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likes | 431 Views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of Korea(EIAK). 디지털전자산업의 최근 동향과 2005 년 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목 차. Ⅰ. 경기전망 조사 개요 Ⅱ. 최근 디지털전자산업 동향 Ⅲ. 2005 년도 디지털전자산업 경기전망. Ⅰ.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디지털전자업계의 경영계획 및 정부의 전자산업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 조사대상 : - 국내 디지털전자산업의 비중이 높은 관련업체 813 개사
E N D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of Korea(EIAK) 디지털전자산업의 최근동향과 2005년 전망 한국전자산업진흥회
목 차 Ⅰ. 경기전망 조사 개요 Ⅱ. 최근 디지털전자산업 동향 Ⅲ. 2005년도 디지털전자산업 경기전망
Ⅰ.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디지털전자업계의 경영계획 및 정부의 전자산업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 조사대상 : - 국내 디지털전자산업의 비중이 높은 관련업체 813개사 - 응답업체수 : 665개사 응답 ◎ 조사내용 : - 디지털전자제품 생산, 수출, 내수 및 단가 전망 - 부문별 국내외 시장전망 ◎ 조사방법 : 설문조사 및 방문 인터뷰 등 ◎ 조사기간 : 2004.10.10 ~ 2004.11.9
Ⅱ. 최근 전자산업 동향 총 괄 •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디지털가전기기, 전자부품의 수출이 모두 호조를 보임에 따라 전년대비 30.8% 증가한 977억불 추정 • 내수는 경기침체가 계속되고 있어 가전제품은 감소했으나, 일부 디지털 제품과 수출수요가 증가하여 연간으로는 10.5% 증가한 156조원 추정 • 생산은 고부가가치 프리미엄급 제품의 수출호조 영향으로 고가제품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전년대비 18.2% 증가한 214조원 추정 • 수입은 수출이 증가하면서 관련 원자재 및 핵심부품의 수입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15.1% 증가한 512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정보통신 및 산업용기기 수급동향 • 수출은 카메라폰 등 고성능 컨버전스 휴대폰 및 LCD 모니터 등의 품목이 호조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31.9% 증가한 471억불 추정 • 내수는 디지털방송시대를 맞아 위성방송수신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또 휴대폰 시장이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7.8% 증가한 45조원 추정 • 생산은 수출, 내수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생산이 호조를 나타내 전년대비 11.6% 증가한 80조원 추정 • 수입은 휴대폰, 위성방송수신기용 등 첨단 핵심부품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8.2% 증가한 170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주요 정보통신기기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디지털 가전기기 수급동향 • 수출은 국내기업의 품질 및 브랜드이미지 상승이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면서 디지털TV, 드럼세탁기, 양문형냉장고 등 프리미엄 제품을 위주로 호조를 보임에 따라 전년대비 26.8% 증가한 160억불 추정 • 내수는 실업자 및 신용불량자 문제 등의 원인으로 내수불황이 계속되면서 전년대비 2.0% 감소한 20조원 추정 • 생산은 내수감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TV, 양문형냉장고, 드럼세탁기의 수출 호조로 전년대비 9.3% 증가한 36조원 추정 • 수입은 칼라TV, 비디오카메라, MP3P 등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13.2% 증가한 40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주요 가전기기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주 : 디지털TV 수출은 2003년 1월부터 집계되었기 때문에 2003년도 자료는 증감률이 표시되지 않음
전자부품 수급동향 • 수출은 반도체, 인쇄회로, 2차전지 등 주요 품목의 수출이 호조세를 나타내면서 전년대비 32.1% 증가한 346억불 추정 • 내수는 콘덴서, 인쇄회로, 반도체 등 제품의 간접 수출용 로칼 수요가 증가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16.1% 증가한 91조원 추정 • 생산은 디지털IT시장의 확대와 함께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디지털TV 및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와 2차전지, FPCB 등의 생산이 증가를 보임에 따라 전년대비 27.2% 증가한 99조원 추정 • 수입은 주요 핵심 칩 부품 및 비메모리 등 제품 수입이 증가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13.7% 증가한 302억불 추정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주요 전자부품 수출, 내수동향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월별 디지털전자산업 수출동향(1~10월) ○ 상반기에는 미국과 일본경제의 호조, 중국 등 개도국의 고성장 지속 등 여러 호조 요인으로 수출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하반기에 들어 고유가 및 미국 등의 금리 인상에 따른 국제금리 상승, 중국의 긴축전환에 IT경기 둔화가 더해지면서 상반기 보다는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음 (백만불) (%) 자료 : 관세청
