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576 Views
2006. 11 . 15 유 경 기.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개요 및 예방과 감염관리. 목차 1. 개요 2. 성질 3. 증상 4. MRSA 의 임상적의의 5.MRSA 의 전파 5. 예방 및 관리 6. 결론. 1. 개요
E N D
2006. 11 . 15 유 경 기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개요 및 예방과 감염관리
목차 1.개요 2.성질 3.증상 4. MRSA의 임상적의의 5.MRSA의 전파 5.예방 및 관리 6.결론
1.개요 1.S.aureus : gram stain 상 G(+)cocci 직경 0.5-1.0um의 구형,포도상배열 2.병원성 ,Enterotoxin(장관독소) : 식중독의 원인 3.TEST :1)Catalase test 2)coagulase test 3)mannitol 분해능 4)D-Nase test 등으로 구분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 • β-lactam은 penicillin binding protein (PBP)에 결합하여 PBP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살균효과 • MRSA에서 PBP2a 라는 변이된 단백을 합성하여 β-Lactam에 친화도가 매우 낮다. 모든 β-lactamse에 내성. PBP2a는 mecA유전자 발현 산물. • 다제 내성을 동반하여 staphylococci에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항균제에 내성. Vancomycin을 사용하게 된다. • MRSA의 빈도: 전체 병원에서 분리된 S. aureus의 60-70%,(중환자실의 병원감염 S.aureus의 >90%)
2.성질 • 1.황색포도상구균은 Salmonella,Vibrio식중독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며 피부의 화농,중이염,방광염등 화농성질환유발하고 균에 의해 생성된 독소를 섭취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며 100 도에서 30분간 가열하여도 독소가 파괴되지 않는다.
2.MRSA의 중요성 병원감염은 환자의 입원일수를 연장하며 진료의 질을 저하시키며 의료비의 상승 및 원인균이 항생제 내성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 항균제의 선택이 어렵다는 점 에서 문제시 되고 있다.
3.증상 • 황색포도상구균이 식품에서 증식하는 과정 중 독소를 생산하고 이 독소를 섭취함으로써 독소가 위나 장에 흡수되어 구토,설사,복통을 일으키며 구토가 먼저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구토 환자 중 70%가 설사를 2/3이 복통을,1/3이 발열증상을 보이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24시간이내 회복되고 사망하는 경우는 거의없다.
4.임상적 의의 • 1.MRSA의 임상적 중요성은 치료약제 선택의 문제,장기적인 측면에서의 항균제 내성문제 및 임상적 중증도 등으로 대별하여 볼 수 있으며 우선 MRSA감염증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의 폭이 극히 제한된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다.
2.MRSA는 비단 methicillin 뿐 아니라 다른 항균제에 동시 내성을 보이므로 문제가 된다. Beta-lactam 항균제,아미노 배당체, 퀴놀 론계,erythromycin,tetracycline등 대부분 내성이며 유일하게 glycopeptide계인 vancomycin,teicoplanin에는 감수성이며 새로이 개발된 신약이 있으나 충분한 임상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3.MRSA치료 시 vancomycin이나teicoplanin이 과다하게 사용될 경우 항균제 내성의 발현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MRSA는 대게 병원성 균혈증이나 수술 후 창상감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균형증의 경우 병원 감염증 자체로 인한 치사율이 4.4%로서 모든 병원 감염증중 가장 중증도가 심하여 문제가 된다.
4.MRSA는 일단 병원내로 유입이 된 후 전파경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여러가지의 감염관리 방법이 동원되어야만 비교적 효과적인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치료 또는 관리하기 위한 고가 항균제의 사용으로 의료비용의 소모 및 약제 부작용의 위험성이 많다는 점에서 어떠한 병원 감염균보다 역학적인 중요성이 있다.
5.MRSA의 전파 1.병원내에 존재하는 S.aureus의상당수가 methicillin 내성균주이기 때문에 주로 입원환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장기간의 입원,광범위 항생제의 사용,항생제의 장기투여,중환자실 입원,욕창 및 수술창상이 있을 때 위험성이 높다.
2.이러한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들의 콧구멍,피부,창상 그리고 드물게 항문주위에 균주들이 분포하게 되고 이들과 접촉하게 되는 의료인들이나 환자보호자의 손, 환자주변의 환경등이 오염되어 다른 환자에 전파되고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호흡기 감염의 경우에는 공기 전파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병원감염현황 • 대한임상 미생물학회지 2005 • 2004.4~11. 12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 주요내성양상 • MRSA 67% • VRE(E.facium22% ,E.faecalis1%) • Penicillin 내성 Streptococcus pneumoniae 70%
6.예방및 관리 1.환경소독 2.손씻기 3.Barrier precautions 4.환자의 격리 5.Cohort 간호 6.보균 환자 및 보균 의료인의 관리
병원감시배양 • 감시배양의 비용부담은? • 감시배양에 다방면의 전문가 필요 • 감염관리담당의사,진단검사의학전문의: 계획,해석 • 임상병리사:감시배양과 각종 무균도 조사 • (각종 수술 관련 멸균 품의 무균도 조사 및 약품조제실무균도 검사 ,기능검사실 무균도 검사) • 감염관리간호사:역학조사와 감염관리지침수립적용(의료처치의 감시,원내감염 발생감시 및 교육) • 비용부담:병원의 감염관리 비용으로 처리 되어야 됨
MRSA 감시배양 및 보균자검사 • MRSA감시배양 • 의료진:수일 간격으로2회 실시: 1회 양성은 일시적 오염 2회 모두 양성은 보균자로 간주 • 환자:감염자 및 보균자 조사 • 검체:Nasal swab>sputum>skin • 의료진: Nasal swab, hand • 환자: Nasal swab, oropharyngeal trauma, wound, infected sites
손 위생 • 환자 접촉 전 후에는 소독제제로 오염제거 • 육안적 오염이 있으면 물과 비누washing • 육안적 오염이 없으면 alcohol handrub사용 • 소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소독제 포함 로션 공급을 고려
차단 막의 사용 • 가운-접촉주의의 한가지로 함께 포함 • 장갑- 손의 오염, 감염전파 예방 • Zachary(2001):환경만 접촉한 경우에도 42%오염 -접촉주의의 일원으로 진행 • -장갑과 가운을 함께 착용하는 것이 장갑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적 • 마스크는 HCW의 비강 내 MRSA의 유입을 예방 보균예방 전파예방
접촉격리가 필요한 환자의 방 출입 시 장갑착용 • 환자, 환자의 환경과 접촉이 있는 곳에서는 가운착용 • Active surveillance culture가 아직 심의중인 경우 라면 Universal gloving혹은 universal gowning 을 위험그룹환자에게서 고려할 수 있음 • MRSA, VISA, VRSA환자 방에 출입 시 에는 의료인의 비강 내 흡착을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 사용
7.결론 MRSA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병원감염균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관리방법 의 효율성 및 실제효과에 대한 논란이 많아 어느 한가지 방법만으로는 MRSA를 근절하기 어려우며 일단 토착상태가 되면 근본적인 퇴치는 사실상 어 려워진다.따라서 각 병원의 실정에 맞는 조직적이 고 지속적인 감염관리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방법 을 모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