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Acta Anaesthesiol Scand 2007;51:655-670 R3 최 정 현

Scandinav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follow-up of anaphylaxis during anaesthesia. Acta Anaesthesiol Scand 2007;51:655-670 R3 최 정 현. Background. 마취중 발생비율 : 1/5000 ~ 1/20,000 대부분 여러 약물이 투여되기 때문에 특정원인약물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음 .

davis
Download Presentation

Acta Anaesthesiol Scand 2007;51:655-670 R3 최 정 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candinav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follow-up of anaphylaxis during anaesthesia ActaAnaesthesiol Scand 2007;51:655-670 R3 최정 현

  2. Background • 마취중 발생비율 : 1/5000 ~ 1/20,000 • 대부분 여러 약물이 투여되기 때문에 특정원인약물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음. • 따라서 반드시 f/u하여 목숨을 위협할 수 있는 원인약물에 다시 노출되는 것을 피하여야 함. • Anaphylaxis 의 진단 , 치료 , 특히 F/U이 다양.  체계적인 f/u과 guideline 제시.

  3. Mechanisms • underlying mechanism과 상관없이 clinical presentation과 management는같다. • Allergic anaphylaxis • 대부분 allergen과 특정 IgE antibodies와의 작용으로 생김.(mast cell, basophil) • Cell에서 inflammatory mediator방출 : histamine, leukotrienes, tryptase • Non-allergic anaphylaxis • Direct, phamacologic, toxic stimulation으로 생김 • Immunologic reaction이 아니기 때문에 이전의 contact와는 상관이 없음.

  4. Causes • Surveys in france • m/c : NMBAs • Latex • Antibiotics • 수술이나마취 중 사용되는 물질, 약물이 모두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마취챠트에 환자에게 노출된 모든 물질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 • Localanesthetics, irrigating fluid, latex, disinfectants, marker등도 포함.

  5. Symptomsand diagnosis • CutaneousSx. • Flushing, urticaria, edema • 보통 Surgical drapping에 가려짐. • CardiovascularSx. • Hypotension, tachycardia • Severe arrhythmia, cardiovascular collapse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음. • RespiratorySx. • Bronchospasm • Induction 후에 생기는 일이 흔하지는 않지만 주로 asthma를 가진 환자에서 생기게 됨.

  6. Symptomsand diagnosis • 주로 induction후 수분안에 발생하며 주로 IV agent와 관련 • Skin, mucosa, urethra, peritoneum, subcutaneous로 흡수되어 나타날 수도 있음. : 15분 이상 지난 후에 나타나게 됨. • Eg. : latex, chlorohexidine, dye patent blue

  7. Symptomsand diagnosis • 진단적목적 및 연구시 decision making 을 돕기 위하여 증상의 severity에 따라 분류

  8. Treatment • 마취중의 anaphylaxis • Monitored • IV accessed • 마취과의사의 빠른 진단 • Prompt and successful Tx.의 적절한 조건

  9. Treatment • Cornerstonesof Treatment • Adrenaline • Fluid therapy

  10. Treatment • Adrenaline (epinephrine) • Highly potent and efficient • α-agonist property • Reverses vasodilation and edema • β-agnist property • Airways 확장 • Myocardial contraction ↑ • Inflammatory mediator의 realease ↓ (LT, histamine) • 조기에 치료가 된다면 10-50μg IV로도 충분. • Severe case : 1시간 안에 5mg 이상이 필요할 수도 있음.(incrementsor infusion) • repetitive dose필요한 환자  Continous infusion 유리.

  11. Treatment • Fluid therapy • Vasodilation과 capillary leakage로 인한 fluid shift를 보상. • Severe case : 수 liter의 crystalloid/collid 필요 • Adrenaline에 반응이 없는 sever anaphylactic shock이 올 경우  Vasopressin고려 • B-blocker 복용중인 환자 • 많은 양의 adrenaline 필요할 수 있음. • Poorresponse to adrenaline  glucagon고려

  12. Treatment • Corticosteroids and antihistamine • Secondary treatment • Edema, cutaneous symptom, anaphylactic reaction의 재발 예방.

  13. Follow-up investigation • Patient sellection (refer해야 하는 환자) • 이상적으로는 class II ~ IV까지 f/u • Immediate blood test, secondary allergic testing • IV injection site주위의 localized erhythema, bronchial hyperreactivity로 인한 mild bronchospasm (class I) 환자는 제외. • 그러나 chlorohexidine에 의한 전신 또는 국소 urticaria 발생시는 f/u refer : mild한 증상이라도 심각한반응으로 진행할 수 있음.

  14. Referralprocedure • 환자의 f/u을 위한 refer를 할때 자세한 정보제공이 중요. • Symptoms, severity, time course • Treatment • 환자에게 노출된 list of drugs and substances • 마취차트등

  15. Primaryinvestigation • Blood sampling • Tryptase • Neutral protase • 거의 mast cell에 있으며 mast cell activation의 marker • Anaphylactic shock10분 후에 peak level에 도달하며 반감기는 약 2시간 • Controlsample과 비교하여 증가되어 있다면 highly sensitive indicator가 됨. • IgE antibody • RAST or fluoroimmunoassay로 측정 • 반응시점 또는 6개월 이내에 하여야 함. • Chlorohexidine의 경우 6개월 내에 IgE가 사라지기도 함.

