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6

Linux Installation and Network Setup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실험 - KEEE358. Linux Installation and Network Setup. 2011 년 2 학기 홍기섭. Linux 설치. 설치 환경 VMware Workstation 7.1.0 + Red Hat Linux 9.0(Shrike-i386) 최신 리눅스 버전에서는 BOOTP 패키지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실험 수업에서는 교재에서 권장하는 Red Hat Linux 9.0 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함

krikor
Download Presentation

Linux Installation and Network Setup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실험 - KEEE358 Linux Installationand Network Setup 2011년 2학기 홍기섭

  2. Linux 설치 • 설치 환경 • VMware Workstation 7.1.0 + Red Hat Linux 9.0(Shrike-i386) • 최신 리눅스 버전에서는 BOOTP 패키지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실험 수업에서는 교재에서 권장하는 Red Hat Linux 9.0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함 • VMware를 실행하여 New Virtual Machine 선택 후 Custom(advanced)으로 설치를 진행함

  3. Linux 설치 Virtual machine 의 하드웨어 호환성은 아래와 같이 기본값으로 설정 Red Hat Linux 9.0의 iso 이미지 중 1번 이미지를 선택

  4. Linux 설치 Guest Operating System은 아래와 같이 설정 Virtual Machine의 이름 설정

  5. Linux 설치 • 프로세서의 수는 1개로 설정 •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게 조정해도 상관없으나 본 실험 수업 과정에서는 1개로 해도 충분함 • 가상 RAM 용량은 기본값인 256GB로 설정 • 마찬가지로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게 조정 가능

  6. Linux 설치 • 네트워크 연결방식의 기본값은 NAT로 설정 • 추후 변경가능. 일반적으로 인터넷 연결을 할 때는 NAT 방식을 사용하고 타겟 보드와 통신할 때는 Bridged 방식을 사용함 • I/O controller types은 기본값인 BusLogic을 선택함

  7. Linux 설치 • Disk 선택은 Create a new virtual disk를 선택하고 Virtual disk type은 기본값인 SCSI를 선택함 • 하드 용량은 기본값인 8GB로 설정함 •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게 조정 가능

  8. Linux 설치 Virtual machine setting에서 Customize Hardware를 선택함 Host PC와 타겟보드의 연결을 위해 Add를 눌러 virtual machine에 serial port를 추가함

  9. Linux 설치 • Virtual machine의 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리눅스가 부팅됨 • Enter를 눌러 graphical mode로 들어감 • CD media test 메시지는 skip을 선택하여 넘어감

  10. Linux 설치 • 리눅스 설치화면이 뜨면 사용언어는 한국어로 선택하고, 키보드는 US English로 선택함 • 마우스도 기본값으로 선택하고 진행함

  11. Linux 설치 설치 유형은 개인 데스크탑으로 설정함 드라이브 파티션 설정은 Disk Druid를 통한 수동 파티션으로 설정하고 드라이브를 초기화 함

  12. Linux 설치 • 파티션 종류 • 파티션은 기본 파티션(primary)과 확장 파티션(extended) 두 종류가 있음. 하나의 하드디스크는 최대 기본 파티션 3개와 확장 파티션 1개를 만들 수 있음. 확장 파티션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 기본 파티션을 최대 4개까지 만들 수 있고 확장 파티션은 또다시 논리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으며, 논리 파티션은 최대 12개까지 만들 수 있음 • 하드디스크 장치에 대한 표현 • 하드 디스크 추가 시 다음과 같이 알파벳으로 증가하게 됨 • EIDE HardDisk: /dev/hd(HardDisk 장치표현: /dev/hda(첫번째), /dev/hdb(두번째), /dev/hdc(세번째)) • SATA / SCSI HardDisk: /dev/sd(HardDisk 장치표현: /dev/sda(첫번째), /dev/sdb(두번째), /dev/sdc(세번째)) • 파티션의 표현 • /dev/sda(첫번째 HardDisk)의 기본 파티션의 경우 기본파티션은 순서대로 1-4번까지 지정됨(기본파티션1: /dev/sda1, 기본파티션2: /dev/sda2, 기본파티션3: /dev/sda3, 확장파티션: /dev/sda4) • 확장파티션의 논리 파티션인 경우의 표현 • 논리파티션은 반드시 5번부터 번호가 부여됨. 기본파티션이 2개이고 확장파티션이 1개더라도 5번부터임 (/dev/sda5)

