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517 Views
기관검수 1. 기관검수 2.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 개선. 15 차시 : 이것은 무슨 피라미드지. 기획자. 정 미 은. 내부검토자. 박 영 신. 문서이력. 2008. 10. 21. 타이틀명. 화면번호. 식물의 분류. 001. 화면구성. 화면내용. 목차. 미리보기 : 생태계의 피라미드 학습목표 1) 생태계와 먹이사슬에 대해 알아본다 . 2) 포식자와 피식자에 대해 알아본다 . 학습내용 1. 생태계 2. 먹이사슬 3. 포식자 4. 피식자 보충학습
E N D
기관검수1 기관검수2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 개선 15차시 : 이것은 무슨 피라미드지 기획자 정 미 은 내부검토자 박 영 신 문서이력 2008. 10. 21.
타이틀명 화면번호 식물의 분류 001 화면구성 화면내용 목차 미리보기 : 생태계의 피라미드 학습목표 1) 생태계와 먹이사슬에 대해 알아본다. 2) 포식자와 피식자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내용 1. 생태계 2. 먹이사슬 3. 포식자 4. 피식자 보충학습 : 파괴되는 우리 생태계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002_01 화면구성 화면내용 미리보기: 생태계의 피라미드 넓은 초원 위, 피라미드가 놓여져 있다. 피라미드 아이: 어어? 왜 초원위에 피라미드가 있지? 박사님, 피라미드는 이집트의 사막 위에 있는 것 아닌가요? 박사: 하하, 그렇지. 피라미드는 사막 위에 지어져 있지. 아이: 그럼 저건 왜 초원 위에 있는거에요? 박사: 사실 저 피라미드는 생태계의 모습을 잘 알 수 있도록 만든 생태계의 피라미드란다. 아이: 생태계의 피라미드요? 박사: 그렇지. 그럼 좀 더 가까이 가서 볼까?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002_02 화면구성 화면내용 미리보기: 생태계의 피라미드 피라미드가 점점 Zoom In 되어 보여지면 각 층마다 움직이는 생물들이 있다. <자세히 들여다본 피라미드> 3차 소비자 층: 사람, 호랑이, 사자 등 2차 소비자 층: 하이에나, 뱀, 맷돼지, 개구리, 쥐 등 1차 소비자 층: 나비, 잠자리, 무당벌레, 벌 등 여러 곤충들 1차 생산자 층: 여러 식물들 분해자 층: 미생물들 3차 소비자 --------------- 2차 소비자 --------------- 1차 소비자 --------------- 1차 생산자 --------------- 분해자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003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목표 • 학습목표 • 생태계와 먹이사슬에 대해 알아본다. • 포식자와 피식자에 대해 알아본다. 내레이션: 이번에 우리가 함께 공부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4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1_생태계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내레이션: 자연의 생태계에는 약 150만 종의 수많은 동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동물은 특징에 따라 크게 척추동물과 무척추 동물로 나눌 수 있지요.
004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1_생태계 앞 화면의 척추동물 부분이 확대되어 보여진다. 내레이션이 끝나고 척추동물이 다 보여지면 다시 Zoom Out 되며 004_01 의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척추동물 사람 코끼리 토끼 기린 개 사자 박쥐 독수리 참새 닭 오리 백조 타조 펭귄 방울뱀 악어 도마뱀 코브라뱀 거북이 이구아나 카멜레온 청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상어 잉어 복어 뱀장어 해마 가오리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내레이션: 척추동물은 대부분 단단한 등뼈를 가지고 있고, 감각기관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로 나뉜답니다.
004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1_생태계 004_01 의 화면에서 무척추동물의 부분이 Zoom In 되어 보여진다. 무척추동물 나비 개미 거미 벌 잠자리 사마귀 가재 게 조개 민달팽이 달팽이 문어 오징어 실지렁이 지렁이 갯지렁이 거머리 플라나리아 흡충 촌충 말미잘 산호 해파리 멍게 해삼 불가사리 아메바 유글레나 짚신벌레 절지동물 연체동물 환형동물 편형동물 강장동물 극피동물 원생동물 내레이션: 무척추동물은 뼈 대신 단단한 껍데기를 가지고 있으며 척추동물에 비해 약 20배 정도 많은 수라고 해요. 절지동물, 연체동물, 환형동물, 편형동물, 강장동물, 극피동물, 원생동물 등으로 나뉘지요. 생태계에는 이런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외에도 많은 종류의 식물과 미생물들이 포함되어 있답니다.
