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9

제 8 장 . RISC 및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제 8 장 . RISC 및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8.1 RISC 의 출현 동기 8.2 RISC 의 발전 경위 8.3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8.4 레지스터 세트의 설계 8.5 상용 RISC 들의 구조 8.6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CISC / RISC. 스텐포드 대학 및 버클리 대학의 연구팀의 용어 정의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복합 명령어세트 컴퓨터 복합적인 연산들을 처리하는 명령어들을 가진 기존의 프로세서

truda
Download Presentation

제 8 장 . RISC 및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8장. RISC 및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8.1 RISC의 출현 동기 8.2 RISC의 발전 경위 8.3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8.4 레지스터 세트의 설계 8.5 상용 RISC들의 구조 8.6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2. CISC / RISC • 스텐포드 대학 및 버클리 대학의 연구팀의 용어 정의 •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 복합 명령어세트 컴퓨터 • 복합적인 연산들을 처리하는 명령어들을 가진 기존의 프로세서 •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 축소 명령어세트 컴퓨터 • CISC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제안한 새로운 프로세서 구조의 프로세서 • 간략화된 소수의 명령어들만 지원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 RISC 프로세서의 출현 동기 • CISC의 문제점 • 명령어 비트 수가 길어져서 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오는데 여러 번의 인출 필요 • 다양한 종류와 길이의 명령어를 해독하기 위한 제어 유니트의 내부 회로 복잡도 증가 • 명령어 해독 및 실행 시간 증가 • 해결책을 위한 조사 • 명령어들의 사용 빈도 조사  • 사용 빈도가 낮은 명령어 제거 • 사용 빈도가 높은 명령어들을 단순화시키고 실행 과정을 H/W로 처리함으로써 명령어 실행의 고속화 시도 • 지역 변수 및 프로시듀어 매개변수의 수 조사  ①번의 결과로 확보되는 공간에 내부 레지스터들을 추가하여 주기억장치 액세스 수 감소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 일반적인 프로그램들의 특성 • 프로그램 특성의 분석 결과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5. 일반적인 프로그램들의 특성 (계속) • Assign문의 항들의 수에 대한 분포[%] • 프로시저 당 지역 변수들의 수에 대한 분포[%] • 프로시저 호출 당 전송되는 매개 변수들의 수에 대한 분포[%]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6. RISC의 기본 설계 개념 • 각 명령어는 한 사이클(cycle) 내에 실행되도록 한다 • 명령어 수를 최소화 한다 (100개 이내, 최대 150개) • 명령어의 해독은 하드웨어로 처리한다 • 명령어 해독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명령어 형식을 고정시킨다 • 주소지정 방식의 종류는 1개 또는 2개로 하며, 최대 4개까지만 허용한다 • 연산의 동시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통로(data path)를 파이프라인 구조로 한다 • 가능한 많은 수의 레지스터들을 가지도록 한다 • 기억장치 액세스는 간단한 명령어 구조를 가진 LOAD/STORE 명령어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 이외의 모든 데이터 이동 동작들은 내부 레지스터들 사이에서만 일어나도록 한다 • 계층 구조의 기억장치를 사용한다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7. RISC 프로세서의 발전 경위 • IBM 801 프로세서 : 1975년 개발 완료, 1982년 공개 • 평균 명령어 실행시간 = 1.1 사이클 • RISC I, II : 1981년, Berkeley 대학의 Patterson 교수와 Sequin 교수에 의해 실험적으로 설계  SPUR(Symbolic Processing Using RISCs) 및 SOAR(Small-talk On A RISC) 프로세서 개발로 이어짐  Sun SPARC(Scalable Processor ARChitecture) 프로세서로 상용화됨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8. RISC 프로세서의 발전 경위 • MIPS 프로세서 : 1983년, 스탠포드 대학의 Hennessy 교수팀에 의해 개발 MIPS-X, MIPS-X-MP 프로세서로 발전 • on-chip 명령어 캐쉬 탑재 • 예측 분기(squashed branch) 방식 도입 • MIPS R2000, R3000, R4000, R10000 프로세서로 상용화됨 • Clipper(Fairchild), AM29000 (AMD), MC88000 (Motorola) 등 • 1980년대 중반 개발됨 • 산술 계산 속도를 높이기 위한 특수 기능 블록의 추가 • 명령어 선인출(instruction prefetch) 기능 추가 • 분기 처리를 위한 분기 목표 캐쉬(branch target cache)의 구현 • 가상 기억장치를 지원하는 기억장치 관리 기능의 강화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9. 