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8

국가 경쟁력과 디자인산업 발전전략

국가 경쟁력과 디자인산업 발전전략. 차 례. 1. 21세기의 새로운 흐름. 2. 우리 경제의 현주소. 3.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현황. 4. 경제 강국의 기술혁신 전략 . 5. 참여정부의 산업기술혁신전략. 6. 참여정부의 디자인 산업 발전전략. 21 세기의 새로운 흐름. 21 세기의 새로운 흐름 (1).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 국부창출의 원동력 : 자본 · 노동 → 지식 · 기술 기술혁명의 가속화 · 융합화 기술생명주기의 단축

columbia
Download Presentation

국가 경쟁력과 디자인산업 발전전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가 경쟁력과 디자인산업 발전전략

  2. 차 례 1 21세기의 새로운 흐름 2 우리 경제의 현주소 3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현황 4 경제 강국의 기술혁신 전략 5 참여정부의 산업기술혁신전략 6 참여정부의 디자인 산업 발전전략

  3. 21세기의 새로운 흐름

  4. 21세기의 새로운 흐름(1) •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 • 국부창출의 원동력 : 자본 · 노동 → 지식 · 기술 • 기술혁명의 가속화 · 융합화 • 기술생명주기의 단축 • IT,BT,NT와 전통산업과의 결합, NBIT 등장, Digital convergence • 문화와 감성의 시대 도래 • 획일화 · 동질화(Mass production) → 개인화 · 비집단화(Mass customization) • 제품경쟁력 : 가격 · 품질 + 브랜드 · 디자인

  5. 21세기의 새로운 흐름(2) • 세계화 진행속에 지역주의 가속화 • 상품  서비스  인력의 국제간 이동성 증가 • 다국적기업에 의한 글로벌 최적생산체제 구축 • 해외직접투자, M&A, 원자재·인력·자금의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 • ’95년 이후 지역주의를 통한 경제블록 형성 확산 • 전세계적으로 273개 FTA체결(189개 발효 중) • FTA 역내무역 비중(’05예상) : 전세계 교역량의 55% •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급부상 • WTO가입이후 개혁개방 확대, 연 7%이상의 고도성장 • FDI 세계2위, GDP 세계6위(’01 기준) • 10년 후 세계 3위 경제강국으로 성장 전망

  6. 우리경제의 현주소

  7. 고도성장기 전환기 현 재 1인당 국민소득 정체(한국,대만) $10,000 추락(쿠웨이트, 사우디) 퇴보(알젠틴) 성장의 정체 현상 • ’95년이후 9년간 “마의 1만불”에서 답보 • 잠재성장률은 ’96년부터 5.2%로 하향추세 • 노동  자본 등 요소투입 위주(factor-driven) 성장전략의 한계 • 잠재성장률 : (’62~’90) 8.9% -->(’90~’96) 7.1% --> (’96~’03) 5.2%

  8. 경제의 양극화 • 수출 호조에 불구하고 내수는 계속 부진 • 4월 수출(217억불)이 2개월 연속 사상 최대치 경신 • 도소매판매(%) : (03.4/4)-2.2-->(04.1)-2.3--> (04.2)2.4-->(04.3)0.9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심화 • ’03년 산업생산 5.1%, 중소제조업 생산 0.3% • 중화학과 경공업간, IT와 비IT산업간 양극화 • 업종별 산업생산(’03) : 중화학공업 8.0%, 경공업 Δ4.1% • 산업별 성장률(’03) : IT산업 11.5%, 비IT산업 2.1% • 수도권과 지방간 격차 확대 • 수도권의 총생산 점유율(%) : (95) 45.4 → (99) 46.5 → (02) 47.7 • 연구인력의 58.6%, 연구개발비의 62.7%가 수도권에 집중

  9. 일자리 창출역량 약화 • 기업의 고용흡수력 둔화 • 기술혁신과 산업구조 변화 등에 기인 • 고용없는 성장(jobless growth) 우려 • 고용탄성치(1% 성장시 고용증가율): (01)0.63 ->(02)0.44->(03)0.16 • 취업계수(명/억원) : (90) 6.03 -> (95) 4.56 -> (00) 3.70 -> (02) 3.48 • 최근 (+) 성장하에 취업자수는 감소 • 외환위기이후 처음으로 취업자수가 3만명 감-> • 취업자수(만명) : (97) 2,121 ->(98) 1,994 ->(02) 2,217 ->(03) 2,214 • 고용율도 국제적으로 낮은 수준 • 고용율(취업자수/생산가능인구) : 한국(’02) 59.7%, 미국(’01) 76.0%

