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likes | 544 Views
위성 DMB 사업현황과 전망. 2006. 11. 23. TU Media Corp. TU Media Corp. 목차. I. 서비스 현황. I.1 서비스 추진 경과 I.2 채널 구성 I.3 채널 운영 현황 I.4 요금 정책 I.5 Business Model I.6 Value Chain. II. 망 구성. III. 커버리지 현황. IV.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서비스 추진 경과. I. 서비스 현황.
E N D
위성DMB 사업현황과 전망 2006. 11. 23 TU Media Corp. TU Media Corp
목차 I 서비스 현황 I.1 서비스 추진 경과 I.2 채널 구성 I.3 채널 운영 현황 I.4 요금 정책 I.5 Business Model I.6 Value Chain II 망 구성 III 커버리지 현황 IV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서비스 추진 경과 I. 서비스 현황 • 2001년 9월, ITU에 위성망 국제등록 신청을 시작으로 약 3.5년 간의 위성DMB 준비를 통해 • 2005년 5월부터 상용방송 개시 2001년 9월~11월 • ITU에 위성망 국제등록 신청, 무선 실험국 개설(분당) 2003년 2월 • 방송위원회, 위성DMB 정책방안 의결 9월 • 일본 MBCo사와 위성 공동소유 계약 체결 12월 • 위성DMB 기술표준 확정, TU미디어㈜ 설립 2004년 3월 • 방송법 개정 (3/2) • DMB위성 (한별) 발사 성공 (3/13) 9월 • 방송법 시행령 개정 (9/17) 11월 • 정보통신부 우주국 허가 (11/29) 12월 • 정보통신부 우주국 준공검사 (12/3) • 방송위원회 사업허가추천서 교부 (12/22) • 정보통신부 방송국/지구국 허가 (12/30) 2005년 1월 • 1월 10일 시험방송 개시 (TV 3채널, 라디오 6채널) • 이동통신 3사와 사업협력 기본협약 체결 5월 • 5월 1일 본방송 개시 (TV 7채널, 라디오 20채널) 12월 • 12월말 37만 가입자 달성 2006년 10월 • 10월 31일 84만 가입자 달성
2. 채널 구성 I. 서비스 현황 가용 채널 규모 채널 구성안 구 분 구성형태 채널수 운용형태 • Throughput : • 25MHz 기준 약 7.94Mbps 비디오 (15개) 2개 문화정보/ 종합오락 전용채널 직접운용 장르별 전문편성 채널 12개 (시분할 포함) 다큐멘터리, 스타일, 영화, 드라마,보도, 경제정보, 수능, 음악, 게임, 스포츠 PP임대 • 채널 Spec. : • 비디오채널 : 384 Kbps (H.264) • 오디오채널 : 32~64 Kbps (MPEG-2 AAC+) • 데이터채널 : 100Kbps Reserved PPV 1개 영화 직접운용 오디오 (19개) 9개 최신, 클래식, 테마, 발라드 등 PP임대 논스톱음악 DJ 음악 5개 DJ 진행 비디오 15, 오디오 19채널 ※데이터 채널은 12월 시범서비스 시작 5개 시사정보, 지식정보, 영어회화, 영어전문, 코미디 등 버라이어티 데이터 교통방송 1 교통 및 여행정보 직접운용
3. 채널 운영 현황 I. 서비스 현황 • ’05년 6월 1일 유료 본방송 개시 후 현재 비디오 15개, 오디오 19개로 채널 운용 중이며, 모 • 바일 환경에 맞는 콘텐츠 제공을 위해 지속적인 Channel Renovation 중 Audio : DJ Zone (5개 채널) Video (15개 채널) Audio : 논스톱음악 (9개 채널) 번호 PP 번호 PP 번호 PP EPG명 EPG명 EPG명 1 Ch.GREEN 30 MelON 50 TU Music Today 51 최신인기가요 3 네셔널지오그라픽 31 Bugs 52 히트가요2000 4 온스타일 32 Powerstation 53 히트가요90 5 EBSu 54 7080낭만시대/트로트 33 KISS 55 TU Pops Today 6 SBS드라마 34 TU Lady 56 파워댄스 7 ch.BLUE 57 발라드 58 클래식/Instrument 8 엔텉테인먼트 Audio : 버라이어티 Zone(5개 채널) 10 TUBOX 40 Ch.joins 11 MBC드라마 41 GAG Station 12 뉴스 42 윈글리쉬 회화 13 영화 43 Arirang 라디오 14 스포츠 44 채널 유레카 16 경제정보 17 게임 19 애니메이션
