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 likes | 1.81k Views
제 9 장 게임이론과 전략적 행동. 게임이론 ( Game Theory ). 게임의 기본 요소 경기자 ( player ) 전략 ( strategy ): 경기자별 선택 가능한 행동 선택 가능한 전략 조합으로부터 경기자들이 얻는 보수 ( payoff ) 우월전략 ( dominant strategy ) : 다른 경기자들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지 상관없이 , 경기자에게 자신의 다른 전략과 비교하여 항상 더 큰 보수를 주는 전략
E N D
게임이론(Game Theory) • 게임의 기본 요소 • 경기자(player) • 전략(strategy):경기자별 선택 가능한 행동 • 선택 가능한 전략 조합으로부터 경기자들이 얻는 보수(payoff) • 우월전략(dominant strategy): 다른 경기자들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지 상관없이, 경기자에게 자신의 다른 전략과 비교하여 항상 더 큰 보수를 주는 전략 • 열등전략(dominated strategy):우월전략이 있을 경우, 나머지 전략들
게임이론의 예 : • 경기자: 아시아나 항공, 대한항공(제주노선) • 선택 가능 전략: 광고비를 올릴 것인가 말 것인가 • 가정 • 선택 가능한 전략 조합으로부터 얻는 보수는 모든 경기자가 다 알고 있음(공통 지식)
보수행렬(Payoff Matrix) 광고지출을 증대시키는 것이 우월전략임. 대한항공 : 아시아나가 광고비 지출증대 광고비지출증대 아시아나가 현상유지 광고비지출증대 아시아나 : 대한항공이 광고비 지출증대 광고비지출증대 대한항공이 현상유지 광고비지출증대 하지만 둘 다 현상유지하는 것보다 나쁜 결과가 나옴.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 게임 참여자들이 상대방의 전략을 주어진 것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하여 최선의 전략을 선택하여 형성된 균형 상태 • 모든 경기자들이 우월전략을 갖는 경우 • : 우월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내쉬균형임 • 우월전략이 없어도 내쉬균형은 존재할 수 있음
보수행렬(Payoff Matrix) • 아시아나 항공은 우월전략이 없음. • 대한항공 : 광고비지출 증대 아시아나 : 현상유지 • 대한항공 : 현상유지 아시아나 : 광고비지출 증대 • 그러나 광고비지출 증대가 대한항공의 우월전략임. • 아시아나 : 광고비지출증대 대한항공 : 광고비지출증대 • 아시아나 : 현상유지 대한항공 : 광고비지출증대 • 대한항공이 광고비 지출증대를 인식하고 아시아나가 현상유지를 선택함 내쉬균형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게임 각 경기자들이 우월전략을 가지고 있으나 모든 경기자가 우월전략을 선택할 때 얻는 보수가 열등전략을 선택할 때 얻는 보수보다 낮은 게임 우월전략 보수측면에서 더 나은 전략조합 •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자백이 우월전략임. • 그러나 둘 다 묵비권을 행사할 때 더 큰 보수를 얻음
Cartel : 경제적 이윤을 얻기 위해 산출량을 제한하고자 하는 기업들 간의 제휴 과점적 위치에 있는 몇 개의 기업이 모여 독점적 지위를 확보 하나의 독점기업과 같이 산출량을 결정하고, 이를 각 기업에 배분 (독점기업의 공장이 여러 개 있는 경우와 같음) 그러나 Cartel은 깨지기 쉽다. • 모두에게 이로운 결과가 있음을 알면서도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를 • 초래하는 현실의 사례가 대부분 죄수의딜레마에 해당한다. • 예: 군비경쟁, 파업, 과당경쟁, 과외열병, 공유자원의 남용
Cartel형성할 때의 산업전체의 생산량 = 가격= 1기업의 생산량 = 가격 = 이윤 = 만약 1기업의 생산량 증대( 으로)[단순화하기 위해 가격은 그대로] 1기업의 이윤 = 따라서 Cartel은 깨지기 쉽다.
