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538 Views
2003 년도 결산 및 2004 년도 산업 전망. 2003. 12. 3( 수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최 명 선. 목 차. 1. 정보통신산업의 정의 및 분류 2. 주요 경제지표 3. 정보통신산업 현황 및 전망 4. IT 인력 동향 5. 한국 IT 산업 위상 ※ 참고자료 : 주요 이슈별 표본조사 결과 1. 참여정부 출범 (2.25) 2. 전세계 SARS 강타 (4 월 ) 3. 9 대 IT 신성장 동력 출범 (8 월 ) 4. IT 기업 해외진출 러시.
E N D
2003년도 결산 및 2004년도 산업 전망 2003. 12. 3(수)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최 명 선
목 차 1. 정보통신산업의 정의 및 분류 2. 주요 경제지표 3. 정보통신산업 현황 및 전망 4. IT인력 동향 5. 한국 IT산업 위상 ※ 참고자료 : 주요 이슈별 표본조사 결과 1. 참여정부 출범(2.25) 2. 전세계 SARS 강타(4월) 3. 9대 IT신성장 동력 출범(8월) 4. IT 기업 해외진출 러시
기 간 유선통신서비스(전화, 전용회선 등), 무선통신서비스(이동전화 등) 등 99개 별 정 설비보유재판매, 설비미보유재판매, 구내통신서비스 등 28개 서비스 부 가 네트워크서비스,인터넷접속및관리,부가통신응용, 정보제공, 온라인정보처리 등 54개 방 송 지상파방송, 유선방송, 위성방송, 프로그램제작공급 등 27개 통 신 유선전화기, 무선통신단말기, 교환기, 전송기기, 네트워크 장비 등 229개 정보통신 산업 정 보 컴퓨터본체, 컴퓨터주변기기, 대용량저장장치, 노트북, 모니터 등 107개 기 기 방 송 지상파방송송수신기, 유선방송송수신기, 방송국용기기, DTV 등 53개 부 품 반도체 및 부분품, IC, 평판디스플레이패널 등 161개 패키지 시스템S/W, 응용S/W 등 78개 컴퓨터관련 시스템통합(SI), 시스템관리 및 유지보수(SM), 정보보호서비스 등 10개 S/W 디지털콘텐츠 교육용 콘텐츠 등 24개 DB제작 데이터베이스제작 등 3개 1. 정보통신산업의 정의 및 분류 정보의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 및 그 활용과 이에 관련되는 기기·기술·역무 기타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과 수단을 영위하는 산업(정보화촉진기본법-제2조 3항) ※ 정보통신산업 분류체계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 표준안 상정 중
2. 주요 경제지표 • 세계 각국의 경제성장률(2002~2004) Source:국제통화기금(IMF), 삼성경제연구소(SERI 9월) O 미국경제가 20년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3분기 8.2%성장) 보이는 등 세계경제의 회복국면 돌입 O `04년 미국의 경제성장 전망치는 3.4%이며 점차 회복경기에 접어듬 - 세계경제는 일본 1.3%, EU 2.0%, 중국 7.7%이며 한국은 4.3%로 전망됨 O `04년도 IT성장률은 `03년 9.6%에서 21.8%로 크게 성장할 전망임 - 이는 세계경제의 회복에 따른 수출증가, 반도체 가격상승, PC교체수요 확대 등의 요인에 의함
국내 경상 GDP와 IT생산액 O 2003년도 경상 GDP는 612조원으로 전년대비 2.7% 증가로 전망되며, 2004년에는 4.3%증가 전망됨(SERI) - 물가상승률은 2003년도에 3.3%에서 2004년도에는 2.8%로 전망 (단위:조원) 경상GDP 연평균19.2% IT생산액 • GDP 및 IT생산액 증가율 (단위:%) ※ 한국은행, SERI 자료 인용, IT관련 자료는 협회 전망치 IT생산증가율 O 2003년도 IT생산액은 전년대비 9.5% 증가한 205조원으로 전망되며, 2004년에는 21.8%증 가한 250조원으로 전망됨 - 이는 LCD/PDP, TV, 반도체, 이동전화단말기, 2차전지 등 기술집약형 IT제품들의 고성장 전망과 수출확대에 따른 결과로 전망됨 경상GDP성장률 소비자물가상승률
