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817 Views
제16장 자재소요계획. MRP 의 역사적 배경. MRP 개념의 활용 로마: 토목 사업의 수행에서, 중국: 큰 성의 설계에서 활용에서, 영국: 배의 건조에서, 이미 MRP 와 같은 개념을 적용 IBM 의 Joseph Orlicky 스케쥴링과 재고관리 영역에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 => MRP 1972 년 APICS 에서 MRP 의 사용 촉진 운동을 전개 생산통제의 원칙적 개념이 되었음. 1989년까지 MRP 소프트웨어 관련 매출이 10억 불을 초과 MRP II ERP. MRP 의 개요.
E N D
MRP의 역사적 배경 • MRP 개념의 활용 • 로마: 토목 사업의 수행에서, • 중국: 큰 성의 설계에서 활용에서, • 영국: 배의 건조에서, 이미 MRP와 같은 개념을 적용 • IBM의 Joseph Orlicky • 스케쥴링과 재고관리 영역에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 => MRP • 1972년 APICS에서 MRP의 사용 촉진 운동을 전개 • 생산통제의 원칙적 개념이 되었음. • 1989년까지 MRP 소프트웨어 관련 매출이 10억 불을 초과 • MRP II • ERP
MRP의 개요 •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 자재소요계획법) • 제품(특히 조립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부품(자재)이 투입될 시점과 투입되는 양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 물론 이러한 관리를 수동적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MRP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관리하게 된다. • MRP의 적합한 사용 상황 • 최종 제품이 여러 개의 하위 제품, 부품으로 구성된 경우 • 종속적인 수요가 존재할 때 •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고, 비연속적인 경우 • MRP의 가정 • 컴퓨터의 사용 • 최종 제품은 하위 제품들로 구성된다. • 정확한 대일정 생산계획 및 컴퓨터화 된 자재 명세서
MRP 사용 효과 • 재고 요구량을 감소시킨다. • 정확한 대일정 생산계획에 따라 제품 생산을 위한 부품 주문 • 재고의 양 감소 및 효율적인 재고관리 • 고객까지의 제품 인도기간을 감소시킨다. • 마감 시간을 맞추기 위해 생산시 필요한 부품, 재고의 양 및 주문 시기를 알 수 있다. • 재고, 수급, 생산 결정 조정을 통한 생산 지연 요소 제거 • 운영의 효율을 높인다. • 정확한 수요 예측을 통한 재고의 감소 • 최종 제품의 수요 예측만 하면 나머지 부품들에 대한 수요 예측은 필요없게 된다.
MRP의 개념 • 수요의 종속성 • 위의 그림에서 A제품에 대한 수요를 알고 있다면, B, C부품에 대한 수요를 유추할 수 있다. A B C
MRP의 핵심 • 생산계획 속에서의 제품 수요 • 독립수요 •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최종 제품 혹은 독립적 판매가 가능한 부품의 수요 • 생산 시스템의 외부에서 발생하므로 불확실성을 가지게 된다. => 재고가 특정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생산하는 형태를 보이게 됨 • 종속수요 • 부품에 대한 수요는 최종 제품 수요에 종속적인 함수로써 발생 • 특정한 조립계획에 의해 발생시기가 결정된다. => 종속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생산은 독립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생산과 연계되어서 이루어져야 한다. • MRP의 핵심 개념 • 독립수요로부터 종속수요의 생산계획을 역방향으로 계산
대일정생산계획 (Master Production Plan) 재고상황파일 (Inventory Status) 자재명세서 (Bill Of Material) 주문발주 소요량 주문 재계획 (독촉, 연기, 취소) 계획된 주문 자재소요계획 시스템 구조 자재소요계획 (Material Requirement Plan)
MRP의 구성 요소 (입력) • 대일정 생산계획 • MRP는 계획 생산이며, 생산계획의 최종 산물인 대일정 생산계획의 수요 예측치에 따라 투입될 부품의 양과 시점 결정된다. • 일종의 pull system (cf : push system) • 재고 기록 • 필요한 부품의 양은, 이전의 재고의 양을 조사해 • 부족시에는 주문 • 재고가 있을 경우 재고를 활용 • 자재 명세서 (Bill of Material : BOM) • 제품이 조립되어 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 제품이 조립되어질 때, 필요한 부품의 수량 및 투입시기, 투입될 작업장의 번호 등이 나타나 있다.
