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 likes | 1.11k Views
두레생협연합회 강연자료 (2010. 4. 13). 기후변화와 농업. 김 창 길. 1 /5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부출연 농업 . 농촌 경제 . 사회 정책 연구기관 1978 년 설립 – 3 본부 2 실 , 2 센터 200 명 ( 박사 70 명 ) 근무. * 농식품정책연구본부 * 글로벌협력연구본부 *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 미래정책실 , 산림정책실 * 농림기술관리센터 * 농촌정보문화센터. Contents. 1. 서론. 2.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E N D
두레생협연합회 강연자료(2010. 4. 13) 기후변화와 농업 김 창 길 1/5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부출연 농업.농촌 경제.사회 정책 연구기관 • 1978년 설립 – 3본부 2실, 2센터 • 200명 (박사 70명) 근무 . * 농식품정책연구본부 * 글로벌협력연구본부 *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 미래정책실, 산림정책실 * 농림기술관리센터 * 농촌정보문화센터
Contents 1. 서론 2.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3.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환경 변화 4. 기후변화의 농업부문 영향 분석 5.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책 3/53
1 서론 4/ 56
1. 서론 • ▣ 기후의 의미와 중요성 • - 기후는 어떤 지역에서 대기현상(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일간, 연간 규칙적·불규칙적 현상)이 오랜 기간 동안 되풀이 되어 나타나는 현상 • - 기상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순간적인 대기현상을 의미 • - 기후는 농업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별 기후 차이는 특유의 농업생산 형태를 결정 • 농업은 기후의존적 산업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 ▣ 온실효과의 의미 - 태양에너지가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복사에너지로 다시 대기권 밖으로 방출되지 못하여 지구의 평균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임 <온실효과의 발생 메커니즘>
▣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 문제 • - 지구온난화 문제는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했으나, 석유류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축산폐수 등에서 발생하는 메탄, 과용되는 질소 비료의 여분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 등 소위 온실가스가 대기로 들어가 잔류하면서 온난화가 이루어짐 - 대체로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화석연료 사용이 급증하면서 대기 중에 방출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 수소불화탄소(HFCS), 육불화탄소(SF6) 등 온실가스의 지나친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발생
친환경농업과 친환경농산물의 개념 ▣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제시하는 친환경농산물의 개념 - 친환경농업의 개념: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준수, 작물별 시비기준량 준수, 적절한 사료첨가제 사용 등 화학자재 사용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축산분뇨의 적절한 처리 및 재활용 등을 통하여 환경을 보전하고 안전한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친환경농업육성법 제2조) - 친환경농산물은 친환경농업의 생산물로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등 세 종류로 구성됨 2016년부터는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 두 단계로 분류, 축산물의 경우 무항생제축산물 신설(2006년)
"친환경농업육성법" 에 따른 친환경농산의 분류 관행농업 친환경농업 유기농업 저투입농업 정밀농업 일반 친환경농산물 유기 농산물 저농약 농산물 무농약 농산물 2010 저농약 신규인증 중단 2016 저농약 인증제 폐지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상 친환경농산물의 범위
2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1세기말 (2090~2099) 시나리오 구성 1.1. 세계 기후변화의 현황과 예측 UN산하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IPCC) - 6년, 130개국, 2,500명 과학자 참여 1980~1999년 대비 기온: 1.1~6.4℃ 상승 해수면: 18~59㎝ 상승
<시나리오별 기온상승 추세 예측> B1: 지속가능발전 사회 시나리오, A1F1: 고도성장형 사회 시나리오