  10. 고령화 사회로의 급속한 진입 • 출산율 감소, 평균수명 증가가 주 원인 • 출산율은 OECD국가중 최저 수준 • 출산율(%, ’02) : 한국 1.17, 미국 2.0, 프랑스 1.7, 일본 1.4, 독일 1.3 • 평균수명은 계속 상승중 • (’71) 62.3세 --> (’00) 75.8 --> (’50, ) 83.1 • 향후 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될 전망 • 2019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 도달 전망 • 65세이상 인구비중: 7%(고령화사회), 14%(고령사회), 20%(초고령사회) •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경제활동참가율은 ’05년을 고비로 하락 전망 생산성 향상없이는성장잠재력 약화 전망

  11.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현황

  12. 선진국대비 낮은 기술수준 • 최고 기술보유국 대비 평균 71% 수준 • 기술격차는 평균 5.8년 • 핵심원천기술보다는 범용모방기술 위주 • 높은 수준의 해외기술 의존도 • 기술도입액/R&D투자 : 한 33.9%,미 7.2%, 독 9.4%, 일 14.6% • 만성적 기술무역수지 적자(’00년: Δ28.6억불) • 원천기술 보유기업에 대한 로열티 해외유출(퀄컴, 5.25~5.75%) • 핵심 부품소재산업 미발달로 높은 수입유발 초래 • DVD(70% 수입), 산업용 로봇(65%), 휴대폰(50%)

  13. R&D규모 및 인프라가 여전히 취약 • R&D 절대규모의 열세 • 국가R&D 규모 : 미국의 1/20, 일본의 1/9, 독일의 1/3 • 국가R&D중 정부예산 비중도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 • 한국 26%,미국 34%, 독일 32%, 프랑스 40%, 영국 36% • 기업도 R&D투자 보다는 설비투자에 주력 • 매출액대비 R&D투자율, 설비투자율(%): 한 3.25, 7.96일 7.26,4.23 • 글로벌 700대 R&D투자 기업 중 한국기업은 6개에 불과 • 연구인력도 선진국대비 부족 • 고용인원 1,000명중 연구자수 : 6.4명 • 미 8.6명, 일본 10.2명, 핀란드 15.8명, 스웨덴 10.6명

  14. 공급자 중심의 기술혁신체제 • 산업수요와 괴리된 공급자 중심의 R&D • R&D기획, 과제선정, 평가가 학  연에 의해 주도 • 산업계 인사 참여비율 : R&D기획단계 35%, 평가단계 29% • 사업화 기반 취약으로 개발된 기술이 사장 • 정부R&D과제 중 상업화 진행비율은 12% • 대학교육과 산업수요의 Mismatch • 중급기술인력은 과잉, 고급 및 기능인력은 부족 • 이공계 대졸자 취업률(%) : (’02) 59.4% → (’03) 58.5% • 대학교육은 기업필요 수준의 26%만 충족(전경련)

  15. 경제강국의 기술혁신전략

  16. 경제강국의 특징(1) •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전략산업 보유 수출비중 상위업종 일본 미국 아일랜드 핀란드

  17. 소 국 강 대 국 경제강국의 특징(2) • 글로벌 초우량 기업보유 Fortune 500대 기업수 및 인구수 10대 기업 매출액/GDP(%)

  18. 경제강국의 특징(3) • 100개 이상의 세계 1등 상품 보유

  19. 경제강국의 경쟁력 원천 –정부측면(1) • 국가차원의 성장동력 조기발굴 ·육성 • 일본 : ’04.5월까지 “신산업 창조전략” 마련예정 • 6대 신산업 : 연료전지, 로봇, 디지털가전, 바이오, 환경기기, 컨텐츠 • 핀란드 : 시대별로 성장엔진을 집중 육성 • ’93년 신산업전략 : 정보통신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 집중육성 • ’01.9월 Finland in 2015 : IT, BT, 환경 등에 집중할 예정 • R&D투자 확대 및 효율성 제고 • 재정적자,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정부R&D예산 확대 • 미국(’03): ’02년대비 142억불 증액(13.8% 증가) • 핀란드(’03) : 정부예산 삭감(-1.4%)에도 불구, R&D예산은 1.8% 증액 • 기업수요 중심의 R&D 및 성과분석 프로그램 확대 • 영국 : Faraday Partnerships(산업계 수요반영에 초점)