교재의 예(철수와 영희가 생수 생산): MC = 0을 가정 철수와 영희가 cartel을 형성 : MR = MC에서 생산(1,000병) 가격 = $1.00 철수 = 500병, 영희 = 500병 이윤 : 철수 = 영희 = $500 철수가 가격 $0.90로 낮추었다고 하자 철수 :1,100병 판매, 이윤 = $990 영희 : 0병, 이윤 = $0 영희도 가격을 $0.90로 낮추었다고 하자. 철수 : 판매량 = 550병, 이윤 = $495 영희 : 판매량 = 550병, 이윤 = $495 철수와 영희 모두 $5씩 손해
철수의 우월적 전략 = $0.90 철수 : 영희의 가격 = $1.00 철수의 가격 = $0.90 영희의 가격 = $0.90 철수의 가격 = $0.90 영희 : 철수의 가격 = $1.00 영희의 가격 = $0.90 철수의 가격 = $0.90 영희의 가격 = $0.90 영희의 우월적 전략 = $0.90 각 기업은 가격을 조금만 낮추면 이득이 되기 때문에 가격을 낮출 것이고 경쟁기업도 동일하게 가격을 낮추게 된다. 가격 = MC가 될 때까지 낮아지게 된다.
; Cartel 이 역사적으로 왜 불안정한가를 설명해 주는 예이다. 게임을 한 번만 한다면 이탈자를 처벌하기 어렵지만 게임을 반복하고, 이탈자를 보복을(맞대응 전략) 할 수 있다면 성공 가능. 게임을 반복하고, 경기자들이 미래의 모든 이윤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고, 미래의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크다면 성공가능 하지만 이 경우에도 경기자가 두 명만 있어야 함. 반복적인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먼저 첫 게임에서 협조를 선택하고, 그 이후에는 바로 이전 게임에서 상대방의 선택과 동일하게 선택하는 전략
담배회사들이 직면한 광고의 딜레마가 법적으로 해결되었다. 1971년 1월 1일부터 담배회사는 법으로 TV광고를 할 수 없음. 회사별로 광고비가 약 6천 만 달러 줄었음. TV 광고금지법 제정으로 기업들은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벋어남
두 회사 모두 우월적 전략 : 광고를 함 그러나 모두 광고를 하지 않을 때에 비해 손해를 보게 된다. 이를 법적으로 광고를 금지시키면서 담배회사들이 스스로 할 수 없는 것을 달성
왜 사람들은 파티에서 목소리를 높이는가 ? • 파티 초반에는 사람들이 평상시의 목소리로 대화함 • 그러나 파티 참석자들이 늘어나면서 잘 들리지 않음 • 개인 입장에서는 목소리를 높일 유인을 가짐. • 즉,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우월전략임. • 그러나 모든 사람이 목소리를 높이면 목만 아픔. • 모든 사람들이 평상시의 목소리로 대화하는 것이 더 나음 • 개인적 현명함 그러나 사회적 어리석음의 한 예
순서가 중요한 게임 한 경기자가 먼저 선택을 하고, 두 번째 경기자가 그 다음으로 선택을 할 경우, 먼저 선택한 경기자의 선택에 따라서 두 번째 경기자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음
현대와 BMW의 하이브리드 차 생산여부 현대와 BMW모두 우월적 전략을 갖지 않는다. 어느 한 기업이 먼저 선택하고 다른 기업이 이를 보고 의사결정을 하면 ?
현대가 먼저 결정하는 경우 BMW: $6,000만 현대: $6,000만 D 생산 생산 B A 생산하지 않음 BMW: $7,000만 현대: $8,000만 생산하지 않음 E F BMW:$8,000만 현대:$7,000만 생산 C BMW가 결정 최종결정 현대가 결정함 생산하지 않음 BMW: $5,000만 현대: $5,000만 G 현대는 하이브리카를 생산, 이를 보고BMW는 하이브리카를 생산하지 않게 된다.