  13. Linux 설치 • 분할된 파티션의 마운트 지점과 역할 • 네이티브 파티션(/)과 스왑 파티션(swap)은 반드시 생성하여야 함 • 일반적으로 스왑파티션은 물리적인 메모리의 2배를 설정함. 단 2GB 이상의 물리적 메모리의 경우에는 물리적 메모리와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그 이하여도 상관없음 • 스왑파티션은 가상 메모리로 사용되는 곳으로 실제 물리적인 램이 부족할 떄 하드 디스크에 설정된 스왑파티션을 물리적인 램처럼 사용하게 됨. 일반적으로 스왑 파티션의 크기를 128MB로 설정하는데 기존의 리눅스에서는 최대 128MB까지만 지원되었으나, 요즘의 리눅스에서는 시스템의 아키텍쳐 구조에 따라서 그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 (루트): 최상위 디렉토리 • /boot: 커널 등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 /home: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계정명과 동일한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가짐 • /usr: 리눅스 초기 설치 때 선택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 /var: 각종 로그파일 및 메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 /tmp: 임시 저장을 위한 디렉토리 • /opt: oracle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디렉토리

  14. Linux 설치 • 파티션 분할의 이점 • 파일시스템 점검 시간을 줄여 부팅 속도 증가 • Fsck 유틸리티에 의하여 파일시스템 점검을 할 수 있는데 하나의 단일 파티션보다는 분할되어 있는 파티션 중 점검해야 하는 파티션만을 선택하여 점검이 가능하므로 부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음 • 파티션에 문제 발생 시 다른 파티션 자료 보호 • 단일 파티션의 경우에는 네이티브 파티션(/)이 손상되거나 응용프로그램 등의 문제로 치명적 손상이 발생할 경우 모든 데이터가 파괴될 수 있음. 만일 각 파티션이 분할되어 있다면 / 파티션이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파티션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은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 자료 백업 용이 • 단일 파티션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해서는 다른 하드 디스크나 다른 곳으로 백업을 해야 함. 하지만 파티션이 분할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른 파티션으로 자료를 백업할 수 있음 • 특정 파티션 읽기 전용 마운트 가능 • 특정 파티션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하여 자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

  15. Linux 설치 새로 생성을 클릭하여 swap 파티션을 생성함. 용량은 일반적으로 물리 메모리의 2배를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512MB로 설정

  16. Linux 설치 • 다시 새로 생성을 클릭하여 리눅스 파티션을 생성함 • 리눅스의 사용 용도(일반, 네임서버, 웹 서버, 메일서버, DB서버 등)에 따라 각 디렉토리(/, /boot, /usr, /tmp, /var 등)의 용량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본 실험 수업 과정에서는 일반 용도의 리눅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운트 위치를 / 디렉토리로 하면 하위 디렉토리 용량이 자동적으로 기본값으로 설정됨 • 파일시스템 유형을 ext3로 하고 마운트 지점은 /, 용량 옵션은 최대 가능한 용량으로 채움을 선택하고 첫번째 파티션으로 지정함

  17. Linux 설치 • 부트로더 설정이나 네트워크 설정은 기본값으로 설정함 • 방화벽은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함 • 방화벽 사용 시 타겟보드 간 통신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18. Linux 설치 언어나 시간은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root 계정암호를 지정함

  19. Linux 설치 • 개발도구 설치를 위해 설치할 패키지 사용자 설정을 선택하고 개발도구에 체크함 • 개발도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GCC와 같은 컴파일러를 나중에 수동으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함

  20. Linux 설치 모두 완료하였으면 설치가 시작됨

  21. Linux 설치 CD를 교체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상단 메뉴에서 VM – Removable Devices – CD/DVD(IDE) – Settings를 선택하거나 하단의 Change Disc를 선택하여 2번째 CD로 교체함

  22. Linux 설치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부팅 디스켓은 생성하지 않고 VGA 와 모니터 설정도 기본값으로 선택함

  23. Linux 설치 •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고 날짜와 시간, 사운드 카드는 기본값으로 선택하여 Red Hat 네트워크에는 시스템을 등록하지 않음으로 선택함 • 리눅스에 로그인은 항상 root 계정으로 함 • User 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제한된 권한으로 인해 개발 시 문제가 발생함

  24. Network Setup • Red Hat Linux 9.0은 2003년도에 배포된 오래된 리눅스이기 때문에 virtual machine에 설치 시 네트워크 설정을 수동으로 해주어야 함 • 최신 리눅스는 별도의 설정 없이도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으나 본 실험 과정에서는 BOOTP 등의 정상적인 실습을 위해 Red Hat Linux 9을 사용함 • VMware의 네트워크 연결방식 • Bridged • Bridged 네트워킹은 마치 호스트 OS가 연결되어 있는 물리적 공유기에 게스트OS를 직접 연결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도록 해주는 방식이다. 아래 그림에서 VMnet0 ~ VMnet8은 VMware에서 제공하는 가상 네트워크 스위치(고속 허브)이다. 이 중 VMnet0는 네트워킹을 위한 전용 스위치이다. Bridged 네트워킹에서는 게스트OS들이 VMnet0와 호스트 내에 있는 Bridged를 거치고 호스트OS의 물리적 NIC(네트워크카드)를 경유해서 인터넷으로 연결됨