  20. 경제강국의 경쟁력 원천 –정부측면(2) • 고급기술인력의 양성 • 국가차원의 기술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 미국 NSF의 Graduate Research Fellowships • 해외 고급기술인력 유치 • 미국 : “21세기 미국 경쟁력 법안” : 고급기술인력의 임시취업비자 (Hi-B) 한도를 (’01) 65,000명에서 (’03) 195,000명으로 상향조정 •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인력 양성 • 영국 : Sector Council • 전략적 클러스터 육성 • 대만 신죽과학산업단지, 핀란드 Oulu Technopolis

  21. 경제강국의 경쟁력 원천 –기업측면(1) • R&D투자를 통한 핵심기술 확보 • 막대한 규모의 R&D투자 지속 • 매출액대비 R&D비중(’02) : 세계 700대 R&D기업 4.3%, 한국 2.2% • 특허, 표준 선점을 통한 시장지배력 확보 • 표준선점을 위한 진영 결성 가속화(플래시 메모리: 메모리스틱 vs SD카드)

  22. 경제강국의 경쟁력 원천 –기업측면(2) • 선택과 집중 • 경쟁력 없는 사업매각 → 핵심사업에 집중 투자 • 캐논 : 채산성없는 7개 사업정리 → 복사기, 프린터, 디카 등에 투자 • 미래 시장니즈를 바탕으로 신사업 발굴 • 3M : 의료관련 R&D에 집중투자하여 의료회사로 탈바꿈 중 • 글로벌 아웃소싱과 전략적 제휴 • 생산, 물류에서 R&D, 정보센터 등으로 아웃소싱 확대 • GE: 인도 방갈로, 중국 상하이, 독일 뮌헨에 R&D센터 설립 • 글로벌 일류기업간 협력 증대(Copetition) • 디지털 컨버젼스, 진영간 경쟁, 규모의 경제를 위한 과점화 등이 원인 • 소니, IBM, 도시바가 제휴하여 “PS3”용 셀칩을 공동개발중

  23. 참여정부의 산업기술혁신전략

  24. 주력 기간산업 차세대 성장동력 지식기반 서비스업 2만불 시대 혁신주도형 발전전략 R&D 생산성 제고 수요자 중심 인력양성 지역혁신

  25. 1. 3대 산업군의 균형적 발전 • 차세대 성장동력의 조기 산업화 • 10대 성장동력에 R&D, 인력, 인프라를 집중 투자 • 국내역량 부족분야는 전략적 국제기술협력 추진 • 주력기간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공정혁신과 신기술접목을 통한 부가가치 제고 • 핵심기술의 전략적 표준화로 시장선점 •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생산성 제고 • IT기술 접목 및 물류시스템 효율화 • 디자인 혁신역량 강화

  26. 2. 성과중심의 기술혁신체제 정립 • R&D투자규모의 지속적 확대 • R&D예산/총 정부예산 : (’02) 4.5% → (’07) 7% • 수요자 지향적 R&D시스템 구축 • R&D 기획, 과제선정, 평가를 기업수요 중심으로 전환 • R&D 성과분석 전면실시 및 e-R&D 환경 구축 • 기술이전  사업화 기반 조성 •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정비 • 기술사업화 전문조직 육성 • Research Joint Venture, CRO 등

  27. 3. 기업맞춤형 기술인재 양성 • 대학교육체계를 기업수요 중심으로 전환 • 산학협력 중심대학의 지정  육성 • 금년중 400억원을 투입하여 8개 권역별로 1개 대학 지정 • 공학교육인증, Capstone-design, 현장실습학점제 • 체계적인 산업기술인력 양성 기반 조성 • 업종별 산 학 협의회(Sector Council) 구성 • 산업기술인력수급 통계조사 및 국가기술인력지도 작성

  28. 4. 역동적 지역혁신시스템 구축 • 지역혁신 거점 확충 • Techno Park를 확충하고 지역혁신 platform화 • TBI 등 각종 지역기술혁신사업의 지원통로로 활용 • TIC를 특정기술 중심의 소규모 기술혁신거점으로 육성 • RRC,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과의 연계 강화로 패키지 지원 유도 • 산학협력 활동 촉진 • RIS 시범사업(’04년 500억원) • 지역기술혁신 인력양성사업(’04년 300억원)

