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likes | 530 Views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of Korea(EIAK). 전자산업의 최근동향과 2004 년 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한국전자산업진흥회. 목 차. Ⅰ. 조사 개요 Ⅱ. 최근 전자산업 동향 Ⅲ. 2004 년도 전자산업 경기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Ⅰ.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전자업계의 경영계획 및 정부의 전자산업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 조사대상 : - 국내 전자산업의 비중이 높은 전자업체 400 개사
E N D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of Korea(EIAK) 전자산업의 최근동향과2004년 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한국전자산업진흥회 목 차 Ⅰ. 조사 개요 Ⅱ. 최근 전자산업 동향 Ⅲ. 2004년도 전자산업 경기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Ⅰ.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전자업계의 경영계획 및 정부의 전자산업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 조사대상 : - 국내 전자산업의 비중이 높은 전자업체 400개사 - 응답업체수 : 312개사 응답 ◎ 조사내용 : - 전자산업 생산, 수출, 내수전망 및 투자계획 - 부문별 국내외 시장전망 ◎ 조사방법 : 설문조사 및 방문 인터뷰 등 ◎ 조사기간 : 2003.11.17 ~ 2003.11.30
한국전자산업진흥회 Ⅱ. 최근 전자산업 동향 총 괄 •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디지털가전기기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20.9% 증가한 739억불 추정 • 내수는 상반기에 저조한 실적을 보인 반면 하반기에 들어 경기회복 기대심리가 작용하면서 연간 7.8% 증가한 84조원 추정 • 생산은 수출 호조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전년대비 12.2% 증가한 120조원 추정 • 수입은 정보통신기기 수출이 증가하면서 관련 원자재 및 전자부품 수입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17.2% 증가한 443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정보통신 및 산업용기기 수급동향 • 수출은 카메라폰 등 고성능 휴대폰과 TFT-LCD 모니터 등 품목이 호조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26.8% 증가한 357억불 추정 • 내수는 디지털방송시대를 맞아 위성방송수신기 수요와 카메라폰 등 휴대폰 시장이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6.0% 증가한 30조원 추정 • 생산은 수출, 내수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생산이 호조를 나타내 전년대비 18.2% 증가한 56조원 추정 • 수입은 위성방송수신기와 일본PC 수입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2.1% 증가한 144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정보통신기기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디지털 가전기기 수급동향 • 수출은 LCD, PDP, 프로젝션TV 등 디지털TV와 드럼세탁기 등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호조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15.8% 증가한 125억불 추정 • 내수는 상반기에 경기침체 및 가계부실 등의 원인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전년대비 0.2% 증가한 12조원 추정 • 생산은 내수의 저조에도 불구하고 TV, 냉장고, 세탁기의 수출 호조로 전년대비 6.4% 증가한 23조원 추정 • 수입은 칼라TV,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스피커 등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13.0% 증가한 34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가전기기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전자부품 수급동향 • 수출은 휴대폰의 수요증가로 2차전지, Flexible 기판 등 관련 부품과 LCD 디스플레이 패널이 호조를 보여 전년대비 15.9% 증가한 258억불 추정 • 내수는 휴대폰의 카메라모듈 PCB 등의 호조로 전년대비 11.6% 증가한 42조원 추정 • 생산은 디스플레이패널, 2차전지, PCB, 모바일용 LED와 소형화 추세에 따른 MLCC 품목 등의 생산증가로 전년대비 8.2% 증가한 41조원 추정 • 수입은 휴대폰 관련 칩 부품 및 비메모리 등의 증가로 전년대비 20.8% 증가한 266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전자부품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증감률 : %) (금액 : 