ‘언지’의 작품 여섯 수임.

  25. 핵심 강의 • ‘도산십이곡’의 언지에 나타난 의지 • 자연 속에 묻혀 • 학문과 후진 • 양성에 • 매진하고자 함. • 자연과의 합일 속에서 우주적 이치를 체득하는 즐거움을 얻고자 함. • 정계에서 • 물러나고자 함. 화자가 노래한, 날마다 사물을 접하면서 얻는 깨달음과 학문을 닦고자 하는 의지는 오늘날에도 되새겨 볼 가치가 있음. • 도산십이곡 • 언지 6수

  26. 어휘 및 어구 풀이 • : 어떠한가? • : 시골에 묻혀서 사는 어리석은 사람. • : 무엇하겠는가. •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27. 핵심 강의 • : 연기와 노을. 멋진 자연의 풍치. • : 가던. • : 다른 데. • : 마음. • : 그치지. • :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이 언제나 푸름.

  28. 1수 핵심 강의 • ’도산십이곡’의 이해 • 주제 : 초야에 묻혀 사는 사람의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 • 초장 탈속(脫俗)의 생활 태도 • 중장벼슬에서 물러난 자연에서의 생활 • 종장천석고황의 자세(화자의 자연관)

  29. 2수 • 10수 핵심 강의 • 주제 : 자연에 묻혀 늙어가는 도학자의 자세 • 초장 자연 속에 묻혀 사는 모습 • 중장태평성대 속에 병으로 늙어감. • 종장욕심 없이 살고자 함. • 주제 : 학문 수행에 대한 새로운 다짐 • 초장 학문을 두고 벼슬하던 생활 →과거 • 중장벼슬을 버리고 귀향 → 현재 • (벼슬길에서 헤매던 일 자책) • 종장학문 수행에의 결의 → 미래 • (후진 양성의 길로 돌아옴.)

  30. 11수 핵심 강의 • 주제 : 학문과 수양에의 변함없는 의지(자연에 동화되어 예찬함.) • 초장 청산(靑山)의 영원성 • 중장유수(流水)의 영원성 • 종장만고상청(萬古常靑)할 결의 • (끊임없는 학문 수양에의 다짐)

  31. 조선 시대의 시조 향유 방법 (전략) 그러나 오늘날의 시는 옛날의 시와 달라서, 읊을 수는 있으나 노래하지는 못한다. 만약 노래하고자 하면 반드시 시속의 말로 지어야 할 것이니, 이는 대체로 우리 국속(國俗)의 음절이 그렇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 이황,‘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 ‘노래하고자 하면 반드시 시속의 말로 지어야 할 것이니’ → 조선 시대에는 시조를 노래로 향유했을 것으로 추측

  32. ’도산십이곡’이 우리말 노래로 지어진 이유 • 이황의 ‘도산십이곡’ 발문에서 한시는 읊을 수 있지만 노래하지는 못하므로 우리말 노래로 지었다고 되어 있음. • 이황이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노래로 지은 것은 그것을 노래로 부르고 춤추며 뛰게 되면 비루한 마음이 씻어지고, 마음을 녹여 서로 통하게 되므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노래를 듣는 사람 모두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이라 하였음.

  33. 시조의 이해 • 시조란? 고려 말기부터 발달해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 시조의 발생 :향가가 소멸된 이후 나타난 시조는 신흥 사대부의 서정 가요에 대한 요구에 따라 생겨난 것으로 파악된다. 중세 후기에 새롭게 나타난 시가들 가운데서도시조는 오늘날에도 문학 갈래로서의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다.

  34. 시조의 특징

  35. 시조의 특징

  36. 2-[2] 중세 문학 • ‘도산십이곡’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1) 이 작품에서 자연에 대한 시인의 태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난 시구를 찾아 제시해 보자. 예시 답| 천석고황(泉石膏黃) – 화자는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마음을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인 ‘천석고황(泉石膏黃)’으로 표현하였다.

  37. (2) 지난날을 반성하며 앞으로 학문에 열중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은 몇 번째 수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제10수– 제10수에는 과거 학문의 길에서 벗어나 벼슬길에 나아갔다가 돌아와 이제는 다른 곳에다 마음을 두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 (3) 자연에 동화되어 그 덕을 예찬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은 몇 번째 수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제11수– 제11수에는 변하지 않고 푸른 산과 그치지 않고 흐르는 물을 통해 자연을 예찬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38. 2. 다음은 ‘도산십이곡’ 발문의 일부이다. 글을 읽고 다음의 물음에 답해 보자. • (1) 이 글을 참고하여 조선 시대에 시조를 향유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었을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오늘날의 시는 옛날의 시와 달라서, 읊을 수는 있으나 노래하지는 못한다(한시). 만약 노래하고자 하면 반드시 시속의 말로 지어야 할 것이니(시조)’를 통해 시조를 향유하는 방법이 노래로 부르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이

  39. 들로 하여금 아침저녁으로 익혀서 부르게 하고, 궤석에 기대어 듣는다.’를 통해 스스로 노래할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그것을 노래하게 하고 그것을 들어서 감상했음을 알 수 있다.

  40. (2) 이 글을 참고하여 이황이 한시가 아닌 우리말 노래를 지은 이유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한시는 읊을 수 있지만 노래하지는 못하므로 우리말 노래를 지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황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노래로 지은 것은, 그것을 노래로 부르고 스스로 춤추며 뛰게 되면 비루한 마음이 거의다 씻어지고, 느낌이 일어나 마음을 녹여 서로 통하게 되므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노래를 듣는 사람 모두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41. (3)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하여 본문의 ‘도산십이곡’ 4수를 언지와언학의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자. • 예시 답| • 언지: 제1수, 제2수 • 언학: 제10수, 제10수

  42. 3. 다음은 윤선도의 시조이다. 이 시와 이황의 ‘도산십이곡’을 비교하여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1) 두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처지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두 작품의 화자 모두(관직에서 벗어나) 자연을 벗 삼아 지낸다.

  43. (2) 두 작품에서 자연을 대하는 화자의 태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도산십이곡’의 화자가 자연을 통해 심성을 수양하고 배웅을 얻는다면 ‘어부사시사’의 화자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즐기고 있다. • (3) (2)의 활동을 참고하여 두 화자의 태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 후, 자연을 예찬하는 짧은 산문을 써 보자. 예시 답| 생략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