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0 likes | 1.68k Views
동양의 도서관사. - 중국 , 일본 -. 과 목 명 : 도서관사. 지도교수 : 방 준 필. 2003912028 장은영 2003912029 전칠일 2003912030 전희진. 목 차 Ⅰ. 중국 도서관사 1. 중국 도서관 발전과정 (1) 제 1 기 장서형성 및 수집기 (2) 제 2 기 청말부터 1949 공산혁명에 의한 성장기 (3) 제 3 기 1949 년 ~ 1965 년 수난기 (4) 제 4 기 1965 년 ~ 1976 년 문화혁명 년까지 근대도서관 건립기
E N D
동양의 도서관사 • - 중국, 일본- • 과 목 명 : 도서관사 • 지도교수: 방 준 필 2003912028 장은영 2003912029 전칠일 2003912030 전희진
목 차 • Ⅰ. 중국 도서관사 • 1. 중국 도서관 발전과정 • (1) 제1기 장서형성 및 수집기 • (2) 제2기 청말부터 1949 공산혁명에 의한 성장기 • (3) 제3기 1949년 ~ 1965년 수난기 • (4) 제4기 1965년 ~ 1976년 문화혁명 년까지 근대도서관 건립기 • (5) 제5기 1977년 이후 도서관 발전기 • 2. 중국의 북경 도서관 • Ⅱ. 일본 도서관사 • 1. 일본의 도서관 발전과정 • (1) 고대 • (2) 중세 • (3) 근세 • (4) 현대 • 2. 일본의 도서관 (일본 국회 도서관, 관서관, 국제 어린이 도서관)
제 1 기 : 장서 형성 및 수집기 B.C. 3000년 중국도서관의 연원을 이 무렵으로 봄. 복희씨(伏羲氏)가 8괘를 만듬. 『河圖洛書』가 夏의 우왕때의 그림과 문자라는 점 殷墟에서 商대의 갑골문자가 발굴됨 周나라 도서관 성격을 띤 기관이 많아짐. 大史, 小史, 內史, 外史 및 御史의 五史들이 장서를 분담. 문헌을 정리,편목 “ 達西名干四方”이란 書目通報도 있었다.
춘추전국시대(B.C. 770-476) • 공자는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는 문헌들을 수집, 정리, 편목하여 6經을 만들어 제자들을 가르쳤다. • 역경의 ‘序卦’는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고서목 중 가장 오래된 목록의 하나. 前漢대(B.C. 206-220) • 현대적 개념의 도서관이 이루어짐. • 채륜에 의한 종이의 발명 -서사 재료에 대한 일대 혁명으로 기록문화를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서 지식의 전달과 보관에 전기마련. • 천록각(天祿閣) 과 석량각(石粱閣)은 서한정부의 문서와 도서를 수장. • 진나라의 승상부(丞相府)의 문헌, 문서등을 수집, 보관하기 시작. • 기원전 191년에는 백성들에게 장서의 소유를 금지했던 진나라 때 법 해제.
漢成帝 때에 적극적으로 서적을 정리하여 책의 저장방법을 정하고 책을 쓰는 관리를 두고 제자백가들의 전해오는 이야기와 병서, 의약서, 수학등을 정리하여 진나라 때 사라진 책들을 정리 분류-596명이 책을 정리하여 썼으며 그 수는 13,269권에 이룸 • 司馬遷은 역사의 명저 ‘사기’를 씀. • 劉歆은 서적을 정리하여 ‘敘錄’과 ‘別錄’을 완성. • 劉欽은 七略을 완성. • 7분법에 의한 七略은 동양 최고의 목록으로 종합성 系統目錄이다. • 唐대(618-907) • 목판인쇄 발명. • 도서업무 관장처도 늘어나 도서 및 도서관 문화가 크게 발전. • 대표적인 장서처는 秘書省으로 이외에도 弘文館, 集賢殿書院, 崇文館을 설치. • 7분법과 經史子集의 4분법으로 도서를 정리.