초기 CISC/RISC 프로세서의 비교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0. 8.3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1)복잡한 명령어의 제거: 복잡하고 긴 시간이 걸리는 연산을 포함하는 명령어 제외 간단한 명령어들을 여러 개 반복 사용 [예] DIV 명령어  shift, add, sub 명령어들로 대치 2)주기억장치 액세스 명령어의 제한 • 데이터 연산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는 항상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 데이터 연산 명령어의 기억장치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음 • 기억장치 액세스는 지정된 명령어들(LOAD, STORE)만 가능 [이점] • 레지스터 주소지정 방식을 사용하므로 명령어 코드의 비트 수 감소 • 유효 주소(effective address) 계산 시간이 절약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1. LOAD/STORE 명령어의 종류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2.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계속) 3)주소지정 방식의 단순화 • 유효주소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주소지정 방식의 종류를 최소화 [예] RISC I의 명령어 형식 • C : 명령어 실행 결과에 따라 조건 코드 세트 여부 지정 • DEST : 목적지 레지스터 번호 • SRC : 근원지 레지스터 번호 • I = 1 : OFFSET = 데이터 immediate addressing modeI = 0 : OFFSET = 레지스터 번호 register addressing mode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3.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계속) 4) 파이프라이닝 • 명령어 인출, 해독, 실행 유니트, 기억장치 액세스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구성 [문제점] LOAD 및 STORE 명령어의 실행 단계가 최소 두 단계 소모 LOAD X, R0 ; M[X]  R0 ADD R0, R1 ; R0  R1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4.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계속) [해결책] • H/W Interlocking • LOAD/STORE 명령어 실행 후, 자동적으로 NO-OP 명령어 코드에 해당하는 지연 슬롯(delay slot) 삽입 • 프로그램 실행 순서의 재조정 • 컴파일러가 프로그램 코드를 조사하여 LOAD/STORE 명령어 실행과 무관한 명령어를 재배치하는 방법  불가능 시 지연 슬롯 삽입 • MIPS의 재구성기(reorganizer) : 컴파일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명령어의 실행 순서의 재조정을 담당하는 별도의 프로그램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5. RISC 설계의 기본 원리 (계속) 5) 마이크로프로그램의 제거 • 명령어들이 단순화됨으로써, 하드웨어만으로 명령어 해독이 가능해짐 • 명령어 인출 유니트에 의하여 인출된 명령어 코드의 각 비트들이 그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키는데 직접 사용 RISC 프로세서의 고속화 • 제어 유니트 내의 제어 기억장치(control memory) 제거  공간 여유 6) 고정된 명령어 형식 • 하드웨어에 의한 명령어 해독 및 실행을 위해서는 고정된 명령어 형식이 필요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6. 8.4 레지스터 세트의 설계 • RISC 설계 원리를 적용한 결과  • 프로세서 내부에 공간적 여유 발생  내부 기억장치(레지스터)증가 가능 • LOAD나 STORE 명령어의 실행 횟수 감소  데이터 액세스 시간 단축 •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Overlapping Register Window) 방식 • 증가된 레지스터들의 효율적 운용 목적 • RISC I 프로세서 (SPARC 프로세서)에서 도입 • 520개의 레지스터 • 공통변수들 및 전출입 매개변수들의 저장에 분할 사용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7.