전산업과 IT산업 수출액 비교 O 2003년도 IT산업 수출은 전년에 비해 25.9% 증가한 583억5천$이며, 2004년도에는 27.6% 증가한 744억8천$로 전망됨 - 이는 이동통신단말기, 반도체 가격상승, TFT-LCD, DTV등 IT품목들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임 O 이에 따른 전체산업에서의 비중은 2003년도에 32.3%에서 2004년도에는 37.7%에 육박할 전망임 (단위:억$) 전체산업수출 • 전산업과 IT산업 전년대비 수출증가율 IT수출 (단위:%) IT산업 수출증가율 전산업 수출증가율 ※2001, 2002년 자료는 한국은행, 2003, 2004년 전망치는 SERI자료 인용 ※2003, 2004년 IT수출자료는 KAIT전망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한국은행(전산업) KAIT (IT산업) (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호전표시업체수-악화표시업체수) X 100 + 100 총유효응답업체수 0 ≤ BSI ≤ 200 ※ BSI는 기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를 나타내며, 기준치인 100이면 보합, 100초과이면 호전, 100미만이면 악화되고 있음을 나타냄 O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체감경기(BSI)의 회복속도는 더딤 - 10월 실적치가 85로 악화에서 11월, 12월에는 9096으로 점차 회복될 전망임 O 지난 7월의 66에서 바닥을 치고 상승세를 타고 있음 O 일부 수출 효자품목 부문에서는 경기가 호전되고 있으나 전통산업에서는 불경기가 지속되는 등 경기 양극화가 심화됨
3. 정보통신산업 현황 및 전망 1) 생산 총괄 • 현황 O 2003년은 지난해보다 9.6% • 증가한 204조9천억원으로 • 전망됨 • - 내수와 소비의 극심한 위축, • 북한 핵위협, 신용불량자 급증, • 사회적인 갈등 심화 등 불 • 안정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 수출호조로 비교적 높은 • 성장세 유지 • O 정보통신서비스는 통계집계 •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 기록 • 전망 • O 2004년에는 금년보다 21.8% • 증가한 249조5천억원으로 전망 • - 세계경제의 영향으로 수출 • 증대 기대 • O 정보통신기기는 `03년 15.5%, • `04년 21.2% 성장 예상 • O S/W 및 컴퓨터 관련서비스는 • `03년 4.0%, `04년 41.9%성장 • 전망 (단위:조원, %) IT산업전체 기기 서비스 S/W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2) 수출 총괄 • 현황 • O IT산업 수출은 `01년 이후 연평균 • 24.5% 고속 성장함 • O 2003년은 지난해보다 25.9% 증가한 • 584억$로 전망됨 • - 이동통신단말기, 반도체, TFT-LCD • 등 전략 품목 수출 호조 • 전망 • O 2004년에는 금년보다 27.6% 증가한 • 745억$로 전망 • O 기기는 연평균 24.2% 성장 • O S/W 및 컴퓨터관련서비스는 연평균 • 59.6%고속 성장함 (단위:10억$,%) IT산업전체 기기 S/W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3) 정보통신 서비스-생산(매출) • 현황 • O `01년 이후 연평균 9.0% 성장 • 하였으나, `03년인 경우 전년 • 대비 6.4% 감소한 38.2조원으 • 로 전망됨 • - 이동전화 가입자 포화, 신용불 • 량자 급증, 내수부진에 따른 • 소비심리 냉각 등으로 인한 • 수요 감소 • - 또한 설비투자 감소, 신규 통신 • 서비스(3G)의 더딘 진행 등이 요인 • 전망 • O `04년인 경우 `03년에 비해 • 13.6% 증가한 43.4조원으로 • 전망됨 • - 무선인터넷, LM(Land to Mobile) • 통화, 번호이동성에 따른 통신 시장 • 확대 • -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 