백만불) 자료 : 관세청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월별 전자산업 수출동향(1~10월) ○ 상반기에는 이라크전쟁 발발, 미국의 IT경기 회복 지연, 아시아지역의 사스 발생 등 여러 불안요인으로 수출이 낮은 증감률을 보였지만, 하반기에 들어 20~30%의 높 은 증가율을 나타내면서 10월에는 전자IT분야에서만 70억불대 수출을 기록함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1~10월) █ 미국○ 수출은 정보통신분야와 디지털TV 품목이 호조를 보이면서 휴대폰(3,650백만불, 11.7%), 위성방송수신기(84백만불, 92.2%), 휴대용컴퓨터(341백만불, 23.6%), HDD(117백만불, 6.3%), 칼라TV(448백만불, 89.3%), 축전지(51백만불, 4.4%) 등 증가세를 보인 반면, 개인용컴퓨터(51만불, -85.5%), 모니터(587백만불, -42.8%),에어컨(245백만불, -4.5%), 집적회로반도체(2,631백만불, -26.8%) 등은 감소세를 나타내면서 전년동기대비 0.9% 증가한 11,470백만불을 기록█ 중국○ 수출은 전자부품이 호조를 보이면서 무선통신기기부품(1,396백만불, 63.9%),컴퓨터부품(1,490백만불, 57.3%), 집적회로반도체(1,113백만불, 79.7%), 모니터(1,072백만불, 48.9%) 등 호조세를 보인 반면, 휴대용전화기(1,132백만불, -13.1%), 음극선관(609백만불, -19.4%) 등은 감소세를 나타내면서 전년동기대비66.0% 증가한 9,474백만불을 기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1~10월) (금액 : 백만불) 자료 : 관세청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대륙별 수출입 현황(1~10월) (금액 : 백만불) 자료 : 관세청
한국전자산업진흥회 Ⅲ. 2004년 전자산업 경기전망 ◎세계 경제 환경과 전망 ◎국내 경제 환경과 전망 ◎ 주요 경기여건 ◎ 설문조사 결과 ◎ 2004년 전자산업 경기 및 수급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세계 경제 환경과 전망 ○ 2003년 상반기까지는 미국경제 침체, 이라크전쟁, 사스(SARS) 발생 등 불안요인으 로 경기회복이 지연됨○ 최근 들어서 미국을 비롯한 EU, 일본 등 선진국들의 거시지표가 개선되는 등 회복 조짐을 나타내고 있음○ 미국경제의 회복세가 예상되면서 이에 대한 파급효과가 선진국들과 IT부문 개발도 상국들로 확산되어 가는 모습○ 2004년 세계경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동조적인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3~4% 성장 예상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국내 경제 환경과 전망 ○ 2003년에는 소비와 투자 위축으로 경기가 둔화됨○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달러가치 하락으로 인한 불리한 여건속에서 지속적인 수출 성장을 기록해 경제 성장을 이끄는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 2004년에는 대외여건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여지며 내수의 경우 지난해 침체에 대한 반등은 예상되지만, 가계부실 및 신용불량 문제로 제한적인 회복세 전망○ 세계 IT경기의 회복으로 IT수출이 확대될 전망이며, 수출이 경제성장을 주도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경기여건 ◆ 기회요인 ◆ • 미국을 비롯한 EU, 일본 선진국의 경제 회복 • 국제 원유 가격 안정세 예상 • 미국 및 중국이 경제 성장을 주도하면서 IT품목 수출증가 • 수출 및 내수 증가에 따른 설비 투자 확대 ◆ 위협요인 ◆ • 북핵 문제 악화 • 국제 외환 시장 불안정 • 가계부실 및 신용불량자 증가로 인한 소비위축 지속 • 총선을 전후로 정치 혼선 및 정책 리스크 • WTO 칸쿤 회의 결렬 등 통상 환경 악화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설문조사 결과 ○ 생산전망- 응답업체 중 다소 호전 될 것으로 46.8%가 전망했으며, 크게 호전될 것이라고 는 23.8%가 응답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내년도 생산활동을 낙관함 - 증가요인은 수출증가를 43.7%, 내수증가를 21.4%, 자금조달 여건개선 17.5%나타남 생산전망 증가요인 크게악화(0.4%) 내수증가(21.4%) 크게호전(23.8%) 다소악화(9.6%) 수출증가(43.7%) 생산비용 절감(9.8%) 자금조달여건개선(17.5%) 변화없음(19.4%) 기타(7.6%) 다소호전(46.8%) 자료: EIAK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설문조사 결과 ○ 내수전망- 응답업체 중 다소 호전 될 것으로 39.5%가 전망했으며, 36.4%가 변화없음 이라고 응답해, 올해에 비해 점진적인 호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함- 증가요인은 신제품 시장확대를 49.1%, 소비심리 활성화를 23.1%로 각각 답함 증가요인 내수전망 크게악화(0.8%) 크게호전(9.3%) 소비심리 활성화(23.1%) 다소악화(14.0%) 신제품 시장확대(49.1%) 금융시장 안정(0.7%) N세대(청소년층)특수(15.6%) 기타(11.5%) 변화없음(36.4%) 다소호전(39.5%) 자료: EIAK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설문조사 결과 ○ 수출전망- 응답업체 중 57.4%가 다소 호전 