MRP의 출력 • 계획된 주문 발주(POR) • POR : Planned Order Releases • 구매 주문과 공장 내에서 진행 중인 작업을 포함한다. • 항목 번호, 수요량, 작업 만기일 등의 정보를 가진다. • 변화 고지 • 현행 작업의 수정을 알린다. • 재촉(expediting)과 지연(deferring)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예외 보고서 • 예상과 다른 결과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고지한다. • 작업량 차이, 재고량 차이, 심각하게 지연된 작업 등.
MRP 진행절차 • 외부주문을 충당하기 위한 작업계획 • 기본적인 MRP의 절차 1) Netting(순소요량) • 총소요량에서 현 재고와 계획된 수령량을 뺀 값 • 독립수요 항목은 대일정 계획에서 그 값을 얻을 수 있다. 2) Lot Sizing • 순소요를 작업에 알맞은 로트크기로 나눈다. 3) Time phasing • 시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인도 기간을 고려하여 작업의 만기일을 계산한다. 4) BOM 전개 • 다음 단계 부품의 총소요량을 시작 시간과 로트크기, 그리고 BOM을 이용하여 구한다. 5) 모든 단계가 처리될 때까지 Repeat
자재 명세서 (BOM) • 제품이 조립되어지는 순서를 나타낸다. • 조립되어지는 순서, 투입되는 부품의 양, 생산(조립)에 필요한 시간, 투입 작업장 등 조립에 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포함 • 예 : “의자” 제작의 자재명세서 (MRP 예제)
의자 K(1) LT=1 LT : Lead Time (단위:일) 바닥판 J(1) 못 C(4) 골격 I(1) LT=5 LT=1 LT=1 등받이부 G(1) 못 C(6) 다리부 D(2) 연결 지지대 H(2) LT=1 LT=2 LT=4 LT=1 다리 A(2) 못 C(2) 지지대 B(1) 못 C(4) 등판 지지대 F(2) 등판 E(1) LT=3 LT=1 LT=1 LT=3 LT=2 LT=1 의자 제작의 BOM (MRP 예제)
예제 : 의자 제작 • 앞의 “의자 제작”의 자재 명세서(BOM) 이용 • “의자 제작”의 대일정 생산계획 • 수요 예측치 : 8일째 되는 날에 20개의 의자가 필요 • “의자 제작”의 재고 기록 • 의자 10개 • 골격 0개 • 바닥판 5개 • 다리부 0개 • 등받이부 6개 • 연결 지지대 20개 • 다리10개 • 지지대 20개 • 등판 0개 • 등판 지지대10개 • 못 100개 (MRP 예제)
의자 제작의 MRP 전개 의자(K) / LT=1 / 재고 10개 골격(I) / LT=1 / 재고 0개 (MRP 예제)
바닥판(J) / LT=1 / 재고 5개 다리부(D) / LT=2 / 재고 0개 등받이부(G) / LT=1 / 재고 6개 (MRP 예제)
연결 지지대(H) / LT=4 / 재고 20개 다리(A) / LT=3 / 재고 10개 지지대(B) / LT=1 / 재고 20개 (MRP 예제)
등판(E) / LT=3 / 재고 0개 등판 지지대(F) / LT=2 / 재고 10개 못(C) / LT=1 / 재고 100개 (MRP 예제)
MRP 사용의 장단점 • MRP 사용의 장점 • 복잡한 제조/생산 시스템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총괄적으로 관리 : 동적인 시스템 • 최종 제품만 고려해도 각 부품수준까지 계획 가능 • 변화가 심한 시스템에 잘 적응 • MRP 데이터의 중간 수정 가능 • MRP 사용의 단점 • 컴퓨터가 필요하다. • 조립제품에 적합하다. • 대일정 생산계획, 재고 기록 등이 필요 • 데이터 통합 : “ 생산 현장의 데이터는 과연 믿을만 한가? ”
MRP의 발전 • MRP :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 자재 소요 계획법 • 제품 생산시, 필요한 부품, 원자재의 관리 • MRP II :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 제조 자원 계획 • MRP의 고려 사항 외에, 인력/설비/공구 등의 자원 및 기타 제조와 관련된 모든 자원(마케팅, 재무, 엔지니어링 등) 고려 • ERP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 관리(계획) • 기본적 토대는 MRP • 생산 분야 외에, 영업/판매, 물류, 조직/인력, 재무/회계 등의 기업 업무 전반에 걸쳐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