주요 지역별/국가별 수출입 동향(1~10월) █ 수출○ 지역별로는 유럽(15,480백만불, 48.4%), 북미(15,654백만불, 31.8%), 아시아(42,115백만불, 31.1%) 순의 성장률을 시현했는데, 유럽에서는 독일(4,279백만불, 66.5%), 북미에서는 미국(15,146백만불, 32.1%), 아시아에서는 중국(14,050백만불, 48.3%)이 수출규모는 물론 증가율 측면에서도 매우 높게 나타났음█ 수입○ 지역별로는 아시아(31,033백만불, 24.7%), 유럽(3,685백만불, 9.7%), 북미(7,831 백만불, 8.6%) 순의 성장률을 시현했는데, 아시아 지역에서의 수입비중이 72%를 차지하면서 수입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며, 국가별로는 중국(7,332백만불, 47.6%), 대만(4,514백만불, 40.0%)이 높은 증가를 보였음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1~10월) (백만불) 자료 : 관세청
주요 대륙별 수출입 현황(1~10월) (백만불) 자료 : 관세청
Ⅲ. 2005년 디지털전자산업 경기전망 ◎세계 경제 환경과 전망 ◎국내 경제 환경과 전망 ◎ 주요 경기여건 ◎ 설문조사 결과 ◎ 2005년 전자산업 경기 및 수급전망
세계 경제 환경과 전망 ○ 2004년 세계경제는 IT산업의 호조와 중국의 고성장 지속, 미국, 일본, 유럽의 경제회복 등 긍정적인 요인으로 매우 높은 성장률 시현, 2005년에는 고유가 등으로 주요국의 경제가 속도조절에 들어감에 따라 성장속도가 둔화될 전망○ 미국은 올해 4% 가까운 성장이 예상되나, 최근 민간소비와 고용증가가 둔화되고 있어 내년에는 3% 중반을 하회하는 성장 전망○ 일본은 올해 경기회복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나, 고유가와 중국경제 등의 변수 로 인해 내년에는 2% 미만의 성장 예상○ 중국은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적정수준의 고정투자가 계속되고 있어 올해는 8%수준의 성장이 전망되며, 내년에도 올해수준의 성장이 예상 (단위: %)
국내 경제 환경과 전망 ○ 2004년에는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내수침체가 지속되면서 국내경기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음○ 수출은 고유가, 중국추격 등 불리한 여건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해 경제 성장을 이끄는 성장엔진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 2005년에는 주요국의 성장률 둔화 등 대외여건이 보다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지며, 내수의 경우 정부의 경기활성화 시책, 올해의 침체에 대한 반등은 예상되지만, 실업자 및 신용불량 문제로 낮은 회복세 전망
주요 경기여건 ◆ 호조요인 ◆ • 3G 이동통신 서비스 확대에 따른 고기능휴대폰 수요 촉진 • 세계적인 디지털방송 서비스 확산 가속화 •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설비 투자 확대 •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정책 등 내수경기 활성화 추진 ◆ 부진요인 ◆ •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성장세 둔화 • 달러가치 급락 및 원화가치 급등 • 실업자 및 신용불량자 문제 상존 • 중동정세 불안으로 고유가 현상 지속
설문조사 결과 ○ 생산전망- 응답업체 중 다소 호전 될 것으로 56.8%가 전망했으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는 18.8%가 응답해 내년도 생산은 소폭의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나타남 - 증가요인은 수출증가를 37.7%, 내수증가를 28.8%, 해외시장 개척성공 16.1%나타남 생산전망 증가요인 크게악화(0.4%) 내수증가(28.8%) 변화없음(18.8%) 다소악화(16.6%) 수출증가(37.7%) 설비투자 확대(9.8%) 해외시장 개척 성공(16.1%) 크게호전(7.4%) 기타(7.6%) 다소호전(56.8%) 자료: EIAK
설문조사 결과 ○ 내수전망- 응답업체 중 다소 호전 될 것으로 40.5%가 전망했으며, 37.2%가 변화없음,크게 호전될 것으로 12.3%가 응답해 올해 보다는 소폭 높은 성장을 예상- 증가요인은 신제품 시장확대를 58.1%, 관련산업의 수요시장 확대 32.1%로 각각 응답함 증가요인 내수전망 크게악화(0.8%) 크게호전(12.3%) 관련산업의 수요확대(32.1%) 다소악화(9.2%) 신제품 시장확대(58.1%) 기타(0.7%) 경기호전에 따른 수요확대(5.6%) 기술경쟁력 향상(3.5%) 변화없음(37.2%) 다소호전(40.5%) 자료: EIAK