현대는 하이브리카를 생산, 이를 보고BMW는 하이브리카를 생산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BMW입장에서는 [BMW가 생산+현대가 생산 하지 않을 때] 가장 이득 만약 후발주자인 BMW가 위협을 한다고 하자. 즉 현대가 하이브리드카를 생산하건 하지 않건 간에 BMW는 생산할 것이다. 그러나 현대가 하이브리드카를 생산한다면 후발주자인 BMW는 생산하지 않을 것임을 알기 때문에 신빙성 있는 위협이라고 할 수 없다. 신빙성이 있는 위협(credible threat) ; 실행시점에서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이익이 되는 위협
신빙성 있는 약속(credible promise): 실행 시점이 다가왔을 때,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약속을 한 사람의 이익에 부합하는 약속 다음의 예는 신빙성 있는 약속이 되는가 ? 철수 ; 서울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데, 부산에 점포를 개설하고자 한다. 부산 상점에서의 새로운 매니저 : 정직하게 운영한다면 개설 정직하지 않게 운영하면 손해를 보아 개설 안 함. 매니저 후보자의 기회비용 : $500(가정)
매니저가 정직함 주인: $1,000 매니저: $1,000 C 주인이 점포 개소함 매니저가 부정직함 주인: -$500 매니저: $1,500 A B 매니저 후보가 정직하게 운영하겠다고 약속함 주인이 점포 열지 않음 주인: $0 매니저: $500 철수가 부산에 점포를 개설하면 매니저 : 부정직하게 운영할 것임. 철수는 부산에 점포개설 안 함.
매니저가 정직하게 운영하면 둘 다 좋아질 수 있지만 철수가 점포를 개설한 이후에는 매니저가 정직하게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점포를 개설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점포를 개설하기 전에 매니저가 약속한 것은 신빙성이 없는 것이 됨.
위치 선정이 중요한 경우 • 선행자 우위(First mover advantage) • 현대와BMW가 하이브리드 제품을 경쟁할 경우 먼저 움직인 기업이 더 큰 이익을 보았음 • 그러나 시간 또는 장소로 경쟁할 경우 후행자 우위(the last mover advantage)가 있을 수 있음 • 소비자들이 가까운 편의점으로 간다고 가정함 • 기존의 편의점이 고속도로에서 1마일 떨어져 있는 A에 위치하고 있음 • 새로 진입한 편의점은 어디에 위치할 것인가?
기존의 편의점이 A에 위치하고 있음 • 나중에 들어온 편의점이 위치를 결정하고자 함 • C가 소비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위치임 • 그러나 B에 위치할 때 가장 손님이 많이 옴 Freeway 1마일 A B ⅓마일 400명 거주 ⅓마일 400명 거주 ⅓ 마일 400명 거주 C : 400명 + 400명 C B 따라서 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손님이 많이 오게 됨. : 400명 + 400명 + 400명 B
앞서 죄수의 딜레마, 카르텔 모두 더 나은 결과가 있지만 신빙성 있는 위협이나 약속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 맹약의 문제(commitment problem) ; 경기자들이 신빙성 있는 위협이나 약속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 약속이나 위협이 신빙성이 있도록 할 수단이 있으면 해결 가능
맹약의 수단(commitment device) ; 위협이나 약속을 신빙성 있게 만드는 유인을 제공하는 수단 죄수의 딜레마 : 조직원을 배신하면 죽음뿐이다(오메르타, Omerta) 레스토랑에서 팁을 허용(다음 쪽에서 설명) 군비증강 ; 강력한 군비감축 협약
맹약의 수단의 예 : 웨이터의 월급을 인상 ? or 팁을 허용 ? • 레스토랑 주인은 웨이터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원함 • 이를 위해서 월급을 올려줄 용의도 있음. 그러나 감독의 문제가 발생함 • 월급을 올려주었는데 • 웨이터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주인은 돈만 날리게 됨 • 임금을 올린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 • 단골 손님의 경우 팁을 지불함으로써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 (뜨내기 손님의 경우 양질의 서비스를 받은 후에 팁을 주지 않을 유인이 있음)