4. 요금 정책 I. 서비스 현황 •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월 11,000원으로 전 채널 시청 가능 • 기본 패키지: 초기 가입비 2만원, 기본 수신료 1.1만원/월(1년 약정 시 9,900원/월) • PPC: 채널당 추가 수신료 발생(2천원 예정) • PPV: 프로그램당 추가 수신료 발생(2천원 예정) 요금 정책 • 신규 가입자에게만 부과 • 초기 기입비: 20,000 원 가입비 신규 가입 기본 패키지 비디오 기본 채널 • 수신료 : 11,000 원/월 오디오 • 월 단위로 추가 수신료 부과 • 수신료 : 미정 프리미엄 채널 PPC • 단위 프로그램마다 추가 수신료 부과 • 2,000 원/프로그램 프리미엄 채널 PPV
5. Business Model I. 서비스 현황 • 가입 시 1회 가입비 20,000원 및 월정액 11,000원의 수신료를 받고 있음 위성DMB의 수익모델 Program Provider PP 모집/관리 수수료 수신료 분배금 휴대폰 겸용 단말기 (Network구축/운용) 가입자 가입비(2만원) / 수신료(1.1만원/월) 차량용설치비 Program 구입/제작비 ContentProvider
6. Value Chain I. 서비스 현황 엠큐브 웍스 SK텔 레시스 쏠리 테크 C&S마 이크로 방송장비 (GF포함) 이노 에이스 Confidential 중앙 시스템 삼성 전자 현대디 지털텍 LG 전자 유비 스타 TU 미디어 PP/CP 단말 제조사 현대 오토넷 사이버 뱅크 P&C 디지 피아 모토 로라 이동 통신사 기륭 전자 SKT KTF LGT
목차 I 서비스 현황 II 망 구성 II.1 서비스 개념 II.2 서비스 망 구성 II.3 한별위성 II.4 위성 신호 처리 II.5 위성운용 R&R II.6 예비위성 II.7 방송센터 II.8 갭필러 II.9 단말기 III 커버리지 현황 IV 시장 현황 및 전망
II. 망구성 1. 서비스 개념 위성DMB는 이동 중에도 시청이 가능한 개인형 매체이며 다양한 디지털기기와의 결합을 통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뉴미디어임 Personal Mobile Interactive • 기존 방송의 공간적 한계 극복 • (KTX 내 서비스 제공, 300Km/h 이상) Mobile Personal • 개인화된 매체, 내 손 안의 TV, 나만의 방송 • Device Convergence : 방송과 통신 동시 사용 • 방송과 통신의 융합(Convergence) • 영상, 음성,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Interactive
II. 망구성 2. 서비스 망 구성 위성DMB는 한별위성을 통해 방송전파를 지상으로 송출하고 이를 단말기가 직접 수신하거나 음영지역에서는 중계기(갭필러)를 거쳐 수신 한별 위성 144˚E 위성 컨텐츠 TDM 25 MHz (Ku-Band) TDM 25 MHz (Ku-Band) Video CDM 25 MHz (Ku-Band) 갭필러 CDM 25 MHz (S-Band) Audio CDM 25 MHz 2.630 ~2.655GHz 방송센터 Data 차량용 단말기 휴대겸용 단말기 전용 단말기 Program Provider 단말기
II. 망구성 지구(+Z) 동쪽(+X) 남쪽(+Y) 서쪽(-X) 북쪽(-Y) 우주(-Z) 3. 한별위성 한국 및 일본 내 위성DMB 서비스를 위한 위성DMB 전용 위성 (SKT/MBCO 간 공동소유/운용) 위성 제원 위성체 SS/L FS 1300 - Space Systems / Loral 제작 발사체 ATLAS IIIA - Lockheed Martin 제작 -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발사 Ku 대역 안테나 (직경 1.2m) 위성궤도/수명 동경 144° 정지궤도 / 12년 위성 출력 67 dBW@S-band, 54 dBW@Ku-band 고출력증폭기 Ku-band: 4기 (SKT 2기:ACTV 1,STBY 1)S-band: 36기 (SKT 12기:ACTV 8,STBY 4) 지구센서 S 대역 안테나(직경 12m) 소유권 공동소유 (MBCO:SKT = 65.34%:34.66%) 크기 본체 : 3m X 3.4m X 5.5m 태양전지판 포함 길이 : 31.3m 12m안테나포함 폭 : 21.7m Communication Panel Solar Array 위성안테나 12 m (S-band) 1.2 m (Ku-band Korea) 2.4 m (Ku-band Japan)
II. 망구성 4. 위성 신호 처리 위성 신호 처리 Ku대역 수신부 방송용 신호 처리부 S 대역 6×DTWTA S 대역 안테나(직경12m) Ku 대역 안테나(직경1.2m) 2.630 ~2.655GHz 2×LNA 2×D/C (Ku → S) S 대역 2×LCAMP Ku 대역 2×TWTA 중계용 신호 처리부 2×D/C (Ku → Ku) Ku 대역 2×LCAMP ※ 약어 LNA : Low Noise Amplifier D/C : Down Converter LCAMP : Linearized Channel Amplifier DTWTA : Dual Traveling Wave Tube Amplifier