설문조사 결과 ○ 수출전망- 응답업체 중 67.3%가 다소 호전 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변화없음 이라고15.3%가 응답해 내년도 수출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증가요인은 기존 수출시장 수요확대 31.2%, 신시장 개척성공 26.6%, 기술 경쟁력 21.0%로 나타남 증가요인 수출전망 크게악화(0.3%) 크게호전(8.2%) 수출마케팅 강화(15.6%) 다소악화(8.9%) 기존 수출시장 수요확대(31.2%) 신시장 개척성공(26.6%) 기술경쟁력 향상(21.0%) 기타(5.6%) 변화없음(15.3%) 다소호전(67.3%) 자료: EIAK
설문조사 결과 ○ 생산단가 전망- 응답업체 중 52.3%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다소 감소할 것이라고11.4%가 응답해 금년 생산단가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증가요인은 고가제품 생산확대 45.5%, 인건비등 경영비용 상승 34.4%, 저가 제품 해외생산 확대 9.2%로 나타남 증가요인 단가전망 크게감소(1.0%) 다소감소(11.4%) 크게증가(2.1%) 인건비등 경영비용 상승(34.4%) 고가제품 생산확대(45.5%) 저가제품 생산중단(7.1%) 저가제품 해외생산 확대(9.2%) 변화없음(33.2%) 기타(3.8%) 소폭증가(52.3%) 자료: EIAK
세계경기의 속도조절로 IT 성장세 둔화 - 新디지털제품이 IT성장 주도 예상 - • 디지털방송 서비스 확산으로 관련 디지털 TV 및 주변기기 수요기반 확대 •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 확대로 멀티미디어 휴대폰 보급 촉진 • 디지털화 가속 및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로 반도체, PDP, LCD 수요 증가세 지속 • 국산제품의 품질향상 및 국내기업의 브랜드인지도 상승으로 경쟁력 제고 • 2005년 디지털전자산업 경기전망
2005년 디지털전자산업 수급전망 총 괄 • 수출은 디지털TV, 휴대폰, 반도체 등 주요품목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면서 전년 대비 16.6% 증가한 1천139억불 전망 • 내수는 소비촉진 정책과 더불어 디지털TV, 위성방송수신기 수요, 수출수요가 함께하면서 전년대비 10.8% 증가한 173조원 전망 • 생산은 고부가가치 프리미엄급 제품의 수출 및 내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1.2% 증가한 238조원 전망 • 수입은 수출이 증가하면서 관련부품의 수입과 MP3P 등 국내기업의 해외 생산 제품의 역수입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3.9% 증가한 583억불 전망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정보통신 및 산업용기기 수급 전망 • 휴대폰, 위성방송수신기 등 주력 품목의 세계경쟁력 확보 및 세계적인 디지털제품 수요기반의 확대로, 미국, 중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출증가 예상 • PC는 액정모니터로의 교체가 급속히 진전되고, 무선통신기기부품도 무선 환경의 급속한 발전 및 미국, 유럽 등으로의 브랜드 경쟁력 상승을 통한 해외사업 확장과 더불어 지속적인 증가세 시현 예상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주요 정보통신기기 수출, 내수전망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디지털 가전기기 수급 전망 •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시장의 경기둔화가 예상됨에 따라, 낮은 성장이 전망되나, 디지털TV 및 프리미엄 백색가전 제품은 상대적으로 높은성장 을 보일것으로 예상 • 세계적으로 디지털방송이 확산되면서 디지털TV 시장이 크게 성장 할 것으로 기대되며, 국산제품의 품질과 브랜드이미지가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고기능에어컨, 양문형 냉장고, 드럼세탁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이 상당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 • 2004년의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Base Effect 효과와 정부의 경기진작 정책 가능성은 내수 증가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주요 가전기기 수출, 내수 전망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 주 : 디지털TV 수출은 2003년 1월부터 집계되었기 때문에 2003년도 자료는 증감률이 표시되지 않음
전자부품 수급 전망 • 중국, 미국 등 선진국의 경제 성장 및 IT경기 회복과 함께 디지털전자시장이 크게 성장을 보였던 04년에 비해 05년은 다소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 • 04년의 세계경제는 호조세를 보였으나, 고유가와 각 국가들의 금리인상 등으로 05년에는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 • 디지털TV 수요 확대에 힘입어 평판디스플레이 및 PCB 제품과 3세대 모바일기기의 시장 확대로 관련 핵심 부품 수요는 상승이 예상 자료: EIAK(생산·내수), 관세청(수출·수입)
주요 전자부품 수출, 내수 전망 자료: EIAK(내수), 관세청(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