  29. 참여정부 디자인 산업 발전전략

  30. 디자인의 중요성

  31. 22% 52% 14% 디자인 품질 가격 디자인의 중요성(1) ● 디자인은 상품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중요성 증대 - 소득향상에 따른 소비자 욕구 다양화 - 성능/품질 격차 감소 제품구매 결정요인 * 청소년 상품선택기준 조사결과(소비자보호원, ’99년) ●디자인과 브랜드 차이로 2-4배의 가격차이 발생 -안경테 : 한국산100, 이태리산258, 일본산370

  32. 디자인의 중요성(2) ● 디자인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창출 수단 -디자인 투자는 기술개발에 비해 투자비는 1/20에 불과하나, 투자효과는 큰 지식집약형 고부가가치 산업 * 부가가치측면 : 여객선 1척 수주 = 승용차 1만대 수출 1억원 (디자인개발 투자액) 19억원 (매출액 증가) ● 디자인은 기업사활을 결정하는 핵심수단 - 여러 차례 부도 위기를 맞은 후 디자인을 통한 혁신으로 회생한 대표적 사례(iMAC 컴퓨터(일명 누드컴퓨터), 1998) -소니, 필립스, IBM 등 세계적 기업들의 디자인경영전쟁

  33. 디자인 •브랜드 가치창조산업 지식기반산업 성장동력산업 미래유망산업 주력기간산업 현재주력산업 ●디자인 산업분야를 가치창조 산업화(Value Creative Industry) - 미래유망디자인, 소프트 • 감성산업 • 하이터치산업 ● 초부가가치 신성장산업에 디자인을 접목, 미래유망산업의 조기 사업화 실현 - High Tech + High Touch로 첨단제품의 감성화 ● 주력기간산업에 디자인접목 - 대량생산체재를 명품생산체제로 전환 디자인의 중요성(3) 국가경쟁력의 최후 승부처 2만불 국민소득 진입여부 판가름

  34. 디자인 산업동향

  35. 1. 주요국의 디자인 산업 동향 ● 전 세계 디자인산업 시장규모는 약 300조원으로 추정 ● 선진 각국은 제조업의 회생수단을 디자인에서 찾음 -21세기 탈공업화의 새로운 탈출구로서의 디자인 -종합적인 디자인 지원에서 Sector별 지원으로 구체화 * 섬유패션, 기계디자인, 도자기 의장 등 ● 디자인이 제조를 리드 -나이키 등 다국적 기업들은 디자인,R&D 등은 선진국에서 제조는 개도국에서 하는 경향

  36. 1. 주요국의 디자인 산업 동향 ● 경제전쟁시대에 디자인진흥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 -인력 양성 등 디자인 인프라에 대한 투자 급증 * 일본 : 나고야디자인센터, 오사카디자인센터 등 건립 * 대만 : 95년 산업디자인의 해 선포 및 ICSID 개최 ● 국가 최고지도자가 나서서 디자인 이니셔티브를 주도 -미국 : 클린턴 행정부 “디자인으로 승부하라” -영국 : 대처, IMF 극복위해 “Design or Resign” 토니 블레어, 창의적인 영국을 위한 디자인정책

  37. 2.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의 현황 ● 국내 디자인산업 시장규모는 약 3조원이나 최근 들어 연평균 19.2%수준으로 급격한 신장 - (01) 3조원 --> (03) 7조원 (연평균 증가율 19.2%) ● 디자인 저변 인력은 풍부하나, 고급인력 부족 및 인력 활용도는 미흡 -전문대 이상 졸업생 수 : 연간 3.6만명 (02년 기준) -디자인분야 종사인력 : 약 10만명

  38. 2.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의 현황 ● 해외매스컴 특집 - Buniness Week : “한국의 삼성전자는 각 분야 5개의 디자인이 수상하였으며, 이는 한국이 디자인파워 국가로 성장하였음을 증명한다. - Nekkei Design : “본격적인 국제경쟁시대가 도래하면 일본기업의 대부분은 한 국 기업의 디자인파워나 앞으로 발전할 한국브랜드파워 앞에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다.” ●국제대회 수상 삼성전자 LG전자 • 2004. 독일 IF PDA폰(SPH-i500) 등 8개제품 • 2003. 미국 IDEA Syncmaster 152T/172T, 17”와이드 LCD TV • 2002. 미국 IDEA LCD Flat Panel TV Monitor, Family Doctor, DVD Potable Player • 2004. 독일 IF LCD 프로젝션TV(RN-48SZ40) 등 • 2003. 독일 Red dot LCD Projector, 플라즈마 모니터 등 • 2002. 독일 IF 60” PDP, LCD 모니터 등