1℃ 2℃ 3℃ 3℃ 이상 • 지역적으로 물 부족, 홍수 등 자연재해 발생, 식량생산 증가 ·감소 • 대부분 지역에서 자연재해 발생, 동식물 종의 약 20~30% 멸종 위기 • 물 부족문제의 심화, 생태계 파괴, 식량생산 급감, 질병발생 증가 등 경제적 ·환경적 피해가 대규모 발생 <기온상승이 지구촌에 미치는 영향 (IPCC, 2007)>
1.2. 우리나라 기후변화 현황과 전망 • ▣ 기온 및 강수량 변화 • 1904~2000년까지의 기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기온은 1.5℃상승하여 전세계의 기온상승 (0.74±0.18℃)보다 높음.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 기후변화에 따른 계절 변화 • 1920년대에 비해 1990년대는 겨울이 19일 짧아지고, 여름은 16일길어지는 등 여름과 봄은 길어진 반면 겨울과 가을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임. <여름과 겨울 기간의 변화> 주: 일평균 기온 5℃ 이하를 겨울, 20℃ 이상을 여름, 그 사이를 봄과 가을로 정의함.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 여름철과 겨울철의 평균기온 변화 • 여름철: 지난 40년 사이 평균기온이 0.3℃ 상승 • 겨울철: 지난 40년 사이 평균기온이 1.9℃ 상승 <연대별 여름철과 겨울철의 평균기온 변화 추이> 단위: ℃
▣ 강수량 변화 추세 • 지난 100년간 강수량은 해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장기적으로 증가 추세임.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 여름철과 겨울철의 강수량 변화 • 연대별 평균 강수량은 1970년대 1,272㎜에서 2000년대 1,470㎜ 로 1970년대 대비 2000년 강수량이 16% 증가 •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 증가와 겨울철 강수량 감소 <연대별 여름철과 겨울철의 강수량 변화 추이> 단위: ㎜
▣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 국립기상연구소의 예측결과에 의하면 2001~2100년 기온은 꾸준히 상승하며, 강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 <한반도 기온과 강수량 변화 예측 (A2시나리오 가정)> 주: 1) A2시나리오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비교적 급격하게 증가하여 2100년에 농도가 820ppm이 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고, B2시나리오는 610ppm을 가정한 것임. 2) 예측된 변화 수치는 1971-2000년의 평균값에 대한 증감임.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 한반도 지구온난화의 지역별 분포도 전망 • 기온이 4℃상승하는 경우 현재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이 해당되는 아열대 기후지역이 충청도와 경기도까지확장될 것으로 예측
▣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기온변화 전망 • 국립기상연구소에서 IPCC 연구결과를 기초로 에너지원의 균형을 중시하는 시나리오(A1B)를 상정하여 전지구와 한반도의 기온변화를 예측한 결과 한반도의 기후가 세계평균보다 1.5~2℃ 높을 것으로 전망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3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환경 변화
<기후변화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파급영향 체계> 농업기후자원 변화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 기후변화 농축산 부문 수문 부문 • 지하수(수위, 수온) • 하천유량 • 호소수질 등 • 작물생산 변화 • 생물적 변화(개화, 출수) • 품질변화 • 재배적지 이동 • 생태계 변화 • 병해충 발생 • 개체군 이동 • 생물다양성 변화 • 가축생산 변화 • 생물적 변화(수정, 산란) • 목초생산 변화 - 생산성 변화 - 자산가치 변화 용수변화 농업기반시설 변화 농업시스템 변화
<온난화의 농업부문 잠재적 영향> <긍정적 영향> <부정적 영향>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의한 생산성 증가 기온상승에 의한 생산성 감소 낮은 수준의 기온증가에 의한 생산량 증가 기온상승에 의한 품질 저하 • 농업환경변화 • 기온상승 • 건조 및 습한 조건 증가 • 대기 이산화탄소 증가 새로운 품종의 농작물 재배 가능성 잡초 및 병해충 발생증가 길어진 성장기간 수분 스트레스와 한발 등 재해 증가 재배적지의 변화 시설난방비 절감 토양침식 증가
농업기후자원의 변화 • ▣ 농업기후자원 • 농업기후자원: 작물의 생장가능기간, 이 기간 중의 식물온도와 작물온도의 분포, 한발과 저온출현율의 분포 등을 의미 • 식물온도: 일평균기온이 5℃ 이상인 일수 • 식물기간: 식물온도 지속기간 • 작물온도: 일평균기온이 10℃ 이상인 일수
▣ 식물온도 출현지속기간의 변화 추이 • 지난 19년간(1988~2006년)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수원 등 56개 지역의 식물온도 평균 출현초일은 3월 7일로 과거 19년간 (1969~1987년, 3월 12일)보다 평균 5일 빨랐고, 평균 출현종일은 11월 23일로 평균 4일이 늦춰져서, 출현지속기간은 약 9일 정도 길어진 것으로 나타남.