II. 망구성 5. 위성운용 R&R
II. 망구성 6. 예비위성 • 한별위성의 Gap Filler 중계용 신호처리부(Ku대역 송신부)의 장애 • 혹은 한별위성 전손 대비 Ku-band 대체위성/중계기 확보 - 36MHz 중계기 확보 @ SuperBird-C • Gap Filler의 Downlink 수신 안테나의 위성지향 방향 변경이 필요가 • 없는 동일궤도 상에 위치한 Superbird-C 선정 위성체 Boeing 601형미국 Boeing 사 제작 위성궤도/수명 동경 144도 / 10년 1997년7월 28일 발사일 일본 빔, 하와이 빔북동 아시아 빔, 남동 아시아 빔, 가동 빔 탑재빔 일본 Space Communication Corporation사 위성소유 54MHz×4ch×90W(114MHz×2ch×180 W에 합성 가능)36MHz×4ch×90W27MHz×16ch×90W 고출력증폭기 이용 주파수 Ku-Band14/12GHz
II. 망구성 P.P. P.P. NMS 7. 방송센터 베이스밴드 지상파, PP 등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인터페이스 국제규격인 SDI신호(270Mbps)로 변환 후 광고,자막,로고 등을 삽입 베이스 밴드 압축 다중화 업링크 Ku 대역 압축 다중화 비디오는 H.264, 오디오는 AAC+ 방식으로 압축하여 부가 서비스 정보와 함께 TS 다중화하고 CDM, TDM으로 변조 하여 위성 업링크에 전달 업링크 S 대역 변조된 CDM, TDM 신호를 U/C에서 Ku대역 13GHz로 변환하고 HPA를 통해 증폭한 후 9.2m안테나를 통하여 위성으로 송출 PMS/ APC 채널 및 편성정보, 상품 및 계약정보 등 방송업무정보 관리 주요장비 제어 및 기능연동을 시행하여 방송프로그램 송출, C/G송출, 로고 삽입 등 제어 기능 수행 PSI/SI 채널 구성정보 및 편성정보를 송출하여 원활한 A/V 서비스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 PMS / APC PSI / SI CAS BIS VAS Test Bed 편집실 1:1 2:1 Ingest Data 방송 실 CAS 유료 방송제공을 위한 시청 권한 부여 및 상품 패키지 제공 지원 BIS 고객 정보 및 상품 패키지 정보 등을 관리하고, 대리점을 통하여 가입자 관리 기능 제공 TU Media Corp. 방송센터 (SKT 성수사옥)
II. 망구성 8. 갭필러 한별 위성 144˚E RX 안테나 TDM 25 MHz (12.214 ~ 12.239 GHz) TDM 수신부 Gap Filler 신호처리부 (TDM→CDM) 앙각: 42~43도 CDM 송신부 (신호증폭) 위성음영지역 위성음영지역 TX 안테나 CDM 25 MHz 2.630 ~2.655GHz GAP FILLER : 위성음영지역(GAP)을 채우는 지상 중계설비 • 위성망의 특성상 도심건물 등 장애물에 의해 음영지역 발생 • 장애물에 의한 부분적인 음영지역은 Gap Filler로 서비스 • Gap Filler는 위성에서 받은 TDM 신호를 CDM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수신기로 송신
II. 망구성 B-100 출시 : ’05년 1월 123.1(L)X49(H)X25(W) 171g B-500 출시: ’06년 8월 100.6(L)X51.5(H)X13.5(W) 100g 9. 단말기 • 가입자의 Need 충족을 위한 지속적 단말 성능 개선 및 다양한 Design/가격 대 단말 출시 최초 출시 단말 대비 54% smaller in size 42% lighter
목차 I 서비스 현황 II 망 구성 III 커버리지 현황 III.1 커버리지 현황 III.2 갭필러 망관리 IV 시장 현황 및 전망
위성 DMB 커버리지 1. 커버리지 현황 III. 커버리지 현황 GF 구축 현황 ’04년 •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중심 치국(26개 시) • 수도권 지하철 1~4호선, 인천지하철 • 전국 고속도로 • ☞ 인구대비 63% 수준 확보 (이동전화 대비 68%) ’05년 • 전국 58개 시 확장(전국 시단위 완성: 총 84개 시) • 수도권 지하철 5~8호선 • 기존 커버리지 보완투자 • ☞ 인구대비 90% 수준 확보 (이동전화 대비 93%) ’06년 • KTX(경부선) • 부산 지하철 • 기존 커버리지 보강 투자 [ 범례 ] KTX GF 커버리지 고속도로 GF 커버리지 ’06년 GF 커버리지