宋朝(960-1127) • 중앙의 國子監本에서 부터 지방관각본, 浙, 獨 등의 私家本 또는 坊刻本에 이르기까지 양적인 면에서도 모범. • 송대의 秘書성은 주요 경적, 국사실록, 天文曆數의 일과 주요 도서를 맡음. • 그외에도 龍圖閣, 天章閣, 寶文閣, 顯謨閣, 寶章閣, 顯文閣, 秘閣등에 도서 수장. • 도서목록으로는 ‘崇文總目’과 12분법의 鄭集 의 ‘통지’가 있다. • 元나라(1277-1367) • 도서관 업무는 秘書監에서 관장. • 평양에 經籍所를 연경에는 編修所를 세워 四書를 찍어내는 등 송의 문화를 착실히 전승.
明나라(1368-1662) • 太祖는 元대의 잔존 서적을 접수하고 민간의 장서를 수집한 후 원대의 秘書監 제도를 계승하여 국가장서를 관장하게 함. • 성조는 서적수집활동을 전개 - 북경으로 천도한 후 문연각을 지어 수장. • 문연각은 전문장서기구였을 뿐 아니라 학술연구기관이였다. • 정통 14년 남경 궁전의 화재로 宋, 元 이래의 비장본이 소실. • 弘文館은 明대의 또 하나의 장서기구. 5-6명의 학사를 두고, 藏書와 강학을 담당한 학사원. • 敎育文庫로는 국자감, 부주현의 지방학교는 생원에게 열람. - 문고 내에 열람은 가능했으나 대출은 불가능.
凊(1616-1911) • 한족에 대한 회유, 흡수책을 위한 문화정책으로 ‘康熙字典’의 편찬 및 四庫全書의 대사업을 이룩. • 동 시기의 수집도서 3460종 7만 9천여 책과 기존의 6700여종 9만 3천여 책을 수록한 ‘四庫全書總目’은 중국의 도서목록과 도서관 사업을 총결산하 는 위대한 업적. • 전문적인 국가장서기구를 설립하지 않고, 국가장서의 관리는 문연각에서 수행 • 수집활동은 활발. 그러나 수집된 서적은 가치가 별로 없는 당시대인의 경전해설서가 대종이었다. • 건률 39년 각지에서 헌납된 도서는 심사를 거쳐 禁毁시킬 書籍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부본을 제작, 어떤 것은 간행.
교육문고는 國子監가 書院의 文庫를 들 수 있다. • 국자감은 최고학부의 교육기관으로 유학생들의 강학을 위해 장서를 함. • 청의 순치제는 書院을 건립하여 교육을 장려. • 옹정 이후 청조 통치를 공고히 하고 문화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書院政策은 적극적인 지원으로 바뀜. • 藏書量을 확충하기 위해 서원에서는 사람을 강남에 파견해서 서적을 구입, 기증을 받음. • 일부서원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서적을 刊行해서 서원경비로 충당. • 書院藏書는 전적의 보존과 유통에 큰 역할을 함. • 1840년 이후 아편전쟁으로 전통적인 藏書 파괴. • 태평천국의 난으로 文宗閣 장서는 해를 입음. • 많은 장서가의 전적은 유출되거나 散失됨. • 1904년 호남과 호북에 최초로 省立公共圖書館이 설립.
이후 각성에 공공도서관이 설립되어 근대도서관의 기초가 놓임. • 신해혁명의 승리는 근대도서관이 신속하게 발전 될 수 있는 계기가 됨. • 도서관의 설립과 함께 西洋의 도서관 경영기법을 도입하고, 볍령을 제 정, 교육도 실시 • 도서관협회도 창설하여 세계 도서관 발전의 큰 흐름에 편입.
제 2기 : 凊末부터 1949년까지 近代圖書館 建立期 • 京師圖書館이 1912년 北京에서 개관. • 당시 魯迅이 교육부에 근무하면서도 도서관설립에 많은 관여. • 1912년에는 北平의 北海圖書館과 합병하여 명칭을 國立北平 • 圖書館이라 칭함. 현재의 北京圖書館의 전신. • 毛澤東은 1919년 “공공도서관”설립문제 제기 하고 진보적 • 성향을 가진 청년들을 결속하기 위해 靑年圖書館을 설치. • 1933년 전국대학도서관 평균 장서 4만책, 20만 이상 장서를 갖춘 도서관으로 연경대학, 청화대학, 손일선대학, 북경대학도서관이 있었고, 국립북평도서관의 장서는 70만에 이르렀다. • 도서관업무 면에서도 분류, 편목, 서목 방면의 성과로 듀이십진분류법을 • 근간으로 하여 王云五의 ‘중외도서통일분류버’, 유국균의 ‘중국도서관분류 • 법이 작성.