  25. Network Setup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NAT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변환기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거나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네트워크 패킷의 IP 주소를 변환해준다. 예를 들어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할 경우, 공유기 내부의 NAT에 의해 ISP에 연결된 공식 IP 주소(예:121,123,207,42)와 192.168.0.100과 같은 내부(비공식) IP 주소를 서로 변환해준다. 공유기에 3대의 PC가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각각의 PC에는 내부 IP 주소가 할당되어 있지만 공유기의 NAT를 거치면서 공식 I P 주소로 변환되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아래 그림에서 VMnet8은 NAT 네트워킹을 위한 전용 스위치이다. NAT(실제로는 호스트OS의 ‘VMware NAT Service’ 서비스)를 통해 호스트 OS가 속해 있는 외부 네트워크와 게스트 OS가 속해 있는 내부 네트워크(VMnet8)가 연결된다. 게스트OS들은 DHCP(실제로는 호스트OS의 ‘VMware DHCP Service’ 서비스)를 통해 동적으로 IP를 할당 받는다. (정적 할당도 가능)

  26. Network Setup • Host-only • Host-only 네트워킹은 말 그대로 호스트OS까지만 통신을 하고, 그 바깥 세상(인터넷 등)과는 통신할 수 없는 방식이다. • 아래 그림에서 VMnet1은 Host-only 네트워킹을 위한 전용 스위치이다. 게스트 OS는 호스트 OS까지만 연결이 되고 호스트 OS의 Physical NIC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터넷 접속 등은 되지 않는다.

  27. Network Setup • VMware + Red Hat Linux 9.0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연결방식을 NAT로 설정함 • 추후 Host PC와 타겟보드 간 통신을 할 때는 Bridged로 변경함 • Edit – Virtual Network Editor를 실행하고 VMnet8을 선택

  28. Network Setup • 원칙적으로는 Host PC와 VMware에 설정된 기본 IP 값을 토대로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타겟보드의 IP를 VMware의 IP와 근접하도록 변경함으로써 타겟보드와 통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추후 NFS 사용 등을 고려하여 편의 상 타겟보드의 기본 IP를 토대로 VMware의 IP를 변경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일반적으로 타겟 보드 IP의 기본값은 192.168.123.xxx이므로 그에 맞게 VMnet8의 Subnet IP를 변경하고 apply를 선택함 • 만약 타겟 보드 IP가 다르더라도 그 IP에 맞게 VMnet8의 Subnet IP를 변경함

  29. Network Setup • VMnet8에서 NAT Setting을 클릭하면 Gateway IP도 함께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 Gateway IP가 리눅스 네트워크에서 Gateway IP와 DNS가 되므로 따로 기록해 놓도록 함 • 보통 192.168.123.2 로 변경됨

  30. Network Setup • 로컬 네트워크 연결을 VMnet8이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함 • 네트워크 연결에서 로컬 영역 상태 창을 열고 속성 – 공유 탭에서 연결 공유 설정을 함

  31. Network Setup 리눅스 네트워크의 IP는 VMware의 DHCP setting에 설정된 startIP address와 end IP address 사이의 IP 중 어떤 IP를사용해도 관계없음

  32. Network Setup 리눅스 네트워크 IP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리눅스 화면으로 들어가 하단의 시작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를 선택하고, 설정 창이 뜨면 eth0를 더블 클릭하거나 편집을 실행함

  33. Network Setup • 이더넷 장치 설정 창이 뜨면 아래 그림과 같이 정적인 IP 주소를 설정함 • 일반적으로 타겟 보드의 IP가 192.168.123.165이기 때문에 리눅스 IP는 타겟 보드 IP 끝자리와 1 정도 차이나게 192.168.123.166으로 설정한다. • Gateway 주소는 앞에서 기록해 놓은 IP를 입력한다 • DNS도 앞에서 기록해 놓은 IP로 입력한다.

  34. Network Setup 연결을 활성화 한 다음 인터넷을 실행시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함

  35. Network Setup BOOTP나 TFTP, NFS 등 타겟보드와 통신할 때는 Bridged로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변경함

  36. VMware Tool 설치 • Red Hat Linux 9.0은 VMware에서 창이 작게 나타나므로 작업하기에 매우 불편함 • 화면 해상도를 맞추기 위해 VMware Tools 를 설치한다 • 위 메뉴에서 VM – Install VMware Tools를 클릭하면 리눅스에 VMware Tools CD가 마운트 된다 • 이 때 기타 다른 CD가 마운트 되어 있지 않아야 함. 만약 다른 CD 이미지가 마운트 되어 있다면 해당 이미지를 마운트 해제한 후 VMware Tools를 클릭함

