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0 likes | 1.07k Views
2 .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2] 중세 문학. 05 사미인곡. 가 사. 갈래 정리. 가사의 개념. 고려 말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나타난 문학장르 로서 , 조선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창작 주로 사대부 사회에서 널리 유행하였던 문학 4 음보 연속체 교술시가 형식과 내용의 특징상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의 중간적 위치 에 있다고 볼 수 있음 . 최초의 가사 작품은 정극인의 ‘ 상춘곡 ’ 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가사의 형식. 3(4)-4 조의 연속체로 , 4 음보로 된 운문문학
E N D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2] 중세 문학 05 사미인곡
가사 갈래 정리
가사의 개념 • 고려 말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나타난 문학장르로서, 조선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창작 • 주로 사대부 사회에서 널리 유행하였던 문학 • 4음보 연속체 교술시가 • 형식과 내용의 특징상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의 중간적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음. • 최초의 가사 작품은 정극인의‘상춘곡’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가사의 형식 • 3(4)-4조의 연속체로, 4음보로 된 운문문학 • 행수에는 제한이 없음 • 마지막 행의 형식은 대체로 시조의 종장과 일치(3-5-4-3) • 시조의 종장 형식을 따르는 가사 형식을 정격가사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 가사라고 함.
가사의 내용 • 임금에 대한 은총이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심정을 읊은 서정적인 것, 역사, 교훈, 기행 등 서사적 성격의 특성을 보이는 내용이 많음. • 내방가사는 규중 부녀자들의 부덕, 애환 등 부녀자들의 생활과 심정을 노래함.
조선 전기의 가사 • 가사문학이 발생된 이후~임진왜란 전후까지 • 작자 : 주로 양반 사대부 • 이 시기의 작가들은 호남 지역에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었음. • 정극인‘상춘곡’ 송순 ‘면앙정가’ 정철의 ‘성산별곡’, ‘관동별곡’ • 주제와 소재 : 강호가사, 기생가사, 유배가사, 교훈가사 등
조선 후기의 가사 • 양란이 끝난 17세기~19세기 말 • 작자 : 사대부 작가를 비롯하여, 중인 이하 서민층으로 보이는 무명씨 작가, 그리고 승려나 귀화인, 또는 여성 작가가 대거 출현함. • 주제 : 전쟁, 현실비판, 애정, 삶, 종교 등 주제와 소제가 확대되는 현상 • 전기 양반가사에 이어 평민가사, 내방가사, 장편 기행가사가 등장하고 장편화됨.
정철의생애와 작품 세계
1. 정철의 생애 • 정철(鄭澈 1536~1593) • 조선 중기 문신 학자 시인.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시호는 문청(文淸). • 서인의 영수로 당쟁에 깊이 관여하였다. • 그의 최초의 가사 ‘관동별곡(關東別曲)’은 금강산을 비롯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면서 산수를 노래한 것이다.
정철의 생애 • 1583년 형조, 예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이듬해 대사헌이 되었으나 동인의 논척으로 고향에 돌아가 4년 동안 있으면서 ‘사미인곡(思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 등 수많은 가사와 단가를 지었다.
정철의 생애 • 당대 가사 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윤선도(尹善道)와 함께 한국 시가 사상 쌍벽으로 일컬어진다. • 작품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 그의 3대 가사와 ‘성산별곡’, 사설시조인 ‘장진주사’ 그리고 ‘훈민가’를 비롯한 시조 79수가 전한다.
2. 정철의 작품 세계 • 정철의 가사는 한 여인이 이별한 임을 사모하는 형식을 빌어 표현하고 있지만, 신하로서 임금을 사모하는 정을 노래한 연군지사(戀君之詞)이다. • 이는 정철의 모든 가사 작품의 핵심인데, ‘미인’은 바로 임금님이 된다.
정철의 작품 세계 • 벼슬을 하며 정철이 모신 임금이 선조이므로, 여성으로 표현된 시적 화자는 정철 자신이며, 그토록 그리는 임은 바로 ‘선조’ 임금이 된다. • 그러나 문학을 수용하는 수용자의 입장에서 작품의 문맥에 따라 보편적인 연인(戀人)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본다.
정철의 작품 세계 • 속미인곡 • 흔히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노래, 즉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辭)라고 한다. • 왕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 표출하지 않고 임의 사랑을 받지 못한 여인의 애절한 심정을 절실하게 하소연하는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공감을 얻고 있다.
