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0 likes | 1.64k Views
수질예측모델 운영 실무교육. 낙동강수계에 적합한 수질예측모델 개발 SWAT을 이용한 유역해석. 2007. 2. 7 ~ 9. 낙동강물환경연구소 경북대학교. 2. SWAT 수문학 성분. 3. SWAT 유사 해석. 4. SWAT 영양물질 해석. 5. SWAT 모형 실습. 목 차. 1. SWAT 모형의 특성. 1. SWAT 모형의 기본 이론. SWAT 모형의 특성. 물공급 및 비점 오염원 관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개념적 연속 시간 모형 ( 시간 간격 : 1 일 )
E N D
수질예측모델 운영 실무교육 낙동강수계에 적합한 수질예측모델 개발SWAT을 이용한 유역해석 2007. 2. 7 ~ 9. 낙동강물환경연구소 경북대학교
2 SWAT 수문학 성분 3 SWAT 유사 해석 4 SWAT 영양물질 해석 5 SWAT 모형 실습 목 차 1 SWAT 모형의 특성
SWAT 모형의 특성 • 물공급 및 비점 오염원 관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개념적 연속 시간 모형(시간 간격 : 1일) • 모형의 주요 8가지 성분 • 수문학(hydrology) • 기상(weather) • 유사(sedimentation) • 토양 온도(soil temperature) • 작물 성장(crop growth) • 영양물질(nutrients) • 농약류(pesticides) • 농작물 관리(agricultural management)
SWAT 수문학 성분 • 기본 방정식 : 물수지 방정식 : 토양함수비 –압력 15bar 일 때 함수비 : 시간(일) : 일 강우량(mm) : 일 유출량(mm) : 일 증발산량(mm) : 일 침루량(mm) : 일 회귀수량(mm)
지표수 유출 • 일강우량 → 지표유출 체적, 첨두 유출률 계산 • 유출 체적 : 수정 SCS Curve Number 기법 • 첨두 유출율 산정 방법 • 수정 합리식 • SCS TR-55 기법
지표 유출 체적 • 수정 SCS 기법 • R : 강우량 , Q : 일유출량 • 토양함수율의 변동이 심할 때 계산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정 SCS 기법이라 함
첨두유출율1 • 수정 합리식 : 첨두 유출율(m3/s) : 지표 유출(mm) : 수문학적 응답 단위 면적(km2) : 도달 시간(h) : 도달 시간 동안 발생하는 일 강우율
첨두유출율2 • SCS TR-55 기법 • 첨두유출율은 강우 분포 및 양, 유출곡선 번호, 도달시간에 종속 : 첨두율 : 단위강우당 첨두율 • 를 산정하기 위한 곡선 자료 군 이용 • 강우 분포(SCS Type I, IA, II, III) • 유출 곡선 번호 • 유역의 도달시간
저수지 유출 • 세가지 산정 기법 • 측정된 유출값 입력 • 방출율 지정 • 체적 > 비상여수로 : 1일 내에 방출 • 소규모 비조절 저수지에 주로 사용 • 저수지 체적 > 저류량 → 나머지 물은 지정된 비율로 방출 • 저수지에 대한 월 목적 체적 지정
지표하 유량 • 지표 아래, 암석이 물로 포화된 영역 위에서의 기여 • 토층단면(0-2m) 에서의 재분포로 연속적 계산 • 운동파 저수지 모형이 각 토양층의 측면 유량을 예측하는데 이용 • 전도도, 경사, 토양 함수율 고려 • 인접 상층 혹은 표면으로의 유량의 이동 허용
회귀수량 • 지하수에서 발생된 하천유수 체적 • SWAT 은 두개의 대수층으로 구분 • 천층 비피압 대수층 : 유역 내에서 하천에 회귀수량으로 기여 • 심층 피압 대수층 : 유역 밖에서 하천에 회귀수량으로 기여
HRU(hydrologic response units) HRU PCP ET - 성분 모의(발생) 순서 - 1. Qsur 2. Qlat, Qsep 3. ET 4. Qrchge 5. Qgw 6. Qrevap 7. Qda Qsur Surface flow Qsep,1 Qlat,1 ly1 Qsep,2 Qlat,2 ly2 Soil water Qlat : : : Qsep,n Qlat,n lyn Qrchge Qgw Ground water Qrevap SA Qda DA
유출 모의 이론 • HRU로부터 주하도로 유입되는 총 물의 양 소유역 유입량 여기서, Qsurf : HRU에서 발생한 지표유출량(mm) Qlat : HRU에서 발생한 측방흐름(mm) Qgw : HRU에서 발생한 지하수흐름(mm) Qtile : HRU에서 발생한 토관배수(mm) HRU 주하도 유출량 • HRU로부터 주하도로 유입되는 지표유출량 산정
HRU에 대한 Qsur산정 • S curve eq.(Jeff Arnold) • retention parameter S ? • Land cover/treatment, soil 에 • 따라 공간적으로 변함 • Soil profile water content에 • 따라 시간적으로 변함 • SWAT은 현재의 토양수분 상태에 따라 계산단위에 따른 연속적인 S 산정
Lhill Dperm Ho impermeable layer • HRU에 대한 Qsep,Qlat산정 - 표층에서 수리전도도가 높거나 얕은 깊이에서 불투수층이나 준투수층 토층을 가지는 지역에서 활발히 발생 • 포화지대에서의 유선이 불투수 경계와 평행하고 수리경사도가 바닥경사와 동일하다고 가정 SWly,excess : drainable volume of water stored in the saturated zone (mm) Ho : Ho / Dperm (mm/mm) ψd : drainable porosity of the soil (mm/mm) Lhill : hillslope length (m) ahill
Qsep산정 • Qlat산정 • TTperc : travel time (hrs) • Δt : time step (hrs) • Ksat :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mm/hrs) • slp : elevation per unit distance (m/m) • SWly,excess = Swly - FCly
HRU에 대한 Qgw산정 • αgw : baseflow recession constant • Δt : time step (1 day) • wrchrg : the amount of recharge entering the aquifer on day i (mm) • δgw : delay time or drainage time (days) • Qsep,btm : total amount of water exiting the bottom of the soil profile on day i (mm) • wrchrg,i-1 : the amount of recharge entering the aquifer on day i-1 (mm)
