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505 Views
담 당 : 031) 4838-114 , 011-493-8377 임 경 진 원장. CONFIDENTIAL. Global 경쟁력 확보를 위한 변화관리 ( A ction P ower P rogram) 프로젝트. 2007 년 2 월. APP ( A ction P ower P rogram).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1. APP 방법론 소개.
E N D
담 당 : 031) 4838-114 , 011-493-8377 임 경 진 원장 CONFIDENTIAL Global 경쟁력 확보를 위한 변화관리 ( Action Power Program) 프로젝트 2007년 2월
APP (Action Power Program)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1. APP방법론 소개 • APP 방법론은 반드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이며 Action Work-Out 방법과 Action Learning방법을 차별화하여 동시에 적용하고, 변화가속화 모델인 CAP Tools를 반영하여 성과창출을 극대화 함. Action Learning Action Work-Out CAP Change Acceleration Process : increase success and accelerate change ※ For You변화경영연구소에서 최초로 개발한 방법론입니다. (대표 Brand 상품)
APP (Action Power Program)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1. APP방법론 소개 Performance • 대상 : High Hanging Fruit • 시간 : 프로젝트 별 3~6개월 • 목적 - 전략적 과제 해결 - 실행과 학습관점 - 핵심인재 육성 Action Work-Out Action Learning • 대상 : Low Hanging Fruit • 시간 : 60일 (Quick-Win) • 목적 - 운영적 과제 해결 - 조직활성화를 통한 기업문화 구축 - 참여,신뢰,성공체험, 자신감,성과보상, 동기부여 역량강화 CAP Change Acceleration Process : increase success and accelerate change • 변화가속화 (7 Step) - 방법론 관련 교육 및 Tools 제공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1. APP방법론 소개 • 주요 혁신과제별 최적의 Tool 을 적용합니다. 주요 혁신과제 주요 과제내용 운영적 과제 프로세스 과제 전략적 과제 • 불필요한 일 버리기 및 업무효율성 제고 • 낭비 제거 • 업무효율화 • 관습개혁 • 기존경영혁신과의 통합 • 부문 내 프로세스 혁신 • 부문간 프로세스 혁신 • 시스템 혁신 • 시장경쟁력 강화 • 사업다각화 • 전략적 제휴 주요 Tool Action Learning Action Work-Out Action Work-Out Town Meeting Action Learning 기반 시스템 구축 인사제도 / 성과평가 / 커뮤니케이션 / 조직재설계
1. APP방법론 소개 Action Work-Out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Action Work-Out의 Town Meeting Process
1. APP방법론 소개 Action Learning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 Action Learning은 ‘과제해결을 위한 탐구’, ‘과제 해결방안 도출’,‘해결방안에 대한 성찰’의 반복적 순환 과정을 통해 주어진 과제에 대한 최적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혁신역량강화’와 ‘조직의 전략과제 해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됨 실행/ 성찰 3 과제 탐구 1 • 실행 타당성 검토 • 해결방안 수정/보완 포인트 도출 • 과제 명료화 • 현황 자료 수집/분석 • 문헌연구 • 벤치마킹/사례조사 실행 과제 성찰 탐구 방안 도출 해결방안 도출 2 • 추진전략 수립 • 기대효과, 파급효과 • 예상 장애요인 및 극복방안
1. APP방법론 소개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CAP CAP의 7Step
2. 변화관리 추진 전략 및 단계적 접근 방법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2.1 수행범위 및 프로세스 • 변화관리 추진 로드맵을 바탕으로 실행과 학습의 조화를 통한 성과창출 및 혁신역량을 강화하고자 함. 변화관리추진 로드맵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혁신진단 향후 추진전략과 실천계획마련 조직활성화 문화조성 인적혁신역량 강화 변화관리 역량 - APP방법론 중심 체계적인 혁신과제 실행 - 혁신성과 및 실천역량 강화 신뢰를 바탕으로 공감대 형성과 자발적 참여 및 성공체험 창출 (자율혁신 추진)
2. 변화관리 추진 전략 및 단계적 접근 방법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2.2 프로젝트의 추진 프로세스 • 변화관리 컨설팅은 M1~M2의 총 2가지 모듈에서 아래와 같이 진행됨 • M2 : 변화관리(APP) 프로그램 • M1 : 경영환경 진단 및 추진전략 수립 혁신역량 강화 및 조직변화 진단 및 변화관리 로드맵 수립 기대산출물 변화관리 프로그램 ( Action Power Program) 경영환경 진단 및 변화관리 추진전략수립 M2 M1 • 혁신수준 진단 • 분석표 • 변화관리 단계별 • 추진 실행계획서 • 혁신역량강화 • 산출물 • - 워크아웃 수행 • 단계별 실행성과물 • - 혁신추진과제 • 성과물 • - 최종보고서 혁신 인프라 핵심이슈 및 과제도출 혁신과제 수집 및 정리 APP 설계 혁신 교육 전략적 방향 설정 제도 및 시스템 확산 및 지원 Follow up 사후관리 실행 추진전략 및 실천 로드맵 작성 인적혁신 역량진단
효율 경영 고객 만족 3. 변화관리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3.1 변화관리 추진을 통한 중장기 기대효과 [컨설팅 결과의 기대효과] [ 중장기적 향후 기대효과 ] 1 체계적인 변화관리추진 전략 및 계획 제시 고객중심 성과중심 2 전직원의 참여형 혁신역량 강화 지속 가능한 혁신역량 강화 3 실무부서 중심의 자율혁신활동 기반마련 변화관리의 체계적인 로드맵 4 성과와 가치중심의 경영혁신기반 마련 인적역량 강화와 자율혁신체계 마련 성과와 가치 중심의 조직문화조성
3. 변화관리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 프로젝트 수행전략 및 계획 3.2 정량적 기대효과 • 본 Project를 통해 기대되는 정량적 기대 효과는 회사 내 불필요한 업무 및 낭비요소가 통상 3년 이내 약 20%이상을 제거하고 그 여력을 비전 달성에 필요한 업무를 새롭게 창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혁신 성과를 통해 바로 고객사의 재무적 성과 향상과 함께 직원의 사기 증대 및 이해 관계자의 만족도 향상을 이끌어 낼 수가 있는 것입니다. 재무적 성과 (수익성 증가 및 직원 1인당 생산성 향상) 직원의 고부가치 업무를 통한 사기 증대 및 이해관계자 만족도 향상 성과 꼭 필요한 업무의 창출 (Value Up 10%) 불필요한 요소 및 낭비요소 제거 (Save 20%) 추진 활동 불필요한 업무 및 낭비요소 제거 시장에서 요구하는 가치 창출업무 추진 절차 및 프로세스 단축에 따른 업무량 감소 운영적 혁신과제 리더쉽 과제 프로세스 혁신과제 혁신목표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혁신 목표 설정 명확한 혁신방향 및 목표 재정립, 달성하고자 하는 전략과제 목표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