도서관학 교육은 私立武昌文華圖書館 專科學校에서 정규교육이 이루어 짐. • 도서관학 연구도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이시기에 발표한 도서관학 관련 논문이 5,300여편이나 됨. • 1925년 중국도서관협회가 성립 • 1927년에는 국제도서관협회발기국 중의 하나로 제 1차회의에 참가하는 등 국내는 물론 국외에까지 비교적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 1937년 中, 日戰爭으로 도서관은 크게 퇴조하여 1939년 중국도서관협회의 통계에 의하면 2500개의 도서관이 폐쇄되어 1949년 이전까지 도서관은 292개에 불과하였다.
제 3기 : 1949년 – 1965년 공산혁명에 의한 成長期 • 중화인민공화국은 정부 수립후 각종 도서관을 완전히 폐쇄하여 사회주의체제로의 변화를 위한 개편을 단행. • 당시 292개 도서관의 圖書와 장서에 대한 점검과 등록을 진행하여 사회주의 이상 실현에 반하는 자료를 색출하는 등 구도서관을 정돈. • 중국공산당은 도서관을 유형별로 나누어 관리하고, 사립도서관은 정리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文化部門에 귀속시킴. • 도서관학 五規敎育은 武昌文華圖書館學專科學校와 北京大學, 西南師範學校, 圖書館學專修科가 있어서 전문인력 양성. • 장서정책은 마르크스, 레닌 저작과 革命書刊 개발에 노력하고 소련과 소방구 출판물 수집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음란서적등미풍양속을 해치는 구장서에 대한 심사와 정리를단행.
정부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관심은 도서관 수의 증가수치로 짐작할 수 있다. • 1949년 55개관, 1950년 63개관, 1951년 66개관, 1952년 83개관, 1957년 400개관으로 괄목할 성장을 보임. • 도서관 기초업무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도서분류법을 개편하여 신분류법을 편찬 • 善本圖書와 지방 문헌에 대한 수집을 강화. • 소수민족을 다스리기 위해 少數民族地區도서관을 건립 • 소수민족언어 도서와 민족문헌을 소장하고 소수 민족의 특징에 적합한 도서관 활동 전개
1956년과 1958년 사이에 도서관은 제1차 농업경제개발계획에 따라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연구자와 일반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데 역점을 두었고, 1956년 말까지 농촌에 18만 여개 이상의 농촌 도서실이 설치 됨. • 1957년 9월에는 國務院全體會議 제 57차 회의에서 ‘全國圖書協調方案’이라는 도서관망 구축을 위한 계획이 통과. • 1961년에는 시설이 열악한 縣圖書館과 縣文化館 합병을 단행하여 1960년 1,093개였던 공공도서관을 490개로 대폭 축소 조정하고, 또한 각 도서관에 맞는 장서의 정돈, 목록의 정리, 규정의 정비 등을 통하여 도서관 기초 업무를 강화하여 종합록록 300여종이 편찬.
1963년 – 1964년 2년간 과학기술문헌정리를 진행하여 과학기술인원의 이용에 제공하고, 또한 ‘全黨大辯農業’ 정책으로 농업관련자료목록과 參 考書誌, 索引 등을 編制하여 농업수요자에 제공. • 도서관 사업은 정돈과 조정을 거쳐서 정상적 궤도에 올라 발전을 계속하였다. • 1964년 이후 도서관 업무는 기초 업무 부문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외국 도서의 共同收書, 書目編制, 자료의 相互貸出, 도서관 간부의 훈련등에서 큰 성과를 거둠.