HRU에 대한 PET 산정 (Penman-Monteith method) • λ : latent heat of vaporization (MJ/kg) • Et : maximum transpiration rate (mm/d) • Δ : slope of the saturation vapor pressure-temperature curve, de/dT (kPa/℃) • Hnet : net radiation (MJ/m2/d) • G : heat flux density to the ground (MJ/m2/d) • ρair : air density (kg/m3) • K1 : dimension coefficient needed to ensure the two terms in the numerator • have the same units (for uz in m/s, K1 = 8.64×104) • P : atmospheric pressure (kPa) • cp : specific heat at constant pressure (MJ/m2/d) • ez0 : saturation vapor pressure of air at height z (kPa) • ez : water vapor pressure of air at height z (kPa) • ra : diffusion resistance of the air layer (aerodynamic resistance) (s/m) • γ : psychrometric constant (kPa/℃) • rc : plant canopy resistance (s/m)
Muskingum 하도추적 방법 • Vin,1 : inflow rate at the beginning of the time step (m3) • Vin,2 : inflow rate at the end of the time step (m3) • Vout,1 : outflow rate at the beginning of the time step (m3) • Vout,2 : outflow rate at the end of the time step (m3) • K : storage time constant for the reach segment (s) • X : weighting factor (0.0~0.5) • Δt : length of the time step (s)
Muskingum 하도추적 방법 • K : storage time constant for the reach segment (s) • coef1 and coef2 : weighting coefficients input • by the user • Kbnkfull : storage time constant for the reach • segment with bankfull flow (s) • K0.1bnkfull : storage time constant for the reach • segment with one-tenth of the bankfull flow (s) • Lch : channel length (km) • ck : celerity corresponding to the flow for • a specified depth (m/s) • Rch : hydraulic radius for a given depth of flow (m) • slpch : slope along the channel length (m/m) • n : Manning’s “n” coefficient for the channel • vc : flow velocity (m/s) → Cunge (1969)
SWAT 유사해석 • MUSLE(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 소유역으로부터의 유사산출량(ton) : 소유역에 대한 지표유출칼럼(m3) : 소유역에 대한 첨두유출율(m3/s) : 토양 침식인자 : 작물관리 인자 : 침식조절 인자 : 경사 길이 인자
모형 매개변수 • 입력파일 구성
SWAT모형 실습과정 • AVSWAT2000의 실행 및 프로젝트 구성 • 유역의 구성 • 토지이용도 및 토양도의 입력 • HRU(hydrologic response units)의 계산 • 기상자료의 입력 • SWAT모형의 구동 • 결과 보기
1. AVSWAT의 실행 및 프로젝트 구성 • ArcView를 실행시켜 File 메뉴에서 Extentions를 실행시킨다. • Extentions의 목록에서 AVSWAT2000을 찾아 활성화 시킨후OK를 클릭한다.
1.1 AVSWAT의 실행 및 프로젝트 구성 • 프로젝트의 Directory는 lakefork로 설정하고SWAT User Data는 AVSWAT2000폴더의 example1으로 설정한다.
2. 유역의 구성 • 프로젝트 구성을 마치면 Watershed Delineation창이 나타난다. • DEM을 User Data 폴더에서 찾아 입력한다.
2.1 유역의 구성 • 입력된 DEM의 Projection을 입력하여야 하는데 본 예제에서는 미국의 lakefork지역을 이용하므로 Albers Equal Area를 선택한다. • 다른지역에서 사용할 경우 Projection을 사용하는 DEM의 정보에 맞춰주어야 한다.
2.2 유역의 구성 • 사용하는 DEM이 지나치게 큰 경우나 필요한 지역만 모의할경우 mask를 이용하는데 예제에서는 미리 만들어둔 mask를 불러와 사용한다.
2.3 유역의 구성 • 좌측이 lakefork유역의 DEM이고, 우측의 빨간 도형이 모의하고자 하는 유역을 mask한 모습이다.
2.4 유역의 구성 • Threshold Area는 작게하면 할수록 자세하게 나타나기는 하나 너무 작게 하면 모의가 잘 안될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본예제에서는 1000으로 설정하여 모의를 실행한다.
2.5 유역의 구성 • 점오염원의 경우 미리 데이터를 구성해놓고 입력해주어 모의에 반영하도록 한다. • 그림에서 하얀색으로 나타난 점이 점오염원 배출지역이다.
2.6 유역의 구성 • 최종 유출구를 설정해주고 OK를 클릭하면 선택한 유출구를 중심으로 유역을 설정한다.
2.7 유역의 구성 • 소유역의 구분을 확인하고 그대로 진행을 하려면 Apply를 선택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 본예제에서는 20개의 소유역으로 나누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