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 • 전체 레지스터들을 여러 개의 그룹으로 분할 • 각 프로시저(procedure)가 한 그룹씩 사용 • 보이는 레지스터들(visible registers) • 현재 수행중인 프로시저가 사용할 수 있는 32개의 레지스터들 • 네 개의 소그룹들로 나누어져 사용 • 공통 변수(global variables) 그룹 : 8개 • 전입 매개변수(incoming parameters) 그룹 : 8개 • 지역 변수(local variables) 그룹 : 8개 • 전출 매개변수(outgoing parameters) 그룹 : 8개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8.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 (계속) • 한 그룹의 ‘보이는 레지스터들’이 네 개의 소그룹들로 나누어진 모습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19.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 (계속)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0.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 (계속) • CWP(Current Window Pointer) •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의 첫번째 레지스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 프로시저가 호출될 때마다 (24가 아닌) 16씩 증가 • Calling procedure의 전출 매개변수 그룹과 called procedure의 전입 매개변수 그룹이 중첩(overlap)  Overlapping register window라고 불림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1.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 (계속) [예] 전체 레지스터 수가 520개인 경우에 몇 개의 프로시듀어들이 연속적으로 호출될 수 있는가? • 512 / 16 = 32개 :: 호출의 깊이(calling depth) • 32개 이상의 프로시듀어들이 호출되는 경우에는 ? • 전체 레지스터 세트가 순환 버퍼(circular buffer)를 형성 • 트랩(trap) 발생  첫번째 프로시저에 대한 정보는 기억장치 내 스택에 저장 • 33번째 프로시저 정보를 첫 번째 레지스터 윈도우에 저장 • 그 이상의 호출 시, 위의 과정 반복 • 프로시저 호출이 연속적으로 32번 이상 일어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음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2. 8.5 상용 RISC 프로세서들의 구조 8.5.1 SPARC 프로세서 • 1987년, Sun Microsystems사에 의해 개발 • 공개형 프로세서 구조(open processor architecture) • SPARC는 제조가 완료된 프로세서 칩에 대한 명칭이 아니라,새로운 RISC형 프로세서 구조에 대한 정의 •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반도체 제조 기술 등)으로 구현 가능 •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 제조 기술에 의한 경쟁을 유도 • 더 빠른 프로세서 제조 가능 (5개사 이상의 회사가 제조 참여) • 가상 캐쉬(virtual cache) 사용 : 캐쉬의 주소가 프로세서에 의해 발생된 가상 주소를 그대로 사용 [비교] 일반적으로 캐쉬의 주소는 MMU에 의해 변환된 물리적 주소 사용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3. SPARC프로세서의 내부 구성도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4. SPARC 프로세서 (계속) • 32비트 프로세서 • 단어의 길이, 주소의 비트 수 : 32비트 • 명령어 길이, 레지스터 폭 : 32비트(고정) • 기억장치 단어 정렬방식 : big-endian 방식 [비교] 80X86 마이크로 프로세서 : little –endian 방식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5. SPARC 프로세서 (계속) • 명령어 실행 과정 : 4단계 파이프라인 • 레지스터 세트 •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 • 최대 520개 = (32x16)+8 • 공통 레지스터들 중의 첫번째 레지스터인 R0는 0으로 고정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6. SPARC 명령어 세트 • 산술 및 논리 연산 명령어의 형식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7. SPARC 명령어 세트 (계속) • SETHI 명령어 • 즉치 데이터(immediate data)필드가 주소로 사용될 경우, 길이가 13비트이므로 전체 기억장치의 주소 공간 액세스 불가능  SETHI 명령어 사용 • 즉치 데이터 필드의 22비트를 DEST 필드가 지정하는 공통 레지스터의 상위 22비트 값으로 세트하고, 하위 10비트는 0으로 세트 • 이어서 LOAD/STORE 명령어가 실행되면, 즉치 데이터 비트들이 그 레지스터의 하위 비트들과 더하여져서 32비트의 유효 주소를 생성 기억장치의 전체 주소 영역 액세스 가능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8. SPARC 명령어 세트 (계속) • 조건 분기 명령어 • 단어 단위로 지정하므로, 최대 16M 바이트 영역 내로 분기 가능 • A비트가 1이면, 분기가 발생할 경우에만 지연 슬롯 실행 • 호출 명령어 형식 • 단어 단위로 지정하므로, 최대 4G 바이트 영역내의 명령어 호출 가능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29. SPARC의 어셈블리 명령어들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0. SPARC의 어셈블리 명령어들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1. SPARC 어셈블리 프로그램 예 : ‘Towers of Hanoi’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2. SPARC 어셈블리 프로그램 예 : ‘Towers of Hanoi’ (계속)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3. 8.5.2 MIPS 프로세서 • SPARC와 같은 점 • 단어 길이 = 32 비트 • 명령어 길이 = 32 비트 • 기억장치 주소 공간 = 4 Gbytes(232) • 명령어 실행 과정의 파이프라이닝 • LOAD/STORE, JUMP 및 CALL 명령어에서 지연 슬롯 사용 • 바이트 단위의 주소 지정 가능 • FPU 및 보조 프로세서 지원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4. MIPS 프로세서 • SPARC와 다른 점 • 기억장치 저장 방식 : big-endian과 little-endian 중 하나로 선택 가능 • 레지스터 수 = 32개 • 프로시저 호출에 걸리는 시간이 SPARC에 비하여 길다 • 문맥 교환(context switching) 용이 • 절약되는 칩상의 공간에 MMU와 캐쉬 제어기 탑재 • 조건 코드가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 지연 슬롯 삽입 : H/W interlocking 방식 대신 컴파일러를 이용 • 명령어 파이프라인의 단계 수 = 5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5. MIPS의 명령어 파이프라인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6. MIPS 프로세서의 내부 구조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7. MIPS의 레지스터 세트 • 32개의 32비트 레지스터로 구성 • 중첩 레지스터 윈도우 방식의 단점 • 문맥 교환시, 현재 프로세스가 사용 중이던 레지스터 윈도우의 모든 정보들을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한 정보들을 읽어오는데 긴 시간이 소요 • 각 그룹에 저장할 변수들의 수가 8개를 초과하는 경우에 곤란 • 많은 수의 레지스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칩상의 면적을 크게 차지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8. MIPS의 레지스터 세트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39. MIPS의 명령어 세트 • 분기 목적지의 주소 계산 • (PC의 최상위 4비트) + ((JUMP TARGET ADDRESS) << 2) • Superpage : PC의 최상위 4비트로 구분  각 256M(228) • Superpage 사이의 분기 불가능 (0x0ffffffc  0x10000004)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0. 8.6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8.6.1 명령어-수준 병렬성 •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 명령어들이 서로 독립적이어서 동시에 실행될 수 있는 상태 • 하드웨어 병렬성(H/W parallelism, machine parallelism) : 실제 명령어들을 병렬로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능력 [예] 어떤 프로세서가 두 개의 ALU들과 하나의 LOAD/STORE 유니트들을 가지고 있다면, 아래의 세 명령어들을 동시 실행 가능LOAD R1, A ADD R2, R3 MUL R4, R5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1. 하드웨어 자원의 이용률 저하 원인 • 명령어-수준 병렬성 및 하드웨어 병렬성이 존재하더라도, 아래의 이유 때문에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게 됨 • 데이터 의존성(data dependence) • 흐름 의존성(flow dependence) • 반의존성(antidependence) • 출력 의존성(output dependence) • 자원 충돌(resource conflict)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2. 흐름 의존성 • 어떤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앞의 다른 명령어의 실행 결과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  두 명령어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 [예]   I1:  LOAD R1, A               ; R1 ← M[A]        I2:  SUB  R1, R2               ; R1 ← R1 - R2        I3:  MOV R3, R1               ; R3 ← R1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3. 