제 4기 1965년 – 1976년 文化革命 受難期 • 1966년 5월에 시작된 文化革命 10년은 중국의 교육, 문화, 정치, 생산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도서관 분야도 암흑기를 맞음. • 도서관망 구축 사업도 초기에 중단, 공공도서관의 3분 1이 폐관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 대학도서관이나 소년아동도서관도 폐쇄되거나 감축되어 공공도서관에 흡수. • 도서관 직원은 知識人으로 간주되어 비판을 받고 농촌에 배치되어 5년 또는 그 이상을 생산 노동에 종사해야 했다. • 장서는 봉건주의, 자본주의, 수정주의의 산물로 취급되어 이용을 금지시키거나 소각. 이 시기의 도서관 수난은 破四舊 즉 破舊文化, 破舊思想, 破 舊傳統, 破舊慣習으로 인하여 秦始皇의 焚書坑儒를 방불케 하였다.
수많은 책이 소실되었으며, 도서관은 정치 선전활동만을 위한 전시회를 갖고 공산혁명자료 수집에 중점을 둠. • 1971년에 이르러 당시 총리 周恩來는 도서관을 마르크스, 레닌주의, 모택동사상의 선전 임무와 3대 혁명운동에 대한 봉사를 수행하는 곳으로 규정한 이후, 도서관의 기능이 점차적으로 회복되었으며, 북경대학과 무한대학의 도서관학과에서도 학생을 다시 모집. • 주은래 총리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은 한때 도서관인을 고무시켰으나, 문화혁명기간은 도서관학 발전을 위한 귀중하고 가치 있는 10년을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제 5기 : 1977년 以後 圖書館 發展期 • 1976년 10월 四人幇 분쇄후 국가의 4대 현대화 계획에 의하여 국가의 과학기술, 국방, 농업, 산업 부문의 자료를 증대시켜 과학연구와 폭넓은 인민 대중에 봉사하기 위하여 도서관망 사업을 추진하였다. • 1978년 ‘연간도서개방문제적청시보고’를 발표하여 도서관리, 자료의 이용한계, 장기금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도서관 직원의 사상확대와 파괴된 도서관 업무 회복을 지시하는 등 도서관 건설을 위해 정부는 정책과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 1980년 이후 여러 차례 도서관행정 규정을 제정하였고 1987년에는 ‘문화사업단위개전유상복무경영활동적참변법’을 시달하여 도서관 유상업무의 근거를 마련. • 도서관 사업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80년대 중반의 도서관 사업을 총체적으로 볼때는 기반이 약하고 발전의 불균형이 심하며, 개혁 개방의 형세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실이었다.
1987년에는 전국 문헌자원의 합리적 배치와 이용에 관한 연구, 전국도서관계, 정보계와의 데이터베이스 협력망 건설과 협조, 외국 도서에 대한 공동수서, 도서관간 상호대차방안 확정과 컴퓨터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의 실현을 위하여 예산을 증액하고 도서관 현대화를 목표로 북경도서관을 완공하였다. • 1966년 8월에는 北京 IFLA대회를 유치 개최하였으며, 21세기를 목표로 중국의 현대화 계획에 따라 국제적인 자원과 기술을 도입하여 도서관 자동화와 도서관망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북 경 도 서 관 • 1909년 4월 24일 경사도서관이라는 명칭으로 세워짐. • 1928년 7월 “북평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개칭.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수립 후, 북평도서관은 북경도서관이라고 개칭, 중국의 유일한 국가도서관이 됨. • 1975년 3월 주은래의 제의에 의해 북경도서관의 건축신축계획이 수립되어 1987년 7월 새로운 도서관건물이 준공, 10월 15일 일반인에게 개방. • 당시 사회교육사업에 노력하였던 노신, 양계초등의 학술계 저명인사들이 도서관의 건립과 운영에 참여.
외관은 청기와로 된 동양식 지붕에 서양식 빌딩을 접합한 건물이며, 건물이며, 건물면적은 14만㎡이고, 소장능력은 2,000만 책이며, 30개의 열람실이 있는데 3,000개의 열람석이 있어서 1일 평균 7,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다. • 장서 • 1987년 현재 13,778,000권 • 단행본이 6,41,741권, 비도서자료가 933,561건 • 직원수 • 1,625명, 그 가운데 전문사서는 1,132명 • 기능 • 중국에서 출판되는 모든 자료의 납본을 받는 기능을 함. • 중국에서 출판된새로운 자료와 고서의 선정과 구입하는 기능 수행. • 다른 기관과 개인으로부터 자료의 기증을 받거나 배포하는 기능 • 외국 출판물의 선정과 주문하는 기능.