디지털 • 콘텐츠 시장 확대 50 (단위:조원,%) 45 서비스전체 43.4 40 40.8 38.2 35 33.5 30 기간 25 20 15 방송 10 부가 5 별정 0 2001 2002 2003 2004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4) 정보통신 기기 생산 • 현황 • O `01년 이후 연평균 21.3%의 • 성장세 유지함 • O `03년은 전년대비 15.6% 증가한 • 146.3조원으로 예상됨 • - 기기시장은 반도체와 이동전화 • 단말기가 주도하고 있으며, • 카메라폰의 수요 급증, 반도체 • 가격회복, LCD의 수요 증가가 • 주요인임 • 전망 • O `04년인 경우 `03년에 비해 • 21% 증가한 177조원으로 • 전망됨 • - 카메라폰 수요확대가 계속될 • 전망이며, PC교체주기 도래에 • 따른 수요 확대가 전망됨 • - 반도체 DRAM, Flash Memory • 가격 상승, 세계시장 회복 등 • 영향이 있을 전망임 200 (단위:조원,%) 180 177 기기전체 160 140 146.3 120 126.5 부품 100 99.1 80 통신 60 정보 40 20 방송 0 2001 2002 2003 2004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5) 정보통신 기기- 수출 • 현황 • O `01년 이후 연평균 24.2%의 • 성장세 유지함 • - 특히 방송기기는 DTV 등 방송 • 기기 수출호조에 힘입어 72.6% • 의 높은 성장세를 보임 • -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수출호조 • 에 힘입어 통신기기 연평균 성장 • 률이 34.8%에 달함 • 전망 • O `04년인 경우 `03년에 비해 • 26.9% 증가한 732억$로 • 전망됨 • - 아테네올림픽 특수로 인해 • DTV 수요 확대, High-end 이 • 동통신단말기 수요확대, 반도 • 체 수출확대가 예상됨 (단위:10억$,%) 기기전체 부품 통신 정보 방송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6) S/W 및 컴퓨터관련서비스 현황 및 전망 • 현황 • O `01년 이후 생산은 연평균 25.6% • 의 성장세 유지함 • - 모바일게임, 아바타 등 디지털 • 콘텐츠 시장 확대 • O S/W 수출액은 연평균 59.6%로 • 성장함 • - 온라인게임의 중국 등 동남아 • 지역에 진출성공 등 디지털 • 콘텐츠 시장 확대 • 전망 • O `04년인 경우 `03년에 비해 • 42.6% 증가한 29.1조원으로 • 전망됨 • -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권 등 • 시장 다변화로 해외 시장 확대 • 될 전망임 • O `04년 수출인 경우 `03년에 비 • 해 86.1% 증가한 13억$로 전망됨 35 (단위:조원, 억$,%) S/W 생산 30 29.1 25 20 20.4 19.7 S/W 수출 15 13 14.7 10 7 4 3 5 0 2001 2002 2003 2004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7) IT 주요품목 가) 생산 총괄 (단위 : 조원, %) (단위:10억) 이동전화단말기 평판디스플레이패널 메모리 비메모리 데스크탑 노트북 O 이동통신단말기는 연평균 37.6%의 고속성장 O 데스크탑PC는 연평균 4.6%감소세를 나타냄 O 노트북은 연평균 18.1% 성장세 기록함 O 메모리, 비메모리 반도체는 각각 43.3, 24.9% 증가함 O 평판디스플레이패널은 연평균 30.1% 성장함 •이동전화단말기= CDMA단말기+GSM단말기+ W/CDMA단말기+TDMA단말기 •메모리 = DRAM+SRAM+Flash Memory+ROM+기타Rom •비메모리 = 마이크로콤포넌트+Logic+아날로그IC •평판디스플레이패널= LCD+FED+PDP+유기EL+기타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나) 수출 총괄 (단위 : 백만$,%) 이동전화단말기 메모리 비메모리 평판디스플레이패널 노트북 데스크탑 ※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O 수출 부문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 노트북, 메모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데스크탑PC, 비메모리 부문은 감소 추세임
