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671 Views
성균관대학교 2006 년 1 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list. 성균관대학교 2006 년 1 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1909~1910 년 << 대한민보 >> 의 삽화를 중심으로. 목차. 2006 년 1 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Ⅰ. 머리말. 외부의 충격으로 형성된 한국의 근대 - 서양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일본의 모습 - 변하지 않을 것만 같던 중국의 변화
E N D
성균관대학교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list 성균관대학교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1909~1910년 <<대한민보>>의 삽화를 중심으로 목차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Ⅰ. 머리말 외부의 충격으로 형성된 한국의 근대 - 서양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일본의 모습 - 변하지 않을 것만 같던 중국의 변화 신문과 출판의 등장과 발달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Ⅰ. 머리말 대한민보(1909년 6월에 창간된 일간지) - 1면에 만화를 게재하는 파격적인 구성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근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즉, 현재 대중적 취미의 도구인 만화가 당시의 사람들에게 어떤 역할을 했는가?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Ⅱ. 만화의 정의와 신문만화의 성격 1. 만화의 개념 (1) 풍자나 우스갯거리 등을 주로 선화(線畵)로 경쾌하고 익살스레 그린 그림 (2) 어떤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를 연속된 그림과 대화로 엮은 것 등 작품의 내용에서 얼마만큼의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는 메시지를 담았느냐 대중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소재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이를 글과 함께 복합 구성, 오락적인 요소와 풍자성을 가미한 창작물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미디어로서의 만화와 신문만화의 특성 근대 인쇄기술의 발달로 만화의 역사 시작 ‘대중’개념의 출현 → 만화 매체의 광범위한 대중 확산 신문과 만화는 불가분의 관계 - 신문기사와 시사만화의 차이점 : 사건을 극복하여 재해석 풍자, 그림과 언어의 복합기사 - 시사만화와 일반만화의 차이점 : 일회적 오락성 아닌 사회적 메시지 함축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Ⅲ. 한국의 근대성 1. 한국의 근대성 근대는 시대 구분을 하기 위한 용어 - 세계사에서는 봉건시대, 봉건사회 단계가 끝난 다음에 전개되는 사회 개인우월주의의 등장 - 봉건사회의 왕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민주주의가 그 자리를 대신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Ⅲ. 한국의 근대성 1. 한국의 근대성 출판과 신문의 등장 - 근대인들의 지식을 습득하고 싶어하는 욕구 -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의 발전 한국의 근대 - 외부의 충격으로 근대의 탄생 - 한국의 근대인들에게는 정보를 전달하는 수준을 넘어선 무언가가 필요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한국 근대 개화사상과 신문의 출현 19C 중반일부 지식인 개화의 필요성 절감 초기 개화사상의 특징 : 자본주의 산업 경제를 통한 한반도의 자주독립 국가건설 목표 1880년 이후 외국의 선진 문물유입 동력 장치를 갖춘 인쇄기계 → 대중 인쇄매체 등장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Ⅳ. 대한민보의 삽화 분석 1. 대한민보(大韓民報) (1) 대한민보 1909년 6월 2일 대한협회(大韓協會)를 배경으로 창간된 일간지 1910년 8월 31일 폐간 한국 최초로 신문에 만화 연재 창간 취지 : 민족 사상을 통일하여 민족의 단결을 꾀하는 동시에 동포를 지도, 개발하기 위한 지식의 보급을 그 사명으로 한다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1. 