정철의 작품 세계 • 사미인곡 • 임금에 대한 간절한 충정을 한 여인이 지아비를 사모하는 마음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뜻을 우의적(寓意的)으로 표현하였다. • 제목은 <시경(詩經)>이나 <초사(楚辭)>에서 따온 것이지만 내용은 순수한 우리말을 구사한 창작이다. • 이 가사의 속편인 ‘속미인곡(續美人曲)’이 있다.
정철의 작품 세계 • 장진주사 • 권주가(勸酒歌)로서 <송강가사(松江歌辭)>에는 ‘관동별곡(關東別曲)’ 등과 함께 배열되었으나, <국조시강(國朝詩綱)>, <석주집별곡(石洲集別曲)> 권 7에는 단가류(短歌類)에 수록되었다. • 이로 볼 때, ‘장진주사(將進酒辭)’는 국문학사상 최초의 사설 시조라고 할 수 있다.
정철의 작품 세계 • 훈민가 • 정철이 45세 때 강원도 관찰사 재직 시 백성을 교유, 계몽하기 위해 지은 교훈가이다. • 백성의 교화를 위한 것으로 계몽적·교훈적이며, 평이한 시어로 인정의 기미가 있어 감동을 느끼게 한다. • 끝맺음을 청유형, 명령형으로 하여 설득하는 내용이다.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2] 중세 문학 05 사미인곡 작품 정리
학습 목표 • ’사미인곡’은 임금을 향한 단심을 임과 이별한 여인의 애절한 형식으로 풀어낸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가사 작품이다. 우리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시어와 계절의 변화를 통해 정서의 흐름을 나타낸 구성에 주의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제재 연구 • 갈래: 서정 가사 • 성격: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詞) • 형식: 3(4) · 4조의 4음보 • 표현: 직유법, 은유법 • 내용: 한 여인이 임을 이별하고 그리워하는 형식을 빌어 임금을 사모하는 정을 노래함. • 주제: 연군의 정, 임금을 그리는 마음
제재 연구 • 특징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절정을 이룬 작품으로 우리말 구사의 극치를 보여 줌. ‘정과정(鄭瓜亭)’을 원류로 하는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詞) 임. ‘봄-여름-가을-겨울’에 따른 소재를 사용해 임에 대한 그리움과 변함없는 충정을 표현
핵심 강의 • ‘상춘곡’의 내용 구성 서사 임과의 인연과 버림받은 자신의 신세 한탄 본사1(춘원) 임에게 매화를 보내고 싶음. 본사2(하원) 임에게 옷을 지어 보내고 싶음. 임에 대한 사모의 정과 선정에 대한 갈망 본사3(추원) 본사4(동원) 임에 대한 근심과 사랑 결사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의 다짐
핵심 강의 • 계절별 소재에 담긴 상징적 의미 • 임에 대한 화자의 충절 •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 • 봄 • 매화 • 여름 • 옷 • 임의 선정을 갈망하는 화자의 충정 • 가을 • 청광 • (달빛) • 겨울 • 양춘 • (봄볕) • 임에 대한 화자의 염려
핵심 강의 • ‘사미인곡’의 표현 방식 • 여성을 화자로 설정 : 작가 정철은 남성이지만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서 내용을 전달하고 있음. • 임금을 그리워하는 신하의 마음 •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림받은 여성의 마음 • 독자들의 보편적 공감을 얻음. • 보다 절실하고 간절한 느낌을 전달 효과
’사미인곡’과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사미인곡’은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표현 본사 본사 결사 춘원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 드리고픈 심정 하원 옷을 지어 님에게 보내고픈 심정 범나비가 되어 향기를 임에게 옮기고픈 심정 • ☞매화= 지조를 상징 →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 • ☞임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을 절실히 드러냄. • ☞죽어서라도 임금을 따르겠다는 신하의 일편단심 충정
핵심 강의 • ’사미인곡’에 나타난 시상의 흐름 서사 한탄, 안타까움 임과의 인연, 이별 후의 그리움과 세월의 덧없음. 본사 계절(춘하추동)의 흐름에 따라 고조되는 임을 향한 그리움 봄 – 매화를 보내 임을 향한 변함없는 충정을 알리고 싶은 마음 여름 – 비단옷을 지어 보내는 외로운 심사와 임에 대한 정성
가을 – 달과 북극성을 보며 임이 선정을 베풀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 겨울 – 사무치는 외로움과 임 계신 곳에 따뜻한 봄볕을 보내고 싶은 마음 결사 강렬한 사랑과 애정 죽어서라도 범나비가 되어 따르고 싶은 충정
내용 풀이 • 임과 이별하기 전 행복했던 시절의 상황 • 나=작가, 임=임금(선조) • 괴시니 : 사랑하시니 • 계절이 때맞춰 바뀜. 세월의 흐름
(선조) • 임을 위한 정성 • 플텨: 풀어 • 산과 구름은 ‘간신들이 임금님의 총명을 가리고 있어 조정이 어지럽다’는 뜻 • 자신이 은거한 곳까지 임금의 은혜가 미치기 바람
기나긴 슬픔의 시간 • 숫자를 구체적으로 밝혀 시름의 정도를 표현) • 차라리 죽어서 영혼으로나마 임을 만나겠다는 강렬한 염원을 표현 • 오직 임만을 좇겠다는 일편단심
가사의 이해 • 가사란?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 초 사대부 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잡아 조선 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다. • 가사의 향유층:주요 작가층은 사대부 계층이며, 가사 장르가 지닌 개방성 덕분에 양반가의 부녀자, 승려, 중·서민 등 모든 계층이 참여했다.
