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1.98k Views
사무직 근로자 의 직무 스트레스 사례. 과목명 : 작업환경론 담당교수 : 이문호 교수님 성명 : 노동복지정책학 김정호 인력관리학 이혜경 발표일 : 2007 년 11 월 27 일. 조사 대상 및 방법. 1. 조사기간 : 2004 년 2 월 2. 조사방법 :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KSOS) 이용하여 설문조사 3. 설문지 구성 및 평가방법 - 개인적 요인 8 문항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 43 문항
E N D
사무직 근로자의직무 스트레스 사례 과목명: 작업환경론 담당교수: 이문호 교수님 성명: 노동복지정책학 김정호 인력관리학 이혜경 발표일: 2007년 11월 27일
조사 대상 및 방법 1. 조사기간: 2004년 2월 2. 조사방법: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KSOS) 이용하여 설문조사 3. 설문지 구성 및 평가방법 - 개인적 요인 8문항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 43문항 - 4점 척도로 응답 (가장 긍정적인 응답은 1점, 가장 부정적인 응답을 4점으로 코딩) -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판정 4. 조사 대상 특성 - 개인적 특성: 남성 50.7%, 여성 49.3% (203명) 20대 44.3%, 30대 41.4%, 40대 이상 14.3% 대졸이상 48.2%, 전문대졸이하 26.6%, 고졸이하 25.1% - 직업관련 특성: 사무종사자 63.1%, 서비스종사자 16.3%, 기타 12.2%, 기술공 및 준 전문가 8.4% 사원 54.2%, 과장이하 41.9%, 부장이상 3.9% 금융업 19.7%, 무역업 8.9%, 세무회계법률 15.3%, 의료보건 10.8% 기타(공무원, 정보통신, 광고, 음료, 건축 등) 45.4% 경력- 3년이하 32%, 5년이하 17.3%, 10년이하 27.5%, 10년이상 23.2%
8가지 직무 스트레스 요인별 조사 결과 1. 물리적 인자: 나이가 들수록 적어지고 낮을수록 물리적 인자에 의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남 2. 직무 요구도: 기술공 및 준 전문가 그룹과 금융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10년이하 기간 동안 근무한 중간 정도의 근로자가 직무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3. 직무 자율성: 남성과 전문대졸이하, 기술공 및 준전문가, 과장 이하의 중간관리자와 금융업종사자, 10년 이하의 근무경력을 가진 근로자가 높게 나타남 4. 사회적지지(관계갈등): 여성과 20대 이하의 저 연령층에서 높은 스트레스 지수가 나타났고 학력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가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남 5. 직무 불안정: 연령과 직책이 높을수록 직무불안정이 높게 나타났고 세무회계법률가 그룹과 10년 이상의 장기근속자들이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냄 6. 조직관리체계: 남성과 30대 이하의 연령층에서 높은 스트레스 지수가 나타났고 10년이하 경력의 근로자들이 조직관리체계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를 많이 느낌 7. 내적동기: 여성과 연령,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사원이하, 3년 10년 이하를 근무한 근로자가 높은 점수를 나타냄 8. 직장문화: 여성과 20대 이하, 사원이하, 세무회계법률가 그룹에서 높게 나타남 - 물리적 요인과 사회적지지(관계갈등), 직장문화 등의 요소가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스트 레스 수치를 나타내고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직무불안정성, 조직관리체계, 내적동기 등의 요인은 높 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설문을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의 요인들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개인 차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 지 않으며, 직무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는 특정한 요인에 대해서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이 근로자에게 작용한다.
개인적 요인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별 평균점수 물리적인자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직무불안정 조직관리체계 내적동기 직장문화 성별 남성 3.92 20.36 17.92 8.56 14.97 28.52 7.60 4.14 여성 4.05 19.87 17.71 8.89 14.89 28.17 7.67 4.76 나이 20대이하 4.14 19.56 17.62 8.94 14.66 28.19 7.72 4.63 30대이하 4.04 20.84 18.31 8.45 15.12 28.72 7.69 4.40 40대이상 3.32 19.75 16.96 8.86 15.25 27.75 7.18 3.96 학력 고졸이하 4.12 19.71 17.57 8.86 15.51 28.65 7.75 4.63 전문대졸이하 4.41 20.83 18.17 8.69 14.57 28.44 7.78 4.54 대졸이상 3.68 19.94 17.76 8.67 14.83 28.14 7.50 4.30 직업 기술공,준전문가 4.71 23.65 19.18 8.82 15.24 32.06 8.18 4.29 서비스종사자 4.30 20.36 17.73 7.94 14.82 27.73 7.91 4.27 사무종사자 3.79 19.62 17.78 8.73 14.84 28.09 7.53 4.60 기타 4.08 19.96 17.20 9.64 15.32 28.00 7.44 3.96 직책 사원이하 4.13 19.65 17.77 8.98 14.75 28.37 7.75 4.64 과장이하 4.04 20.77 18.02 8.20 15.07 28.13 7.59 4.39 부장이상 3.49 20.51 17.65 8.76 15.24 28.62 7.38 3.95 업종 금융업 4.03 21.50 18.08 8.23 15.13 28.33 8.10 4.53 무역업 4.06 19.22 17.89 8.94 14.89 26.89 7.28 4.33 세무회계법률 4.00 19.81 17.35 9.48 15.26 29.58 7.97 5.03 의료보건 3.09 19.05 17.73 8.36 14.86 26.45 6.64 4.27 기타 4.16 20.05 17.87 8.73 14.76 28.68 7.63 4.27 경력 3년이하 4.23 19.05 17.89 8.94 14.78 28.25 7.80 4.49 5년이하 4.03 19.97 17.86 8.43 14.83 28.29 7.63 4.57 10년이하 4.04 21.05 17.93 8.95 14.77 29.23 7.80 4.57 10년이상 3.55 20.60 17.55 8.38 15.40 27.49 7.21 4.13
사례 1. 조사기간: 2007년 11월 2. 조사방법: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이용하여 설문조사 3. 설문지 구성 및 평가방법 - 직무 스트레스 요인 43문항 - 4점 척도로 응답 - 각 영역별 환산점수 = (실제점수-문항수)X 100 / (예상 가능한 최고점수-문항수) 4. 조사 대상 특성: 사무종사자 여성 총 20명 5.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평균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