대한민보(大韓民報) (2) 삽화가 이도영과 대한민보 사장 오세창 이도영(李道榮, 1884~1933) 서울 출생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일(仲一) 호는 관재(貫齋), 벽허자(碧虛子) 등 우리 신문사(新聞史)에 풍자만화를 연재한 최초의 화백 오세창(吳世昌, 1864~1953) 본관 해주(海洲), 호는 위창(葦滄). 본명 중명(仲銘) 3·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신문만화를 통해 계몽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작업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분석 (1) 대한민보 삽화의 성격 창간호부터 만화를 1면 가운데 자리 최초의 신문 시사만화의 연재와 소설 삽화의 게재 다양한 그림 소재 일제의 강력한 탄압 일제는 1904년부터 한국 신문에 대해 검열을 실시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6월 2일 창간호 당시 개화의 첨단을 상징하는 그림 언어로 해석: 곧 대한민보 자신임을 암시4가닥의 말분수: 대한민보를 이용한 4행시 = 대한민보가 나아갈 방향: 대국의 간형, 한혼의 단결, 민성의 기관, 보도의 이채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6월 12일 일본인 고리대금업자로부터 돈을 꾸면서 '먼젓번에 빌린 돈 4백원은 제하였소'라고 머리를 조아리는 상습노름꾼의 모습비아냥거리면서, 싫지 않은 얼굴로 돈뭉치 건네는 고리대금업자의 모습이 희화적으로 묘사 목적의식 없이 노름하는 사람이 많았던 세태를 꼬집음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6월 16일호랑이에게 물려 가도 정신만 차리면 살 수 있다.: 일본의 침략이 점차 노골화돼 갔던 1909년의 한반도 상황 국민을 향해 '정신을 차리자'고 외치는 만화작가의 작의 일본 신문 사전 검열이란 악랄한 그물을 벗어나기 위해 호랑이와 아이라는 두리뭉실한 표현을 선택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6월 19일자 [남의 숭내] :사회지도층에 만연했던 친일행각을 엄숙히 경고 연미복은 일본인들이 서양문물을 수입하면서 그들 흉내를 내느라 전통복장을 벗어 던지고 즐겨 착용했던 어울리지 않는 복장: 우리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일본인들의 이런 모습까지 흉내 냄 이들의 얼굴을 원숭이로 비꼬아 표현 우리의 주체를 찾자라는 대한민보가 표방했던 지사적 언론관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6월 20일위태로운 한반도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태평스럽게 졸고만 있는 한국 사람들 그 앞에 나타난 개화 성향의 민족지도자(대한민보)길다란 교편을 들고 '그만 졸고 어서 깨라'고 호통 초기 신문만화의 계몽적 역할을 나타낸 대표작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6월 24일 총 대신 붓을 들고 행진하는 사람들좌측 상단에 '문명적 진군'이라 표기 물리적 힘 아닌 이성적인 힘만이 나라를 구할 수 있다는 호소: 계몽적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7월 23일 일본식 교육을 받은 신식 청년 기모노 복장 여인이 일본 여자인지 혹은 한국여자인지는 불분명 조국을 버리고 일본을 선택하는 행위: 주체의식 상실: 한국인이라면 마땅히 지조를 지켜야 한다는 경고성 풍자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8월 11일두 개의 그림으로 나눠서 사건의 연속성을 설명 일제의 한반도 침략에 대해 가장 강렬한 경고성을 담았던 작품 가운데 하나나쁜 인연은 그 결과가 결코 좋지 않다는 뜻일제에 대한 경고와 적개심 표현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8월 22일특별삽화 취미무궁이란 제목의 기획만평 주인공이 나라의 앞날을 생각하며 하염없이 울고 있는 모습흘린 눈물이 넘치고 넘쳐 자기 몸을 집어 삼킴 당시 만화 표현 한계였던 직접 설명 방식을 초월성숙한 풍자의 기법 그림 바탕 검게 칠해 약소국가의 슬픔 탁월하게 표현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9월 2일 [벌거벗고 환도 찻군] 정미7조약(1907) 체결과 함께 구 한국군 해산에도 불구 친일파였던 군부대신 이병무 만은 여전히 일본 군복을 입고 다녔음 일본식 아래 속옷인 훈도시만 걸친 사나운 몰골로 일본군이 허리에 