2-[2] 중세 문학 • ‘사미인곡’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1) 이 작품을 쓴 작가 정철은 남성이지만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서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이렇게 표현한 이유는 무엇일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임금을 그리워하는 자신의 마음을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버림받은 여성으로 설정함으로써 남녀의 인간적인 정감의 교류로 표현하여 독자들에게 보편적 공감을 얻으려고 한 것이다. 또한
여성 화자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절실하고 간절하게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여성의 목소리로 임금에 대한 충성을 표현하는 문학적 관습에서 비롯된 것이다. • (2) ‘사미인곡’은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성된 마음을 표현하는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士)’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작품 안에서 찾아 제시해 보자. 예시 답| ‘사미인곡’의 본사 – 춘원에서는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 드리고 싶은 심정을 나타내었는데‘매화’는 지조를 상징하는 꽃으로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표현한 것이고, 하원에서 표현한 옷을 지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심정 역시 임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을 절실하게 드러낸 것이다. 특히 결사에서는 죽어서 범나비가 되어 꽃나무에 앉았다가 향기를 묻혀서라도 임에게 옮기고 싶다고 하며 죽어서라도 임금을 따르겠다는 신하로서의 일편단심의 충정을 나타내고 있다. • (3) 이 작품의 전체 구성 및 시상의 흐름을 파악해 보자.
매화 춘하추동, (계절) 옷(비단옷) 양춘(봄볕)
2. ‘사미인곡’의 가사로서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활동을 해 보자. • (1) 이 작품에서 위에서 설명한 가사의 형식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구절을 찾아 제시해 보자. 예시 답|‘남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노라’ – ‘사미인곡’의 마지막 구절은 시조의 종장 형태인 3 · 5 · 4 · 3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마지막 구가 정형적인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는 변격 가사로서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다음은 김만중이 정철의 가사를 평가한 글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하여 ‘사미인곡’의 우리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지적하고 그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자. • 예시 답|ㆍ가치:‘사미인곡’의 우리 문학으로서의 가치는 우리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은 작품이라는 데에 있다. • 근거: 전반적으로 뛰어난 우리말 사용이 돋보이며, 세련된 표현을 사용하였다. 특히 맨 앞부분의 ‘이 몸 삼기실 제 ~ 노여 없다.’, 맨 뒷부분의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 내 님 조려 하노라.’
부분에서는 한자 사용이 거의 없이 문장이 이루어져 있어 우리말을 적극 활용한, 우리 문학으로서의 가치가 두드러지고 있다.
3. 다음 작품을 읽고, 정철의 ‘사미인곡’과 비교하는 활동을 해 보자. • (1) ‘정과정’의 시의 화자와 ‘사미인곡’의 시의 화자의 공통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 두 작품의 화자는 모두 임에게 버림받은 여인으로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2) (1)의 활동을 통해 이끌어 낸 두 작품의 공통점이 우리 문학의 전통이라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우리 문학에서 여성 화자가 임과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은 ‘정과정’이나 ‘사미인곡’뿐만 아니라 ‘공무도하가’로부터 고려 가요인 ‘서경별곡’, ‘가시리’ 등을 거쳐 조선 시대의 황진이의 노래나 현대의 ‘진달래꽃’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 화자를 내세워 표현 효과를 살리는 것은 우리 문학의 전통이라 할 수 있다.
(3) ‘사미인곡’의 화자를 위로한다고 생각하고, 편지를 써 보자. 예시 답|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