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크게 호전될 것이라고17.8%가 응답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내년도 수출 전망을 밝게 보고 있음- 증가요인은 중국시장 수요지속 32.2%, 미국IT 경기회복 25.6%로 나타남 증가요인 수출전망 크게악화(0.3%) 크게호전(17.8%) 수출시장 다변화(15.6%) 다소악화(8.9%) 중국시장 수요지속(32.2%) 미국IT 경기회복(25.6%) 가격품질경쟁력제고(20.0%) 기타(6.6%) 변화없음(15.6%) 다소호전(57.4%) 자료: EIAK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설문조사 결과 ○ 투자전망- 응답업체 중 53.4%가 다소 호전 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크게 호전될 것이라고9.5%가 응답해 금년 투자계획은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남- 증가요인은 내수,수출증가를 40.5%, 시장점유율 확대전략이 32.4%로 나타남 증가요인 투자전망 크게악화(1.0%) 크게호전(9.5%) 다소악화(2.4%) 시장점유율확대전략(32.4%) 내수/수출증가(40.5%) 자금조달여건 개선(8.6%) 정부정책지원 효과(10.7%) 변화없음(33.7%) 기타(7.8%) 다소호전(53.4%) 자료: EIAK
세계 IT경기 회복으로 전자산업 시장 확대 • 무선 인터넷 등 Mobile 환경 확산으로 노트북, 휴대폰 등 정보통신시장 성장 •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 TFT-LCD, 휴대폰 등 세계시장 확대와 수출증가 • 디지털TV 및 홈네트워크 등 디지털가전 기기 및 프리미엄 제품 수요 증가 • 국내 전자업체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및 설비투자 증가로 디지털신제품 출시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2004년 전자산업 경기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2004년 전자산업 수급전망 총 괄 • 수출은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TV, 반도체 등 주요품목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6.1% 증가한 859억불 전망 • 내수는 경기회복과 더불어 디지털TV, 고성능 휴대폰의 수요가 예상되어 지면서 전년대비 10.2% 증가한 93조원 전망 • 생산은 수출 및 내수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7.1% 증가한 141조원 전망 • 수입은 통신기기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관련 전자부품의 수입 증가와 고부가 가전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8.5% 증가한 526억불 전망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정보통신 및 산업용기기 수급전망 • 세계적으로 휴대폰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 가면서 한국산 휴대폰 시장점유율이 상당히 높아가는 추세, 카메라폰 등 제품이 더욱 지능화되고 복합화 되어 고성능 휴대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 예상 • 미국 등 선진국의 경제성장, 경기회복과 더불어 그동안 지연되었던 PC교체 주기가 본격적으로 진행 될 것으로 기대되며, 무선인터넷 환경의 발전 및 데스크탑 대체수요 흡수로 노트북 시장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정보통신기기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디지털 가전기기 수급동향 • 미국시장이 되살아나고 IT경기가 회복되면서 디지털가전 및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 할 것으로 예상 • 디지털방송시대에 들어서면서 디지털TV 등 디지털가전 시장이 성장 할 것으로 기대되며, 에어컨의 경우 Built-in, 시스템 에어컨에 대한 수요 증가와 양문형 냉장고, 드럼세탁기 등 제품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홈쇼핑 및 대형할인점 등 신유통 체계의 활성화로 내수 증가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가전기기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전자부품 수급동향 • 우리나라 주력 상품인 반도체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활황국면에 진입하면서 D램 반도체 및 플래시메모리의 꾸준한 수요 증가가 예상 • 반도체 가격의 안정화, 미국 IT산업 수요 회복,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지역의 수요 성장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노트북컴퓨터, 휴대폰, PDA 등 Mobile 환경이 개선되어지면서 PCB,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관련 전자부품 시장이 증가할 전망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한국전자산업진흥회 • 주요 전자부품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한국전자산업진흥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