<식물온도 출현지속기간의 변화 추이> <1988~2006> <1969~1987> • 최근 18년간 평균 식물기간은 대관령지역이 210일 정도로 가장 짧고, 남부해안지역이 280일이상으로 가장 긴 것으로 분석됨.
▣ 작물온도 출현지속기간의 변화 추이 • 19년간(1988~2006년) 작물온도 지속기간은 전국 평균 214일로 과거 19년간(1969~1987년, 210일)보다 평균 4일 정도 길어짐. • 제천, 금산, 임실 등 태백준고랭지 및 소백산간지에는 최근의 온도상승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2~4일 정도 짧아진 것으로 조사됨.
<작물온도 출현지속기간의 변화 추이> <1969~1987> <1988~2006> • 작물온도 출현지속기간이 크게 늘어난 지역은 수원, 청주, 대전 등 중부 지역으로 과거 19년간보다 10일 이상 길어진 것으로 조사됨.
▣ 농업기후지대의 기온 변화 추이 1970년대 2000년대 ▶ 기온 급상승 지대: 동해안남부, 중북부내륙, 중부내륙지대
농업생태계와 작물재배 영향 • ▣ 병해충 발생 증가 • 갈색여치: 사과, 복숭아, 포도, 콩 등 피해 증가 - [’01] 충주 첫 피해 → [’06] 충북전역(20ha) → [’07]충청전역(30ha) <갈색여치에 의한 복숭아 피해>
▣ 병해충 발생 증가 • 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병으로 피해지역 북상 및 확대 - [’07] 경기, 충남, 전남북, 경남 등 전국적으로 14,137ha 발생 <벼 줄무늬잎마름병 피해> <벼 줄무늬잎마름병 확산 추세>
▣ 병해충 발생 증가 • 주홍날개꽃매미: 포도, 복숭아, 사과 등 피해 - [’79] 최초 발견 → [’07] 충남 연기 피해 → [’08. 8] 포도과원 91ha 피해 <주홍날개꽃매미의 포도 피해 사례> <꽃매미충(4령)> <포도 줄기 산란> <포도 줄기 피해> <포도알 피해>
▣ 주요 농산물 주산지의 이동 고성 포천 강원 가평 춘천 경기 영월 포도 안성 녹차 충북 경북 충남 복숭아 사과 대구 경산 전북 경남 추청벼 하동 김제 전남 거제 나주 보성 해남 고흥 겨울감자 제주 겨울배추 한라봉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계 인지도 • ▣ 농업인 조사 개요 • 조사대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지통신원 445명(우편조사), 제주도 감귤재배 농업인(면접조사) 15명, 총 460명 • 조사시기: 2008. 8 ~ 9월 • 조사방법: 우편조사 및 면접조사 • 지역분포: 경상도 32.0%, 전라도 30.5%, 충청도 17.2%, 경기도 7.5%, 강원도 7.5%, 제주도 5.2%
0.2 6.5 20.2 1.3 1.3 <기후변화에 대한 인지도> 단위: % 자세히 알고 있음 70.4 어느 정도 알고 있음 들어본 적 있음 전혀 모름 기타 무응답 0 10 20 30 40 50 60 70 80
3.0 21.7 18.3 19.1 1.5 <기후변화에 대한 체감시기> 단위: % 20년 전 10년 전 36.3 5년 전 3년 전 최근 무응답 0 10 20 30 40
10.2 13.5 0.7 1.7 16.1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 단위: % 부정적 영향 57.8 다소 부정적 영향 보통 다소 긍정적 영향 긍정적 영향 무응답 0 10 20 30 40 50 60