게임이론은 경기자가 자신의 보수를극대화한다고 가정하고 있음 • 많은 경우 게임의 결과가 효율적이지 않음 • 심리적요인(죄의식, 책임감, 명예, 호의 등)에 대한 유인도 고려하면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
가정 : 매니저가 횡령을 하였을 때 죄책감 =$1만 매니저가 정직함 주인: $1,000 매니저: $1,000 정직한 매니저의 수입이 부정직한 매니저의 수입보다 큼 C 주인이 점포개설 매니저가 부정직함 주인: -$500 매니저: – $8,500 ($1500이 아님) A B 주인이 점포개설 안 함 매니저 후보가 정직하게 운영하겠다고 약속함 주인: $0 매니저: $500
사람들이 사익만을 추구하지 않는 경우도 많음 • - 외지의 식당에서도 팁을 줌 • - 손해를 보더라도 복수함 • - 이익은 되지만 공정하지 않은 것을 거부함 • - 가난한 사람에 대한 자선 • 등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맹약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
맨큐의 경제학 제 17 장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 • 독점과 완전경쟁의 속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시장구조 • 독점적 경쟁의 조건 • 수많은 공급자 • 제품차별화 •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조건 1: 수 많은 공급자 • 다수의 공급자가 같은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경쟁한다. • 예: • 책, CD, 영화, 컴퓨터 게임, 식당, 과자,가구 등
조건 2: 제품 차별화 • 차별화의 여러 가지 방법 • 품질 차이, 서비스 차이, 점포 위치, 포장 ••• • 실질적인 차이일 필요가 없고, 소비자가 느끼기에 다르면 제품의 차별이 있다고 한다. • “광고”가 제품 차별화의 중요한 수단이다. • 그 결과 수요곡선이 마이너스 기울기를 갖는다. • 즉, 각 브랜드가 나름대로의 시장지배력을 갖는다. • 수요곡선이 매우 탄력적이지만, 완전경쟁처럼 무한탄력적이지는 않다.
조건 3: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 기업들이 이 시장에 아무런 장애 없이 들어오고 나갈 수 있다. • 따라서 [단기 이윤 > 0] 이면 유사 생산자들의 진입 이 생산자의 수요가 줄어든다. • 결국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제적 이윤은 0으로 수렴한다.
독점적 경쟁시장의 단기균형 • 단기적으로 독점적 경쟁시장의 기업들은 완전독점 기업들과 똑같이 행동한다. •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행동과 동일 MR = MC P > MC
단기이윤 MC P 단기이윤 AC P AC D MR Q Q이윤극대
장기균형 • 기업들의 진입과 퇴출은 기업들의 이윤이 0이 될 때 까지 진행된다. • 독점적 경쟁은 장기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 가격이 한계비용을 초과한다. • 가격이 평균비용과 일치한다 => 경제적 이윤 = 0.
장기균형 P MC AC P =AC D MR Q Q이윤극대
장기균형 •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초과이윤을 누리고 있으면, 새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한다. • 그 결과 • 공급되는 상품의 종류가 증가한다. • 각 기업에 대한 수요량은 감소한다. •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고 ••• • 더 탄력적이 된다.
독점적 경쟁과 완전경쟁의 비교 • 완전경쟁과 독점적경쟁은 장기적으로 다음 두 가지 차이를 나타낸다. • 초과생산설비(Excess Capacity) • 가격 올리기(Markup)
완전경쟁시장에서는 ••• • 완전경쟁시장(장기) • 기업들은 효율적 생산규모(efficient scale), 즉 평균비용이 극소화되는 규모에서 생산한다. • 자유진입에 의해 가격은 평균비용이 극소화된 수준까지 하락하고, 경제적 이윤은 영이다.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생산량 MC P AC P=MC P = MR = AR Q Q효율적생산량
독점적 경쟁시장의 장기균형 생산량 MC P AC P 초과생산설비 (Excess Capacity) MC D MR Q Q Q효율적 생산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