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333 Views
Introduction to Mobile IPv6 (Internet Protocol Ver.6). Dongseo University Computer Network 2009. 11.24 20051676 최현진 20051531 박효정. Contents. 2. IPv6 란 ? Mobile IPv6 란 ? MIPv4 vs MIPv6 향후전망.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IPv6. 3. OSI 참조모델 제 3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해당
E N D
Introduction to Mobile IPv6(Internet Protocol Ver.6) Dongseo University Computer Network 2009. 11.24 20051676 최현진 20051531 박효정
Contents 2 • IPv6란? • Mobile IPv6란? • MIPv4 vs MIPv6 • 향후전망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IPv6 3 • OSI 참조모델 제3계층 (네트워크 계층) 해당 • 네트워크 주소+호스트주소의 정의에 의한 네트워크의 논리적 관리 등을 담당 • 현재 사용되는 IP주소의 형태는 IPv4 • IPv4 주소표현은 32bit (ex. 210.216.82.3) • IPv6 주소표현은 128bit • (ex. 2001:230:abcd:ffff:0000:0000:ffff:1111)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IPv6 4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MIPv6의 필요성 •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 요구 • 휴대용 컴퓨터나 PDA • 같은 이동 단말기 들의 성능 향상 •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수 증가 • 차세대 IPv6를 이용한 이동성 제공 • IPv4 의 주소부족 문제 해결 5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 MN(Mobile Node) : 자신의 망 접속위치를 바꾸는 호스트 또는 라우터- CN(Correspondent Node) : 이동노드와 통신하고 있는 호스트 또는 라우터- Home Network : MN가 이동하기 전 홈 링크의 Prefix를 따르는 주소의 망- HA(Home Agent) :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로 데이터그램을 • 보내주는 HN의 라우터- COA(Care of Address) : MN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HN 주소외 새로 이동한 네트워크 주소를 생성- Binding : MN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HA의 등록 주소와 해당노드의 주소를 같게 함- BU(Binding Update) : 이동노드가 홈 에이전트와 대응노드에게 자신의 주소를 알림- BA (Binding Acknowledgement) : 홈 에이전트는 이동노드에게 BU에 대한 응답으로 BA전송- Binding Request : 대응노드가 이동노드에게 BU를 요구할 때 전송- Home Address Option : MN가 외부 네트워크에서 CN와 통신할 때 • Datagram의 근원지 주소로 자신의 COA를 사용 6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Reverse Tunnel Tunnel Fitering Router MIPv4 프로토콜의 한계성 CN HA MN 7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8 • 정의 • IPv6주소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IETF 이동 IP 표준 • 기존 IPv6에 이동성 헤더를 추가, 이를 통한 바인딩 관련 메시지 전송 • 특징 • 무한대 주소공간 • 보안 기능 : 보안기능이 프로토콜 자체 내에 포함 • 주소 자동설정 기능 : Easy to use, Always On서비스 가능 • 라우팅 최적화 : 효율적으로 이동성환경 제공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MIPv6 동작개요 9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MIPv4 vs MIPv6 10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11 • 이동노드와 통신하는 대응노드가 지녀야 할 기능 • Home Address Option 능력 • Binding Update 처리 능력 • 홈 에이전트가 지녀야 할 기능 • Proxy Neighbor Discovery 기능 • IPv6 Encapsulation 수행 능력 • Home Agent Address Request/Reply • 이동노드가 지녀야 할 기능 • IPv6 De-capsulation 수행 능력 • Binding Update/Request/Acknowledgement Option 처리 능력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사용사례 12 MIPL(Mobile IPv6 for Linux) • HUT(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S/W Development Project의 일환 • 리눅스 기반의 Mobile Ipv6 특징 • 이동 메커니즘 불안 • MN->CN 사이 통신에서 역터널링 구현x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Mobile IPv6 사용사례 13 MSR Mobile IPv6 • Windows2000기반의 Mobile IPv6 특징 • IETF에서 정의한 MN, CN, HA의 기능을 그대로 구현 • MN이 여러 개의 Home Address를 가질 수 있음 • MIPv6 Configuration을 위해 Power가 꺼진 동안에도 지워지지 않는 Memory를 지원하여 Power-Off후에도 COA를 기억 가능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향후 MIPv6의 전개계획 Phase II (2002~2005) Phase III (2006~2010) Phase IV (2011~) Phase I (~2001) IPv4 Ocean IPv6 Island IPv4 Island IPv6 Ocean IPv6 Only IPv4 only Experimental IPv6 Network IPv4/IPv6 Translation Required Mobile IPv6 상용 시점 Validation Operation Promotion Complete Native IPv6 IMT2000 service Translation service Commercial IPv6 Service (wire/wireless) 3G / 무선랜 망 (only MIPv4) 3.5G (MIPv4 MIPv6) 4G (only MIPv6) 2G / 2.5G Home Network (DHCP) Home Network (IPv6 수용 추진) Home Network (IPv6 상용단계) 14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15 Dongseo Univ, Computer Network Thank you for listening our pres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