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316 Views
A Short Note on Strategy. 전략이란 ?. 자료 : www.hunet.co.kr. 전략이란 ?. Strategy is a set of integrated actions to attain the corporate objective sustainably through competitive advantages.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의 설정과 수단의 선택 전략 guru Michael Porter: Competitive Advantage
E N D
A Short Note on Strategy
전략이란? 자료: www.hunet.co.kr
전략이란? • Strategy is a set of integrated actions to attain the corporate objective sustainably through competitive advantages. •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의 설정과 수단의 선택 • 전략 guru • Michael Porter: Competitive Advantage • Tracy & Wiersema: Value Discipline • Prahalad & Hamel: Core Competence • etc.
경쟁전략 (Competitive Strategy, Michael Porter) • 전략 vs. 운영효율성 • 기업은 보통 전략과 운영효율성을 구분하지 않고 있음 • 전략 대신 다양한 경영효율화 기법을 채택함 • BPR, Benchmarking, TQM, Outsourcing • 이러한 기법은 기업 효율성을 단기적으로 올리는 효과는 있음 • 운영효율성을 확보하면 충분한가? • best practice의 모방이나 확산에 그침 • 기업의 차별화 보다는 유사화, 경쟁력의 동일화로 귀착 • 기업을 독창적이고도 차별적으로 만들지는 못함
경쟁전략 (Competitive Strategy, Michael Porter) • Operational Effectiveness & Strategic Positioning을 엄격하게 구별함. 양자는 뛰어난 업적달성에 모두 중요하나 전자는 전략이 아니라고 함 • 일본식 경영이 90년대 이후 성공적이지 못하였던 것은 operational effectiveness에 집중했기 때문임. 품질이나 아웃소싱 또는 파트너쉽 등에 있어서 다른 경쟁자들의 개선(improvement)을 모방하는 것은 아무도 승리할 수 없는 동일한 길(identical path)로 안내할 뿐임.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인 차별화의 결여 초래 • 전략을 갖고 있다는 것은 목표 시장, 고객,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한 어려운 선택을 한다(make hard choices)는 것을 의미함 • 운영 효과성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개선(continuous improvement in operational effectiveness)은 경쟁우위의 기초가 아님 •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선택과 상충관계(choices & trade-offs)임 • 운영 효과성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전략적사고(strategic thinking)나 전략 선택(choosing a strategy)의 대체물은 아님
경쟁전략 (Competitive Strategy, Michael Porter) • 경쟁의 5가지 기본 요인 (Five Forces) • 새로이 진출한 기업의 위협 • 구매자의 협상력 • 공급자의 협상력 • 대체 상품이나 대체 서비스의 위협 • 산업 내 기존 경쟁 기업간의 경쟁 정도 • 성공하기 위한 3가지 경쟁전략 • 원가 선도 (Cost Leadership) • 차별화 (Differentiation) • 집중화 (Focus)
경쟁전략 (Competitive Strategy, Michael Porter) • 경쟁전략 • 남들과 달라지는 것 • 경쟁사와 다르고 모방하기도 힘든 독창적인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예) Southwest Airline, 무엇이 다른가? • Point to Point vs. Hub and Spoke • 단거리 위주, 도심 소공항 이용 • No First Class or Business, 기내식도 없음 • Higher utilization (예) IKEA, 무엇이 다른가? • cheap, simple design, handy, DIBY, …
경쟁전략 (Competitive Strategy, Michael Porter) • 가치사슬 (1차적 활동) • 물류 투입: 획득, 저장, 분배 활동 (자재관리, 저장, 재고관리, 운반계획, 반품 • 운영: 투입요소의 제품화 활동 (기계작업, 포장, 조립, 검사, 설비가동 등) • 물류 산출: 유통을 위한 수집, 저장, 분배 활동 (완제품 저장, 원자재 관리, 주문처리, 배달 등) • 마케팅과 판매: 광고, 판촉, 판매, 유통망 선택 및 관리, 가격 책정 등 • 서비스: 제품의 가치 증대 및 유지활동 (설치, 수리, 훈련, 부품공급 등) • 가치사슬 (2차적 활동) • 획득 • 기술개발 • 인적자원관리 • 기업 인프라
가치 규율 (Value Discipline, Tracy and Wiersema) • 고객가치의 전달 방법: 운영의 우월성, 제품 선도, 고객 친밀성 • 가치규율 1: 운영의 우월성 (Operational Excellency) • 운영상 우수한 기업이 고객에게 품질, 가격, 구매의 용이성을 종합적으로 제공 • 제품이나 서비스의 혁신자일 필요가 없으며 고객과의 일대일 관계도 불필요 * 운영이 우수한 기업의 특징 • 효율성 확보에 노력과 조정 집중 • 업무 프로세스를 줄이고 최적화, 표준화 (Dell, Wal-Mart, Southwest) • 공급자와 친밀하고 격의 없는 관계 유지 (Wal-Mart의 VMI) • 정보시스템 개발 및 전사적 활용 (FedEx, UPS의 개인 단말) • 서비스의 표준화, 간편화, 단순화, 기본적 서비스만 제공 (Southwest는 기내식, 사전 체크인 서비스, 휴대품 취급서비스 등이 없음)
핵심역량 (Core Competence, Prahalad & Hamel) • 개념 • 회사가 특별히 잘하는 것 • 기업이 고객에게 특별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의 집합체 • 개발과 지속적 유지가 필요 (예) • 3M: Adhesive • Sony: Miniaturization • Honda: Small Engine • Black & Decker: Small Electric Motors • Wal-Mart: Logistics • FedEx: Logistics (Transportation Routing and Delivery) • Nike: Logistics, Design, Product Development, Distribution
핵심역량 (Core Competence, Prahalad & Hamel) • 핵심역량의 발굴 • 핵심역량은 • 시장 접근성을 확보해주는가? • 제품이나 서비스의 고객 가치에 현저하게 기여하는가? • 경쟁자가 모방하기 어려운가? • 여러 역량 중 몇 개만 선택 • 핵심제품 (Core Product) • 핵심 역량과 end product의 가교 Honda: 엔진 디자인 및 개발 (핵심역량) 엔진 (핵심제품) 자동차 (완제품) Cisco: M&A, Venture Incubation (핵심역량) Routers (핵심제품) Wal-mart: Logistics (핵심역량) Services (핵심제품)
핵심역량 (Core Competence, Prahalad & Hamel) • 핵심 역량과 핵심 제품 Competence 1 Competence 2 Competence 3 Competence 4 Core Product 1 Core Product 2 Business 1 Business 2 Business 3 Business 4 1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