찼던 칼(환도)를 찬 채 군인식 경례친일인사에 대해 노골적으로 모욕 개인을 겨냥한 신랄한 풍자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09년 12월 7일1909년 12월 4일 일본제국주의 앞잡이 노릇했던 일진회가 한일합방을 환영한다는 성명서 발표대한민보는 즉각 이 사실을 사설로 반박, 꾸짖음이 만화에 등장하는 마기자 인물은 일진회 기관지였던 국민신문 기자들을 통칭붓방망이로 마기자의 볼기짝을 두들겨 팸: 일진회 응징의 의미 이후 일진회를 풍자할 때마다 마기자 등장시킴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2월 15일척사일국 : 윷놀이 한판 이 때,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 죽임: 통쾌한 마음을 윷놀이를 통패 표현 노랫말가운데 지워진 부분은 윷놀이 통한 만화작가의 교묘한 안중근 의사 의거 찬양 대목 가운데 핵심적 글자였을 것으로 추정사전 검열을 통해 삭제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2월 17일역시 일진회의 마기자를 혼내는 만화'공평한 언론을 헐뜯다가는 천벌을 받는다'고 훈계땅바닥에 엎드린 마기자는 해골만 남은 모습으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침또한 '황성 신문을 배우라'며 꾸짖음: 자사의 이익에 앞서 민족 계몽이라는 대의명분을 같이 하는 세력이 모두 결속해 연합전선 형성했던 것으로 짐작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6월 8일일본경찰간부의 위압적인 모습 묘사'어- 한 것시 무엇시야' 명령 한 마디에 떠는 하급경찰들 무조건 공포분위기 조성하는 일본 경찰 고위 간부 군대식 경찰 동원하여 혹독한 식민지 정책 비난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6월 12일강제 체결할 한일합방 조약 앞두고 일본의 대국민 탄압 풍자신문 내용 가리키며 얼굴 맞대고 대화 나누는 독자지상은 복우번운이오 이타에 염금적옥인가 : 나라를 사랑하는 우국충정이 묻어남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6월 14일일본 순사가 지나가는 행인 아무에게나 폭압적인 자세로 실시하는 불법 검문 검색 묘사칼을 찬 순사가 '어듸를 가는가..' 묻자 한복차림의 조선 사람이 '나는 아무 관계도 없는데..'라며 겁에 질린 대답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9년 6월 23일일장기 손에 든 살찐 모습의 군복차림 : 일본 제국주의 상징그'한편에서는 읍소하며 간청하고, 또 한편에서는 애걸하는 상황 참 가관이다'일본이 실세로 부상하자 빌붙는 한심한 국민이 점점 늘어남을 통탄이런 직설적 표현이 자주 등장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6월 24일'이미 대세는 기울었다'며 많은 지식인 인사가 일본측에 아부함을 풍자 발을 물어뜯는 개는 그 동안 국민이 믿고 따랐던 존경했던 인물 상징우리 만화가 드디어 다수 대중의 여론을 대변하기 시작하는 대중매체로서의 만화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단서가 되는 작품으로 평가이전의 만화가 대의명분의 강조, 계몽성 위주의 내용을 담았다면 이 시기를 전후하며 만화의 풍자 주체가 대중으로 옮겨가게 된 것: 시사만화의 대중지향적 매체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2) 삽화의 의미 분석 1910년 6월 25일대한민보 연재소설 금수재판의 삽화주인공이 한 손가락으로 콧구멍을 가리키면서'허 참 코구녕 둘 잘 마련했군. 하도 기가 막히니까'라고 적음한일합방 직전 어처구니 없는 일본의 간섭을 기가 막힌다며 신랄하게 풍자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Ⅴ. 맺음말 대한민보의 만화 내용 분석 비판 또는 풍자, 계몽적인 내용 -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지식인들의 열망이 표출된 결과 보도적인 내용 - 신문전체 구성상 시각이미지가 사용되는 유일한 공간 계절감의 내용 - 농경사회의 인식을 표현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Ⅴ. 맺음말 ‘대한민보’의 만화는 대중들을 근대로 이끄는 역할 - 대중들의 지식 습득 욕구를 충족 - 대중들을 근대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 - 자주적인 근대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
성균관대학교 2006년 1학기 동아시아 근대성의 기원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