0 0 0 10 10 10 20 20 20 30 30 30 40 40 40 50 50 50 <기후온난화로 인한 재배시기 변동> 쌀 채소 과일 단위: % 20.4 18.9 14.6 온난화로 빨라짐 42.4 29.6 25.0 원인은 모르나 빨라짐 28.3 31.5 26.3 변화 없음 10.9 20.0 32.2 무응답
0 0 0 10 10 10 20 20 20 30 30 30 40 40 40 50 50 50 <기후온난화로 인한 재배면적 변동> 쌀 채소 과일 단위: % 11.7 11.1 8.7 온난화로 감소 28.5 29.1 원인은 모르나 감소 21.1 3.7 5.7 6.1 온난화로 증가 28.3 7.2 8.3 원인은 모르나 증가 37.6 25.4 28.0 변화 없음 10.7 21.1 31.7 무응답
0 0 0 10 10 10 20 20 20 30 30 30 40 40 40 50 50 50 <기후온난화로 인한 생산량 변동> 쌀 채소 과일 단위: % 14.1 12.2 12.2 온난화로 감소 27.2 28.9 20.2 원인은 모르나 감소 3.9 5.9 4.6 온난화로 증가 11.7 8.3 5.0 원인은 모르나 증가 25.7 31.5 25.7 변화 없음 9.8 20.9 32.4 무응답
0 0 0 10 10 10 20 20 20 30 30 30 40 40 40 50 50 50 <기후온난화로 인한 품질변화> 쌀 채소 과일 단위: % 4.1 5.7 13.3 온난화로 좋아짐 23.9 17.8 원인은 모르나 좋아짐 14.8 14.1 21.1 9.1 온난화로 나빠짐 15.0 7.6 원인은 모르나 나빠짐 17.4 34.6 23.0 15.0 변화 없음 12.8 19.6 31.1 무응답
<농작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재해> 단위: % 7.7 물 부족 14.0 태풍피해 3.2 홍수 59.6 59.6 이상기온 13.8 병해충 발생 증가 1.7 무응답 0 10 20 30 40 50 60 70
▣ 전문가 조사 개요 • 조사대상: 기후변화 분야 전문가(교수, 연구사, 지도사 등) 40명 • 조사시기: 2008. 8 ~ 9월 • 조사방법: 설문조사
<기후온난화 체감 정도> 단위: % 65.8 매우 체감 34.2 체감 0.0 보통 0.0 체감하지 않음 0.0 전혀 체감하지 않음 0 10 20 30 40 50 60 70
<기후온난화 체감시기> 단위: % 7.9 최근 13.2 3년 전 44.7 5년 전 10년 전 23.7 10.5 20년 전 0 10 20 30 40 50 60 70
<기후온난화가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 단위: % 61.1 많은 영향 30.6 다소 영향 보통 2.8 상관없음 5.6 0.0 전혀 상관없음 0 10 20 30 40 50 60 70
<기후온난화와 생산량 변동> 쌀 채소 단위: % 모르겠음 20.0 14.3 33.3 변동 없음 14.3 온난화가 원인은 아니지만 증가 13.3 0.0 온난화가 원인은 아니지만 감소 6.7 14.3 21.4 원인은 모르지만 감소 6.7 원인은 모르지만 증가 6.7 7.1 온난화로 감소 7.1 0.0 21.4 13.3 온난화로 증가 0 10 20 30 0 10 20 30 40
<기후온난화와 병충해 관계> 쌀 채소 단위: % 모르겠음 26.6 25.9 증가하지 않음 9.7 3.7 7.4 온난화가 원인은 아니지만 증가 6.5 40.7 원인은 모르지만 증가 22.6 38.7 22.2 온난화로 증가 0 10 20 30 40 50 0 10 20 30 40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