출판물을 국제적으로 교환하는 기능. • 출판물의 복제 및 마이크로화등의 기능. • 국제교류 • 북경도서관의 국제협력은 114개국 1,694개 기관과 단행본 및 정기간행물의 교환을 하고 있다. • 서지발간 • 매년 70여종의 서지자료를 발간 • 문헌정보에 해당하는 ‘문헌’ • 중국국가도서관의 잡지에 해당하는 ‘북경도서관통신’ • 중국국가 서지에 해당하는 ‘중국국가서목’ • 외국도서목록에 해당하는 ‘외문신서통보’
일본 도서관사 • 일본도 중국의 한자문화와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들의 고유문자를 개발하였다. • 도서관의 형태에 있어서도 현재의 국립국회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기본이 되는 궁정문고, 사원문고, 무가문고 등 독특한 형태를 출현시킴. •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구의 새로운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이론과 실천면에서 새롭게 발전단계를 맞고 있음.
1. 고대 • 문자가 없었던 시기로 서기 216년 백제의 왕인박사에 의해 천자문 전달 –귀족의 자제들을 가리쳤고, 일본의 문화는 여기에서 시작 • 552년에 불교가 전래되어 많은 경전 등 종교자료가 들어옴 - 성덕태자는 607년에 법륭사에 학문소 설치 • 법륭사는 일종의 교육기관 성격을 가지고 있고 자료의 보존소. • 궁정문고 - 700년 문무왕이 율령을 제정, 圖書寮가 규정됨. 이는 자료에 중점을 둔기구로서 자료의 축적도 관장하였음. 정부에는 문전을 설치하여 기록, 문서, 행정자료를 축적하고, 행정, 사법, 입법의 참고자료를 이용
1. 고대 • 741년에는 전국에 국분사, 국분니사를 건립하게 하여 사찰마다 경전을 비치하고 승려들을 교육 • 불교의 흥성에 따라 많은 승도를 교육 • 이에 필요한 자료를 위해 경장을 설립하고 축적과 서사에 의한 생산과 교육을 이용하기 위해 사원문고가 설립 • 石上宅嗣는 예정을 건립하고, 많은 자료공개 • 일본의 국학이었던 大寶律令은 공무원 양성을 위한 대학수준의 교육기관 • 많은 자료를 필요로 함으로써 이것이 문고를 이룸 • 이 문고는 지금의 학교도서관과 같은 기능.
2. 중세 • 중국에서 신흥종교인 선종이 전승 • 많은 중국의 자료와 문화재가 수입 • 京都의 五山寺, 重鎌倉의 五山寺등에는 자료가 축척되어 당시의 문화센터 기능을 발휘. • 武家의 문고로 名越문고, 金澤문고, 足利문고가 있었음 • 특히 금택문고는 잘 보존되어 현재도 존속.
2. 중세 • 金澤文庫 - 壬辰倭亂 당시 한국으로부터 약탈해간 書籍이며 佛書등 귀중한 韓國 古代 資料를 관장하고 있는 도서관이며 文庫들은 일본 각지에 산재 • 아카와, 카네자와, 호우자, 킨도우, 카와이, 후지미테이, 진쇼문고 등에는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高麗史節要’등등 수많은 古代 韓國 刊本이 보관되어 오고 있다. • 호우자 문고 • 名古屋에 있으며 서기 1400년 경부터 간행된 朝鮮古刊本이 많기로 유명
2. 중세 • 진쇼(眞書)文庫 - 米澤市에 있으며 역시 朝鮮刊行本이 많다. • 카와이文庫 • 京 都 大學 부속도서관에 2,000권 이상의 朝鮮古文獻을 소장 • 이들 도서 중에는 善隣外交관계로 조선통신사 등이 가져간 것도 있으며 壬辰倭亂 이외에 일제치하에 불법 반출된 도서도 다수 포함되고 있다. • 후기에 무사계급이 정치권력을 장악하여 정신적 물질적으로 여유가 생기며 무가문고의 설립이 유행하였지만, 전국시대에 자료가 소실되며 차츰 쇠퇴.