  37. VMware Tool 설치 • VMware Tools를 설치하기 위해 터미널을 사용해야 하는데 시작메뉴 – 시스템 도구에서 실행할 수 있음 • 터미널은 실험 수업 내내 사용해야 하므로 실행하기 편하게 마우스 우클릭 한 후 패널에 더하기를 선택하여 하단 작업 창에 올린다

  38. VMware Tool 설치 • 터미널을 실행하여 다음 명령어를 실행함 • cd /mnt/cdrom (VMware tools cd 이미지가 마운트 된 경로로 디렉토리 이동) • ls 명령어를 입력하면 /mnt/cdrom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목록을 볼 수 있음 • cp VMwareTools-8.4.2-261024.tar.gz / (압축을 풀기 위해 VMwareTools 압축파일을 최 상단 디렉토리 (/)로복사함) • 리눅스에서는 파일명이나 디렉토리명이 길 경우에 tab 키를 사용하면 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위에서 cp VM까지만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자동으로 파일명이 완성된다. • cd / (최 상단 디렉토리(/)로 이동) • tar xvfz VMwareTools-8.4.2-261024.tar.gz (tar 파일을 압축해제 함) • tar 관련 명령어는 chaper 3. 에서 확인하도록 함

  39. VMware Tool 설치 • 압축이 모두 풀리면 최 상단 디렉토리(/)에 vmware-tools-distrib이란 디렉토리가 새로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vmware-install.pl 파일을 실행한다 • ls (최 상단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 • cd vmware-tools-distrib (vmware-tools-distrib 디렉토리로 이동) • ./vmware-install.pl 파일 실행

  40. VMware Tool 설치 • vmware-install.pl 파일이 실행되면 경로 등 환경 설정에 대한 물음표가 반복해서 출력됨 • [ ] 안은 기본값으로써 enter를 치면 기본값이 입력된다. 아래와 같은 선택창은 모두 enter를 눌러 기본값을 입력시킨다

  41. VMware Tool 설치 • 아래와 같이 gcc 관련 선택 창과 kernel header path 관련 선택 창은 ‘no’로 선택함 • 이후의 선택 창은 모두 엔터를 눌러 기본값을 선택하도록 함 • Red Hat Linux 9.0은 해상도 선택을 자유롭게 할 수 없으니 해상도 선택도 엔터를 눌러 기본값을 선택한다

  42. VMware Tool 설치 재 부팅을 하면 화면 해상도가 높아짐

  43. Red Hat Linux 9.0에서 USB 사용하기 •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Red Hat Linux 9.0은 VMware에 설치 시 USB 메모리가 자동인식 되지 않아 수동으로 마운트 시켜주어야 함 • USB 메모리를 연결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메모리 이름에 체크가 된다. 이 상태에서 disconnect를 클릭하면 VMware와 연결이 해제되고 윈도우와 연결이 되며, 반대로 윈도우와 연결 중이고 Vmware와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connect를 클릭하면 Vmware와 연결이 되면서 윈도우와 연결이 해제된다.

  44. Red Hat Linux 9.0에서 USB 사용하기 • VMware와 USB 메모리가 연결이 된 상태에서 터미널을 실행하여 다음 명령어를 실행함 • fdisk –l (연결된 USB 메모리의 디바이스 명을 확인함) • 아래 그림과 같이 Linux와 swap파티션 외에 FAT32로 포맷된 디바이스가 USB 메모리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ev/sdb1)

  45. Red Hat Linux 9.0에서 USB 사용하기 • 앞에서 확인한 USB 메모리의 디바이스 명을 이용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마운트 시킨다 • cd /mnt (/mnt 디렉토리로 이동) • mkdir usb (/mnt 디렉토리에 USB 메모리를 마운트 시킬 usb 라는 이름의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 mount /dev/sdb1 /mnt/usb (fdisk –l 명령어로 확인한 USB 메모리의 디바이스 명을 이용하여 마운트 한다) • cd usb (usb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ls 명령어를 실행하면 USB 메모리가 마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6. Red Hat Linux 9.0에서 USB 사용하기 • USB 메모리의 사용이 끝나면 반드시 마운트를 해제함 • 마운트를 해제하지 않고 바로 USB 메모리를 해제할 경우 저장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음 •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이용함 • cd ..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함. 예를 들어 /mnt/usb 디렉토리에서 cd.. 을 실행할 경우 /mnt 디렉토리로 이동하게됨. /mnt/usb에서 마운트를 해제 할 경우 디바이스가 busy하다고 하며 해제되지 않는다.) • umount /dev/sdb1 (unmount가 아닌 것에 주의) • 다시 /mnt/usb 디렉토리로 이동하면 USB 메모리가 제대로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