  39. 2.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의 현황 ● 최근 들어 기업체의 디자인투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디자인수준은 아직 선진국의 70-80% - 매출액 대비 디자인 투자비율 : 0.34%(영국2.4%내외) ● 디자인전문회사는 수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나 영세하고 경쟁력 미약 - (99) 191 --> (03)983개 (최근 4년간 약 5배 급증) - 제조업체의 제품개발 최종단계에서 단순 하청을 수행 하는 회사가 대부분

  40. 디자인 산업의 비전과 전략

  41. 1. 디자인 산업의 비전 세계 7위 디자인 선진국 20032008 ㅇ 디자인 부가가치 생산 3조원 7조원 ㅇ 디자인 수준(선진국대비) 70-80 % 90% ㅇ 세계 100위권 디자인브랜드 기업 1 5-6

  42. 2. 디자인 산업의 발전전략 디자인 산업의 창출과 육성 ㅇ 디자인전문인력 양성 - 현장맞춤형 디자인교육실시, CDO 대학출강 지원 ㅇ 세계적인 스타 디자이너 발굴, 육성 - “차세대 디자인 리더” 선정, 디자이너 브랜드화 유도 ㅇ 디자인전문회사 육성 - “디자인실용화센터”건립, 우수디자인전문회사 육성 ㅇ 디자인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 산업디자인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지원자금 확대 *(03) 200억원 --> (07) 1,000억원

  43. 2. 디자인 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의 디자인 혁신역량 강화 ㅇ 디자인과 기술의 연계강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 주력기간 산업에 디자인 접목, 미래 유망 산업 사업화 조기 실현 ㅇ 기업의 디자인 혁신지원 - 디자인 기술 로드맵 작성, 중소기업의 디자인 인력 고용 확대 ㅇ 우수 디자인 상품의 세게 시장 진출 - GD 상품의 해외 로드쇼 개최 (04, 중국)

  44. 2. 디자인 산업의 발전전략 국제 디자인 HUB화 및 동북아 협력강화 ㅇ 코리아 디자인 센터(KDC)의 국제디자인 HUB화 추진 - 세계적 수준의 디자인전시회 및 포럼 정례 개최 * 세계 인테리어 디자인(IFI) 대회 및 세계 디자인 연맹(IDA) 사무국 유치 ㅇ 동북아 협력기반 구축 - “제1회 동북아 디자인포럼” 개최, 중국에 “디자인혁신센터”설립추진 ㅇ 세계적 디자인 대학과의 협력체제 구축 - 세계 유수의 대학과 공동으로 디자인 프로젝트 추진 - 세계적 디자인 R&D 센터 및 교육기관 국내유치

  45. 2. 디자인 산업의 발전전략 지방의 디자인 혁신능력 강화 ㅇ 지방의 디자인 인프라 조성 및 전국적 디자인 네트워크화 - 부산, 대구, 광주 3개 광역권역에 지역디자인센터 건립(‘07완공) - 코리아 디자인센터, 지역 디자인센터(RDC), 디자인혁신센터(DIC), 기타 디자인 인프라 간의 네트워크 및 협조체제 구축 ㅇ 지역 특산품의 디자인 개발 및 브랜드 개발 활성화 - 지역별 특화산업과 연계된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 추진 - 지역 문화상품의 개발지원(‘04,10억원),지역우수 디자인 특산품전시

  46. 2. 디자인 산업의 발전전략 일자리 창출을 통한 잠재인력 활용 ㅇ 인력 수급체제 구축 및 취업 알선 - KIDP내 취업알선 프로그램 운영 및 디자인 대학 박람회 등을 통한 현장 리쿠르트 기회 제공 ㅇ 1기업 1디자이너 보유사업 확대 - “일류상품 디자인 ∙브랜드지원단”, “중소기업 디자인 홈 닥터” 운영 ㅇ 디자이너 보유사업 지속확대 - 디자인 인턴십 확대 (04년 900명, 45억원)

  47. 2. 디자인 산업의 발전전략 디자인 문화 확산 ㅇ 디자인 생활화를 위한 환경 조성 - 매년 “디자인 주간(Design Week)”선포 ㅇ “생활 디자인 센터” 운영 및 확산 - 수도권에 시범센터 운영 ㅇ 디자인 조기 교육 -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정규교육과목에 포함) ㅇ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환경 디자인 개선 사업 - 환경⋅색채⋅디자인에 관한 가이드북 개발 및 보급 - 환경⋅색채⋅디자인 시범사업 실시

  48.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