3. 근세 • 德川家康이 천하를 통일한 후 학문을 장려하여 민심을 얻고자 문교정책을 추진 • 문헌자료에 대하여는 보호정책으로 고서탐색과 출판을 하게 함. • 江戶時代에는 부사견정문고를 설치하고, 駿河 문고를 설치함. • 內閣文庫로 되었다가 宮內廳문고로 바뀜. • 德川家康의 아들들도 준하문고의 이양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새로운 문고를 설치하고, 이를 확충하여 참고자료로 해서 ‘大日本史 ’를 편집하게 됨.
3. 근세 • 봉건영주도 천하가 태평하여짐에 따라 문고진흥에 노력, 문고설치 • 京都의 동산문고와 柱宮문고 • 왕궁문고로서 귀중한 문화재적 고전을 축적. • 陽明문고 • 귀족문고로서 궁중에 관한 기록, 문서, 황실의 공사, 행사관계자료와 행정자료를 많이 축적,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고전을 보전. • 민간의 많은 학자나 서지연구소도 개인문고를 설립, 자료의 수집, 축적에 노력, 문하생에게 공개하고 일반의 同好者와 연구자에게 공개
3. 근세 • 학교도서관으로서는 德川政府의 교육기관이었던 昌平校를 설립. • 동시에 문고를 설립하여 교육진흥의 기원이 되어 각 봉건영주는 누구나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문고도 설립. • 이런 교육기관을 䕰校라고 했으며 그 문고가 학교도서관. • 신직(神職)양성기관이 설립. • 불교측에서도 승려 교육기관이 대규모로 설립 • 모든 교육기관에는 문고가 부설됨
3. 근세 • 공공도서관의 원형인 민간독서실이 말기에 출현 • 천초문고, 광구문고, 유청관문고등이 여기에 해당 • 봉건제도하에서는 민중자신의 好學心이 적고 사회적 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도서관은 발전하기 못함. • 明治시대에 이르러 공공도서관이 설립됨으로써 점차 발전하게 됨.
4. 현대 • 명치시대에 福澤諭吉이 ‘西洋事情 ’이라는 저서 가운데 구미 도서관사정을 소개 • 田中不二가 ‘미국 백년기 박람회 보고’를 출판하여 구미의 도서관 사정을 소개. - 일본의 도서관 설치 운동의 근본적인 이념이 됨. • 명치 29년(1896)에 外出正一이 제국도서관의 설립을 건의 • 1897년 제국도서관제가 공포. • 일본의 대학에는 모두 도서관이 설치 • 지방에는 공공도서관 설치를 위한 법적인 근거가 확립.
4. 현대 • 국립도서관은 명치 5년(1872)에 德川家의 홍엽산문고와 창평교의 문고 중심으로 도서관이 개관. • 소관관청과 장소가 여러 번 변하여 ‘동경서적관’이라 개칭. • 명치13년(1880)에 문부성에 다시 이관되어 ‘동경도서관’이라 개칭 • 여기에서 비로서 서적관이란 이름이 도서관이란 명칭으로 변함 • 명치 39년 하야공원내에 신축 도서관이 낙성 개관되어 현재에 이름.
4. 현대 • 대학도서관 - 명치 2년(1869)에 창평교를 동경대학교로 개칭하여 정부에 이관하는 동시에 도서관도 부설. - 이어 각 대학, 전문학교, 사범학교 등 전문학교 이상의 모든 교육기관에서 도서관이 설립. • 공공도서관 - 명치5년(1872) 군마현 안중정에 便覽社를 설립한 것이 출발점. - 1873년 금택에 叢書堂이 설립되고, 녹아현에 서적관이 설립. - 1874년 서적적종람소와 서적신문종람소가 설치 - 1876년 대판부에 두개의 서적관을 설립, 공개.
