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274 Views
No Child Left Behind 시행 이후의 변화 및 성장모형에 기초한 교육책무성 체제. 최 길 찬 (Kilchan Choi) UCLA CRESST 미래교육의 비전과 전략 모색 국제 학술 세미나 서울 , 대한민국. 개요. NCLB 의 새로운 방향 다양한 학교책무성 평가 성장모형 (Growth Model) 교사 평가를 위한 교사효과변화 모형 (Teacher Effect Change Model)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NCLB 하에서의 교육책무성.
E N D
No Child Left Behind 시행 이후의 변화 및 성장모형에 기초한 교육책무성 체제 최 길 찬 (Kilchan Choi) UCLA CRESST 미래교육의 비전과 전략 모색 국제 학술 세미나 서울, 대한민국
개요 • NCLB의 새로운 방향 • 다양한 학교책무성 평가 성장모형 (Growth Model) • 교사 평가를 위한 교사효과변화 모형 (Teacher Effect Change Model) •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NCLB 하에서의 교육책무성 • 매년 년도별 적정성장 목표 (AYP) 달성 여부 평가 •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가진 모든 하위그룹 (저소득층, 소수인종, 특수교육학생, 비영어권 학생) 학생들에 대한 교육 책무성 강조 • 결과에 대한 학교의 책임 부과 (법적 강제력)
NCLB의 두가지 이슈 • 학생의 “성장”에 기초하지 않은 지표 (횡단자료: ’04 4학년, ’05 4학년, ’06 4학년) • AYP 와 실제 성장률: • AYP 달성, 낮은 성장률 – Good or Bad? • AYP 미달성, 높은 성장률 – Good or Bad?
NCLB의 새로운 방향 • 2006년 초 미 연방정부 교육부 장관 Margaret Spelling: “연방정부는 성장모형(Growth Model)에 기초한 교육책무성 시스템을 채택하는 주에 재정 지원을 할 것임” • 20개 주에서 신청 (10주를 선정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할 예정) • 개인 학생의 년도별 성취도 점수를 기초로 년도별로 어느 정도의 성장을 보였는지를 추정
성장모형에 기초한 교육책무성 체제 • AYP 보다 더 적극적인 모델: 학생 개개인의 학업적 성장에 기초한 교육책무성 체제 • 방대한 교육정보체제: 지역교육구에서 모든 개별학생에 대한 종단적 자료 축척 (년도별 주정부 과목별 시험 결과, 개인배경 정보, 교사관련 정보, 학교관련 정보) • 방대한 교육정보체제를 이용한 교육연구: 경험과학적 방법에 의존한 실증적 교육연구에 활용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성장 모형을 위한 자료구조 개인종단자료 + 코호트 자료 개인종단자료: 개인성장모형 코호트 자료: 학년별 성장모형
성장모형 1: 코호트 자료 • 성장모형과 대비되어 개선모형(Improvement Model)이라고 함 • 동일학년 학생 (코호트간)의 년도별 변화정도 추정 • 2002년 4학년 학생, 2003년 4학년 학생, 2004년 4학년 학생간의 학력비교 • 현 미국의 AYP 자료 • 현 한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연구 자료구조와 동일 • Raudenbush & Willms (1992)와 CRESST 연구(Choi, Goldschmidt, & Martinez, 2004)
성장모형 2: 종단 자료 • 개별학생의 종단자료 (예, 2002년 3학년성적, 2003년 4학년 성적, 2004년 5학년 성적)을 이용하여 성장곡선 추정 • 학교의 평균 출발점 행동과 평균 변화율 추정 • 학교/교사 효과 추정 통계모형 (Value-Added Model) • 현재 미국 교육책무성 평가의 가장 뜨거운 통계적 이슈 • RAND 모형 (McCaffrey, 2004), Sanders의 Tennessee Value-Added Assessment System (1997), 시카고 공립학교 모형 (2005), CRESST 성장곡선 분포모형 (Choi et al, 2004) –종단자료 & 코호트 자료
성장모형 3: 코호트 자료 & 종단 자료 • CRESST의 새로운 모형 (Choi, 2006) • 위계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 통합(4-Level Latent Variable Regression Hierarchical Model) • 개별학생의 종단자료와 코호트 자료를 함께 이용 • 각 코호트별로 평균 출발점 행동과 평균 변화율을 추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 • 학력격차 모수치 추정 (성장곡선 분포)
교사효과 변화모형 (Teacher Effect Change Model) • CRESST의 새로운 교사효과 평가모형 (Choi, 2006) • 캘리포니아주 교사교육 프로그램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CSUN) 평가모형 • 5수준 잠재변인 위계모형 적용 (5-Level Latent Variable Regression Hierarchical Model) • 년도별 교사효과를 추정 • 학생배경변인의 영향력,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간의 효과 차이, 학교배경변인의 영향력 추정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 국가적 사업인 교육의 책무성에 대한 법률적 규정과 시행 • 경험적 자료에 기초한 정책평가 및 학교/교사평가 체제 • 실제적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연구 및 연구결과의 실제 사태에 활용
최 길 찬 (Kilchan Choi) Voice: Fax: Email: Web: 310.794.9162 310.825.9497 kcchoi@ucla.edu www.cress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