2. 갭필러 망관리 III. 커버리지 현황 •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F망 무선 집중 관리 방식 (GF↔GMS 통신:1차 무선 Data통신 실시, 3회 연속 실패시 SMS으로 통신 방식 변경) • GMS(GF MANAGEMENT SYSTEM)을 활용한 고장감시 및 통계기능 제공 GMS 화면 GMS Client Ethernet PSDN (무선DATA통신) Gap Filler GMS Server MSC/BSC SMSC (문자 메시지) BTS
목차 I 서비스 현황 II 망 구성 III 커버리지 현황 IV 시장 현황 및 전망 IV.1 가입자 특성 IV.2 콘텐츠 이용현황 IV.3 상용방송 현황 분석 IV.4 향후 전망 및 추진 방향
남 여 기타 64% 33% 3% 1. 가입자 특성 IV. 시장 현황 및 전망 • ’06년 10월말 기준 약 84만명의 가입자를 확보 (휴대폰 겸용 96.5%, 차량 및 전용 3.5%) • 주로 2030세대(61%), 남성(64%), 수도권 가입자(57%)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 가입자 분석 (`06년 10월말 현재) • 단말 종류별 가입자 현황 • 성별 분포 휴대폰 겸용(96.5%) 차량 및 전용(3.5%) • 지역별 가입자 현황(`06년 10월말 현재) • 나이별 분포 40% 33.4% TU 사용자 35% 28.1% 30% 25% 16.7% 20% 11.5% 15% 6.6% 10% 3.4% 5% 0% 10~19 20~29 30~39 40~49 50~59 over 60
2. 콘텐츠 이용현황 IV. 시장 현황 및 전망 • 비디오 채널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음 - 비디오 채널 점유율은 드라마, 채널 블루, 스포츠, 뉴스를 선호 - 오디오 채널은 논스톱 음악 장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특별한 스포츠 이벤트(WBC, 국가대표 축구, MLB, K-1, 이승엽경기 등) 시 시청률 ↑ Video vs Audio Popular channel Popular channel audio video 35% 65% 뉴스 스포츠 영화 최신 가요 Ch. Blue SBS Drama MBC Drama 게임 Popular Content * 스포츠 채널의 경우, 평균적으로 낮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지만 Big Sports Event 시 가장 Powerful한 채널임 SBS Drama- Comedy Japan Baseball - Yomiuri Soccer - National Team Game ( Final League) ※ Note : Based on TU Subscribers on ’06.7
3. 상용방송 현황 분석 IV. 시장 현황 및 전망 • 세계 최초의 통방융합 서비스 Launching으로 국내외 지대한 관심을 이끌며 ’05년 5월 1일 상용방송 • ’06년 10월말 현재 약 84만 가입자 달성 본 사업 성공핵심 요소: 단말기 가격, Contents 다양화, Coverage 확대 등 (고객센터, On Line, Survey 등 고객불만사항 분석) 위성 DMB 성공 요소 단말기 및 유통망 • 다양한 단말기 개발, 공급 • 적정한 단말기 가격 확보 • 가입이 용이한 유통망과 대리점 확보 Contents • 다양한 Needs를 충족시킬 콘텐츠 확보 • 휴대형 이동 방송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 • 새로운 수요를 이끌어낼 콘텐츠 개발 Coverage • 고객 Needs에 따라 음영지역 조기 해소 • 방송의 공익성 실현을 위한 커버리지 확보
4. 향후 전망 및 추진방향 IV. 시장 현황 및 전망 전망 추진방향 Mobile방송 Platform • 방송통신 융합기술 가속 • Solution 중요성 증대 (DRM, CAS) • 해외 Player 발굴 및 협력확대 • Capacity 증대 • M-CAS 확대적용 및 DRM Solution 확보 단말기 • 융복합화 • Smart / Intelligent 화 • 다양한 단말기 개발(가격,성능) • 접근 용이성을 위한 유통망 확충 Content • 맞춤형 Needs 증대 • Mobile Content 활성화 • 양방향 기능 강화 • Mobile Content의 다양한 형식 및 소재확대 • Telemetics 등 연관 Platform 서비스 연동 Coverage • 이동전화 수준의 QoS 요구 • 최적화 지속추진 및 음영지역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