4. 현대 • 공공도서관운동의 발달과정 • 田中不二磨呂의 구미도서관시찰보고서인 理事工程은 도서관과 국민교육과의 관계를 강조, 국민교육상에 도서관을 깊이 인식. • 田中不二磨呂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확실한 인식에 의해 기초를 다지게 됨 • 국민의 뜻에 봉사하는 도서관운동으로 전개 될 수 있었다. • 明治정부가 주권에 기초를 두고 위로부터의 계명정책을 시행. • 지배자가 체제유지를 위해 민중을 교화하는 시설로서 위로부터 도서관을 내려주는 형을 택함. • 민중의 요구로서 밑으로부터 도서관을 만들어 감. • 이 두 가지 도서관상의 흐름이 뒤엉퀴어 발전해 감.
4. 현대 • 明治中期이후에 정부의 변질된 도서관정책의 영향으로 도서관 운동의 형태가 바뀌어 등장. • 때로는 강하게, 때로는 약하게 나타나기도 했으며, 공공도서 관상의 모습이 사라지기도 함. • 明治期의 공공도서관운동이 폭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었던 요인 • 간접적으로 구미의 영향을 받음. • 직접적으로 자기나라 문자인 ‘假名’을 에도시대 초기에 이미 假名을 읽을수 있는 識字人䔞이 전인구의 반을 점하고 있었음.
4. 현대 • 공공도서관의 태동은 新聞縱覽所, 集書院으로 나타남. • 신문종람소는 명치기 공공도서관의 전주곡이라 볼 수 있음. • 집서원은 문부성서적관과 나란히 일본의 최초의 공공도서관의 영예를 가졌으나 단명. • 명치중기는 교육회에 의한 도서관 설립이 본류를 이룸. • 都道府縣圖書館 전체의 3분의 2를, 시정촌립도서관의 반수 차지.
4. 현대 • 교육회는 공공도서관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줌 • 공공도서관의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사회적으로 문명개화가 요구, 민중에 대해서 학문이 해방 • 도서관설치 기운이 조장. • 대정천왕 즉위를 기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간이도서관 설치를 장려 • 1922년 공사립 합해서 2,389개관 • 그러나 재정난, 전문직원 부족 및 인중의 도서관생활 부진으로 인하여 점차 쇠퇴. • 1933년에 지방에 중앙도서관제가 공포.
일본 국회 도서관(National Diet Labrary) • NDL(National Diet Labrary) • 국회도서관법에 의해 1948년 동경에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가 도서관 • 목적 • 서고 부족 해결과 도서관 서비스 향상 및 새로운 컴퓨터 기술의 도입 등을 목적으로 개관 • 기존 업무 외에 국가 전자도서관의 역할을 수행 • 일본 내에서 간행된 출판물의 수집 및 보존에 노력 • 수집한 출판물들을 전자적 형태로 서지 정보 구축 • 원문 제공 서비스 확장
일본 국회 도서관(National Diet Labrary) • 활동 • 일본 전자 출판협회(JEPA : Japan Electronic Publication Association)와 함께CD-ROM포함한 백과사전류의 데이터와 서지정보를 출판 • 정보기술진흥협회(Information-technology Promotor Agency) 와 함께 시범 전자 도서관 프로젝트(Pilot Electronic Library) 진행 : 전반적인 디지털 도서관의 구축을 지원 • 일본정기간행물 색인과 같은 서지레코드를 OCR로 인식하게 하는 계획을 추진 중
관서관 (Kansaikan) • 목적 • 관서관은 NDL 본부와 함께 기존도서관 업무 수행 • 국가 전자도서관의 역할을 수행 • 정보화 사회의 중심역할 수행 • 자료급증에 따른 서고부족 및 도서관 서비스 향상 • 컴퓨터에 의한 신기술 도입을 목적 • 면적: 82,500㎡ • 예산: 약 3,342억원
관서관 (Kansaikan) • 설립취지 • 1980년대 초 국회도서관에서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계획을 진행 • 문헌 및 정보제공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 • 아시아정보센터의 역할을 수행 •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일본의 각종 도서관 협동의 중심역할을 수행
국제 어린이 도서관(International Library of Children's Literature) • 1995년 계획, 착수하여 2000년 제1기 개관 • 일본 최초의 국립 아동 도서관 • 추진사업내용 • 국립 국회도서관이 소장한 아동서 서지DB(약 13만 책)정비 • 저작권문제를 고려해 1950년 이전 수집한 국립 국회 도서관 아동서 8,300권의 본문을 화상 전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