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1.47k Views
Rood 접근법 ( 감각 운동 치료 ). 제출일자 : 10.11.22 과목 : 재활의학 담당교수님 : 박주형 교수님 1091023 김문현. Rood 접근법. 이 접근법은 작업치료사이면서 , 물리치료사인 Margaret Rood 에 의해서 명명 되었다 . 그녀는 초기 뇌성마비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발달 시켰으나 현재 운동 조절이 어려운 다양한 분야에 적용 중 이다 . 기본적인 제안 운동 패턴은 출생 시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반사패턴에 기초하여 발달
E N D
Rood 접근법(감각 운동 치료) 제출일자 : 10.11.22 과목 : 재활의학 담당교수님 : 박주형 교수님 1091023 김문현
Rood 접근법 • 이 접근법은 작업치료사이면서, 물리치료사인 Margaret Rood에 의해서 명명 되었다. 그녀는 초기 뇌성마비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발달 시켰으나현재 운동 조절이 어려운 다양한 분야에 적용 중 이다. • 기본적인 제안 • 운동 패턴은 출생 시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반사패턴에 기초하여 발달 • 운동패턴은 고차원의 조절이 얻어질 때 까지 감각자극을 통해 사용되어지고, 점진적으로 변형되어진다. • 적절한 감각수용기에 대해 적절한 감각을 사용함으로 정상 발달한다 • 경일근과 중일근은 신경 체계 조절에서 다른 형태 아래에 있으면서 감각자극에 다르게 반응한다. 경.중일근
경일근(light work muscle) • ㉠ 신체의 표면, 가쪽, 원위부에 위치해 있음 • ㉡ 이는 곳과 닿는 곳은 인대로 연결되어 있음 • ㉢ 다관절성 근(multiarthrodial muscle) • ㉣ 중일근 보다 더 많은 수의적 조절을 받음 • ㉤ 가볍고 빠른 근육의 신장, 저역치 외수용기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됨 • ㉥ 운동성근으로 굽힘근, 모음근, 다관절 폄근 등과 함께 분류
중일근(heavy work muscle) • ㉠ 심부, 관절 가까이에 놓여 있는 근 • ㉡ 신체의 몸쪽 및 안쪽에 위치해 있음 (긴장성 안정근) • ㉢ 대부분의 항중력 폄근들이 긴장성 안정근에 속함 • ㉣ 반사적 조절(Reflex control)하에 놓여있음 • ㉤ 강한 저항, 지속적인 신장의 유지, 고 역치 수용기들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됨 • ㉥ 일차 폄근이나 벌림근이 있음
운동 패턴의 발달 • ① 계통발생학적으로 굽힘은 폄보다 먼저 발달함 (굽힘→폄) • ② 모음은 벌림에 선행함 (모음→벌림) • ③ 자뼈 패턴(Ulnal pattern)은 노뼈 패턴(Radial pattern)이 발달하기 전에 발달함 • ④ 회전(Rotation)이 마지막으로 발달됨
운동조절 발달의 4단계(Four phase) • ․ 1단계 : 길항근 들의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에 의해 근 자체의 고유범위 내에서 수축하는 단계(운동성) • ․ 2단계 : 관절주위의 근육들이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시에 협력수축을 일으키는 단계(안정성) • ․ 3단계 : 원위부가 고정되고 근위부가 움직이는 단계(조절된 운동) • ․ 4단계 : 근위부가 안정되고 원위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단계(숙련)
골격기능 과정 • 전체굴곡 패턴 • 목과 체간에서는 힘든 일을 하게 되며 사지에서는 가벼운 일을 하게됨 • 모든 움직임은 신체의 중앙을 향한다 • 뒤집기 패턴 • 옆으로 누었을 때 위쪽에 있는 손가락의 굴곡이다. • 신체기립반응과 자세반사를 통합하는데 유용 • 운동성 . 안정성 발달 • 누운 자세에서 몸 전체를 굴곡시킨 자세, 뒤집기,목 근육의 협력수축, 팔꿈치로 지지하고 엎드린 자세, 네발기기 자세, 선 자세, 걷기로 구성
생 기능 과정 • 호흡, 식사, 의사소통이 주요한 기능 • 흡기, 호기, 유동성 연하, 발성, 저작, 고 형식 연하, 발음과 같은 숙련된 수준의 활동이 포함 • 치료 시에는 빨고 삼키고, 씹을수있는 능력이 먼저 회복 되어야함 발음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운동 요구사항이기 때문 • 이러한 생 기능들은 골격기능과정과 상호 영향을 줌 • 치료시엔 두가지가 상호작용하는 기전이 되며, 신체 근위부의 근 긴장도 면에서도 상호 의존적이다.