동적 실행(dynamic execution) • 프로그램에서 흐름 의존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뒤에 위치한 명령어들 중에서 현재 실행하려는 명령어와 의존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있으면, 순서를 변경하여 먼저 실행하는 방법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4. 반의존성 • 흐름 의존성이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들 간이라도, 동적 실행을 위하여 순서를 바꾸어 실행할 수는 없는 의존 관계 • 흐름 의존성과 반대 방향의 의존성 [예]    I4:  MUL  R1, R2              ; R1 ← R1 × R2        I5:  ADD  R2, R4             ; R2 ← R2 + R4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5. 출력 의존성 • 두 명령어들의 실행 결과가 동일한 목적지에 저장되는 경우 [예]    I6:  SUB R1, R2                 ; R1 ← R1 - R2        I7:  MOV R3, R1                ; R3 ← R1        I8:  MOV R1, #2                ; R1 ← 2 • I6  I7 : 동적 실행을 위하여 I6와 I8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I7이 잘못된 R1값을 이용할 위험이 존재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6. 자원 충돌 • 동시에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같은 H/W 자원을 사용하며, 그 수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 • 자원의 예 : ALU, 기억장치 모듈, 캐쉬, 레지스터, 등. [예]   I6:  SUB R1, R2                 ; R1 ← R1 - R2        I7:  MOV R3, R1                ; R3 ← R1        I8:  MOV R1, #2                ; R1 ← 2 • I6와 I8은 출력 의존성 뿐 아니라, 자원 충돌도 존재하므로, 동시 실행 불가능  레지스터 재명명(register renaming)으로 해결 가능 (8.6.3절)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7. 8.6.2 명령어 발송 정책 • 명령어 발송(instruction issue) : 프로세서가 독립적인 명령어들을 찾아서 명령어 실행 파이프라인으로 보내어 실행이 시작되도록 하는 과정 • 명령어 발송 정책(instruction issue policy) : 명령어를 발송하는 데 필요한 프로토콜 ‧순서대로 발송하고 순서대로 종료(in-order issue with in-order completion) ‧순서대로 발송하고 순서와 다르게 종료(in-order issue with out-of-order completion) ‧순서와 다르게 발송하고 순서와 다르게 종료(out-order issue with out-of-order completion)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8. 2-way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내부 구조의 예 • 4-단계 파이프라인 • 인출 및 해독 단계 : 두 개의 별도 유니트들 & 미리보기 윈도우 • 실행 단계 : 네 개의 유니트들(곱셈기, 가산기, logic, loader)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49. (1) 순서대로 발송하고 순서대로 종료하는 방식 • 가장 간단한 명령어 발송 정책 • 원래 프로그램 순서대로 발송하고, 결과들도 원래 순서대로 저장 • 실행 단계가 미리 종료된 명령어라도, 프로그램 순서 상으로 그 이전에 위치한 명령어가 완전히 종료되지 않았다면, 기다렸다가 순서에 맞추어 마지막 단계인 저장(S) 단계를 수행.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50. 프로그램 예 [예]   I1:  LORD R1, X               ; R1 ← M[X]        I2:  ADD  R2, R1              ; R2 ← R2 + R1        I3:  ADD  R3, R4              ; R3 ← R3 + R4        I4:  MUL  R4, R5              ; R4 ← R4 × R5       I5:  OR    R6, #01              ; R6 ← R6 ∨ 01        I6:  MUL  R6, R7              ; R6 ← R6 × R7 o I1과 I2 사이에는 흐름 의존성이 존재한다 (I1 ―→ I2). o I3와 I4 사이에는 반의존성이 존재한다 (I3 ―+→ I4). o I5와 I6 사이에는 흐름 의존성과 출력 의존성이 존재한다 (I5 ―→ I6, I5 ―o→ I6) Parallel Computer Architecture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