005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2_먹이사슬 내레이션의 순서에 따라 먹이사슬의 먹고 먹히는 관계가 순서대로 보여진다. 먹이사슬 독수리 태양 나비 뱀 개구리 식물 미생물 흙 내레이션: 생태계의 수 많은 생물들이 서로 먹고 먹히는 과정을 먹이사슬 혹은 먹이연쇄라고 합니다. 햇빛과 흙으로부터 영양분을 받은 식물을 곤충이 먹고, 그 곤충은 개구리가, 개구리는 뱀이, 뱀은 최종 소비자인 독수리가 잡아먹습니다. 그리고 그 독수리가 죽으면 분해자인 미생물들이 독수리의 시체를 분해하고, 그 영양분을 식물이 다시 흡수하며 다시 곤충과 쥐, 뱀 등이 먹으며 생태계는 순환하게 되는거지요.
006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3_포식자 앞 화면의 먹이사슬이 Zoom In 되며 독수리가 확대되어 보여진다. 내레이션의 순서에 따라 부리와 발톱, 눈, 귀 등이 차례대로 확대되어 보여진다. 포식자 독수리 (B) 눈 (A) 부리 (C) 귀 (A) 발톱 내레이션: 다른 생물을 잡아먹는 생물들을 포식자라고 합니다. 포식자는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먹이를 잡아먹죠. 독수리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볼까요? 독수리에게는 아주 강력한 무기들이 많답니다. (A) 우선 날카롭고 뾰족한 부리와 발로 먹이가 쉽게 잡아챌 수 있죠. (B) 또 사람의 4~8배 정도 되는 뛰어난 시력은 높은 하늘 위에서도 먹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줍니다. (C) 독수리의 귀는 좌우의 위치가 조금 다릅니다. 귀의 위치가 다르면 소리가 나는 장소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요. 그 덕분에 숲 속에 숨어 있는 먹이도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 찾아낼 수 있습니다.
007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4_피식자 땅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식물 이미지. 바람이 불면 줄기와 잎이 조금씩 흔들리지만 뿌리는 튼튼하게 버티고 있다. 피식자 알락해오라기 내레이션: 포식자에게 잡아 먹히는 피식자들은 어떨까요? 포식자들에게 무작정 잡아먹히기만 한다면 생태계는 포식자들만 남아버리고 말겠죠? 피식자들에게도 자신들만의 무기가 있답니다. 알락해오라기의 경우, 포식자가 나타나면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듯 긴 목을 꼿꼿이 세우고 양 옆으로 흔들며 키 큰 갈대 흉내를 낸다고 해요.
007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4_피식자 땅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식물 이미지. 바람이 불면 줄기와 잎이 조금씩 흔들리지만 뿌리는 튼튼하게 버티고 있다. 피식자 대벌레 내레이션: 대벌레는 나뭇에 꼿꼿하게 붙어서 마치 나뭇가지처럼 보이는 위장술을 펼치지요.
007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4_피식자 땅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식물 이미지. 바람이 불면 줄기와 잎이 조금씩 흔들리지만 뿌리는 튼튼하게 버티고 있다. 피식자 호랑나비 애벌레 내레이션: 호랑나비의 애벌레는 겉모습이 동물의 똥처럼 보여서 적들의 눈을 피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기가 위험하다고 느끼면 머리 부분에서 냄새 뿔을 내밀어 고양한 냄새가 나는 방어용 화학물질을 내뿜어요. 그 냄새를 맡은 적은 도망가버리고 말아요. 포식자와 피식자, 모두 자기가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지니고 순환되는 생태계. 참으로 신기하고도 재미있죠?
008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보충학습: 파괴되는 우리 생태계 생태계 피라미드가 있다. 내레이션(A)가 시작되면 그림(A)가 나타나며 생태계 피라미드가 아래에서부터 시커먼 색으로 물들어간다. 내레이션(B)가 시작되면 내레이션에 맞춰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등이 차례로 화면 하단에 등장한다. 생태계 피라미드 외래동물 그림(A) 외래동물 인위적인 유입 그림(A) 인위적인 유입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블루길 붉은귀거북 내레이션: 생태계라는 곳은 각각 그 환경에 맞는 먹이사슬과 먹이그물들이 존재합니다. (A) 하지만 원래 서식하던 생태계가 아닌 다른 곳으로, 자연스러운 방식이 아닌 인위적인 방식으로 옮겨가게 된다면 큰 문제가 되지요. 식용, 혹은 애완용으로 들여오기 시작한 외래동물들도 우리나라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B)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블루길, 붉은귀 거북 등 우리나라에 천적이 없는 이 외래동물들이 우리나라의 토종생물들을 닥치는 대로 잡아 먹어 우리 생태계를 어지럽히고 변화시키고 있는 거죠.
008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이건 무슨 피라미드지? 화면구성 화면내용 보충학습: 파괴되는 우리 생태계 흉악한 표정의 황소개구리. 내레이션이 시작되면 점점 겁을 먹고 작아지다가 배를 내놓고 죽는다. 황소개구리 내레이션: 다행스럽게도 황소 개구리의 경우, 최근에 식용으로 이용되며 그 수가 점점 줄어 드는 추세입니다. 이 외에도 어떤 방법으로 외래동물로부터 우리 생태계를 지켜낼 수 있을지 다 함께 생각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