  16. Secondaryinvestigation • Skintest • In vitro test : basophil allergen challenge test • Provocation test

  17. Skintest • Allergen이 skin의 mast cell에 노출되었을 때 IgE-mediated reaction을 detect • Negative control : saline • Positive control : histamine chloride(10mg/ml) • Skin prick testing : false negative가 적음 • Intradermal testing : false fasitive가 많음 • Skintest는 reaction 후 6주 안에는 되도록 시행하지 않아야 함. • 결과를 왜곡할 수 있는 약물 : antihistamine, antidepressant, systemic or topical steroid  test전에 stop • Intradermal test시 resuscitation, monitoring 장비를 갖추고 해야함. • 환자에게 노출되었던 모든 물질을 test해야함. • 만약 NMBAs에 positive가 나왔다면 모든 다른 종류의 NMBAs를 test하여 cross-reactivity 확인. • 역시 localanesthetics positive 시에도 다른 local anesthetics에 대한 testing 시행.

  18. Basophilallergen challenge test • sampling전 high-dose steroid를 받지 않아야 되며 24시간이 안된 fresh한 basophil로 실험해야 함. • Leucocytehistamine release test • Liberated histamine을 측정 • 모든 drug, substance를 실험 가능. • IgE mediated뿐 아니라 non-IgE mediated reaction도 detection가능 • 표준적으로 추천되는 방법은 아니지만 다른 실험이 의심스럽거나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Flow cytometric analysis of in vitro-activated basophil • Certain membrane marker의 up-regulation(CD63, CD203c) • 아직 표준검사로 사용하기에는 경험부족

  19. Drugprovocation • Ultimate method는 full-dose drug provocation • Potentially high-risk procedure • 환자의 informed consent • ECG • IV access • Full resuscitation back up 필요 • 몇몇의 specialist centre에서만 시행되고 있으며 널리 추천되고 있지는 않음.

  20. Adviceto patient • Follow-up의 목적 • 원인약물이나 물질, mechanism을 확인하여 다음 마취시 최대한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함 • Positive 가 나온 물질에 대하여 경고하고 warning card/bracelet 을 발행하여 준다. • Australia, Denmark 같은 나라에서는 negative결과까지 나오는 letter를 준다고함.

  21. Managementof patients with previous anaphylactic reactions during anaesthesia

  22. Allergologic f/u이 되지 않은 환자 마취 시 주의점

  23. Allergologic f/u이 되어 있는 환자 마취 시 주의점 • Warning card/letter에 있는 물질은 사용 금지

  24. 마취중 흔히 사용되는 drug & substances • Antibitocis • m/c : penicillin (incidence : 1/1000) • 마취 중 anaphylactic reaction의 15%차지한다고 보고됨. (France, Denmark) • Chlorohexidine • Widely used disinfectant • Denmark : 마취 중 anaphylactic reaction의 12%차지 • Dextran • Human serum albumin과 비교시 incidence가 2.43배 • Low-molecular-weight dextran(Promiten)치료시 • 1/70,000 의 비율로 severe anaphylactic reaction생김

  25. 마취중 흔히 사용되는 drug & substances • Gelatins • Other colloid보다 higher risk • Human serum albumin과 비교시 12.4배의 incidence • France : 마취 중 anaphylactic reaction의 4%차지 • Hydroxyethylstarch(HAES) • Human serum albumin과 비교시 4.51배의 incidence • Severe reaction은 0.0006%로 보고됨. • Iodinated contrast media • High-osmolality ionic : 0.04-0.22% • Low-osmolality non-ionic : 0.004-0.04% • Motality : 1/170,000

  26. 마취중 흔히 사용되는 drug & substances • Ketamine • Extremely rare • Natural rubber latex • Incidence가 증가되는 추세 • Atopic, regular exposure시 latex allergy risk증가하게 됨. • Incidence 나라마다 다름. • France : 마취 중 anaphylactic reaction의 16.7%차지 • Denmark : 12% • Norway : 5% • Midazolam • Extremely rare

  27. 마취중 흔히 사용되는 drug & substances • NMBAs • France, Norway, UK에서 높음 : 1/5000 ~ 1/10,000 • Rest of the world : 1/50,000 ~ 1/150,000 • Allergenic물질 : quaternary ammonium ion(shared by all NMBAs) • NMBAs사이에 cross reactivity 많음.(>70%) • Propofol • In a french study : 마취 중 anaphylactic reaction의 2.3%차지 • IgE mediated가 아닌 mast cell을 직접 자극하는 것으로 여겨짐 • Thiopental • 1/23,000 ~ 1/29,000 • Risk factor • Previous exposure • Female gender (F:M = 3:1) • Mast cell 직접 stimulaton하는 것으로 여겨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