치료에 대한 접근법 • (1) 근 반응의 유도를 위한 감각 자극법 • 체성, 자율신경성, 심리적 요소와 운동활동과의 상호관계에 관심을 가진 이론으로 운동기능과 감각기증을 분리할 수 없다고 주장함 • 1) 촉진법(Facilitation methods) • ① 감각자극법 • ㉠ 빠른 솔질(Fast brushing), 가벼운 쓰다듬기(Light stroking), 얼리기(Icing) • ㉡ C-fiber에 대한 고 역치 자극이라고 생각되어지고 있음 • ㉢ 자극은 다 연접 통로를 통하여 ϒ 원심성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근 긴장을 촉진함
② 운동성의 촉진법 • ㉠ 근의 긴장력이 부족하거나 운동성이 상실된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 • ㉡ 가벼운 촉지(Light touch)나 피부 쓰다듬기 • ․ 저역치 수용기를 활성화 → 운동성근의 수축을 촉진함 • ㉢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의 갈퀴 배측을 가볍게 문지름 • ․ 자극되어진 사지에 상성도피동작(Phasic withdrawal motion)이 유도됨 • ․ 교차 신근반사 패턴(Crossed extensor reflex pattern)이 일어남 • ㉣ 빠르고 가볍게 근육을 신장시키면 근방추의 흥분에 의하여 상성신장 반사가 유발됨
③ 안정성의 촉진법 • ㉠ 근 복(Muscle belly)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은 근의 신장에서와 비슷한 반응이 나타남 • ㉡ 중관절 압박(Heavy joint compression) • ․ 관절 주위근의 협력수축을 촉진함 • ․ 평상시의 체중보다 큰 저항이 관절에 가해지는 것 • ․ 뼈의 긴축을 통하여 힘이 적용됨 • ․ 체중보다 큰 저항이 관절에 가해지면 고역치수용기들이 활성화되어 협력수축이 촉진
④ 특수 감각기를 통한 자극 • ㉠ 불쾌하거나 유해한 자극 : 교감신경계 반응을 유도함 • ㉡ 즐겁고 무해한 자극 : 부교감신경계 반응을 유도함 • ㉢ 청각과 시각의 자극 : 중추신경계 장애환자의 운동억제나 촉진을 위해 사용됨 • ㉣ 청각의 자극은 중추신경계 손상환자의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침 • ㉤ 소리 : 큰 소리는 자극적 • ㉥ 시각 • ․ 단조로우면서 옅은 색의 환경 : 긴장의 이완, 수면을 촉진함 • ․ 원색적이면서 자극적인 환경 : 촉진의 효과가 있음
(2) 억제법(Inhibition methods) • ① 경관절 압박(Light joint compression)은 경련성이 있는 근육의 억제를 위해 사용됨 • ② 가볍게 압력을 주면서 후지 부위를 천천히 쓰다듬으면(stroking) 전신에서 근육의 긴장 이 이완됨 • ③ 바로 누운 자세에서 옆으로 천천히 구르게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억제적임 • ④ 흔들의자(Rocking chair)에서 몸을 천천히 흔드는 것도 억제적으로 작용함 • ⑤ 근육의 인대이나 뼈에 부착하는 닿는 곳을 압박하면 닿는 곳 아래에 있는 파시니소안체 (pacinian corpuscles)를 자극하여 근육을 억제시킴 • ⑥ 손의 외재굽힘근(extrinsic flexors)은 긴 인대의 전체에 일정압력을 가해 억제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