8) 연도별 10대 품목 변화 추이 • 생산액 변화 추이 (단위 : 10억원, %) ※ 2003년도는 1~10월 누계치임 ※ 비중은 정보통신기기중에 차지하는 비율임
수출변화 추이 (단위 : 10억US달러, %)
4. IT인력 동향 • 2003년 상반기 IT인력 현황 (단위 : 천명, %) • 정보통신인력 정의 :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수신 및 그 활용과 이에 관련되는 기기, 기술, 역무 기타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과 수단 등에 종사하거나, IT관련 지식을 습득하여 정보통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인력 O 2003년 상반기 IT인력은 123만명으로 이중 정보통신산업에 종사자가 50만1천명, 정보통신관련사업에 종사자가 17만2천명, 타산업의 전산실에 근무하는 종사자가 56만명으로 나타남
연도별 IT인력 현황 (단위 : 천명, %) ※ IT인력 = IT산업종사자 + IT관련산업종사자 + 타산업전산직종사자 ※ 2002년 IT인력은 잠정치임(2003년 정보통신산업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전산업취업자 = 비임금근로자 + 임금근로자 ※ 전산업종사자 = 임금근로자 –일용직근로자, (임금근로자 = 상용근로자 + 임시근로자 + 일용직근로자) ※ 전산업취업자 및 종사자 : 2002년 기준 사업체 기초통계 잠정(통계청) • 전산업내에서 IT인력 비중은 1998년의 9.8%에서 2002년도에 10.5%로 나타남 O IT산업은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등에 비해 고용 흡입력이 낮아 IT경기지표와, 고용지표간 격차가 다소 있음
0.81 한국 5. 한국IT산업 위상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평가 0.85 0.85 0.84 0.83 0.83 0.82 0.82 0.81 0.8 0.79 0.79 0.79 0.79 0.79 0.78 0.77 0.76 스웨덴 덴마크 아일랜드 노르웨이 네덜란드 홍콩 핀란드 • 정보기술(IT) 이용의 선진도를 평가한 2003년 “디지털접근 지수(DAI)”에서 한국이 0.81의 평점을 얻어 조사대상 178개국 중 4위 차지(2003. 11.19) O 스웨덴이 0.85로 1위, 덴마크가 0.83으로 2위, 아일랜드가 0.82로 3위 순위
13 한국 • GDP 대비 IT산업 부가가치 비중 (단위:%) 16 16 14.8 14 12 10.2 10 10.7 10.2 10 10.1 8 6 4 2 0 OECD 아일랜드 핀란드 영국 스웨덴 뉴질랜드 영국 평균 GDP 대비 IT 산업의 비중은 2000년 기준 약 13.0%로 추정되며, 이는 아일랜드(16%), 핀란드(15%)에 이어 3위에 해당함(OECD, 2003)
52.9 한국 • IT 산업 경쟁력 평가 결과 70 65 70 59 60 55 52.9 49 48 50 40 30 20 10 0 미국 핀란드 아일랜드 스웨덴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O 종합평가 결과, 국내 IT 산업은 OECD 국가 중 6위에 해당하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OECD, 2002년)
2.3 한국 • 전자정부 준비지수 3.5 3.11 3 2.6 2.59 2.58 2.5 2.52 2.52 2 1.5 1 0.5 0 미국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캐나다 영국 유엔사무국 공공경제행정국(UNDPEPA)과 미국 공공행정학회 (ASPA)의 공동 조사 발표에서 한국은 2.3으로 13위 차지함 (한겨레, 10월13일)
붙임1. 참여정부 출범 (2월 25일) • 2003년 2월에 출범한 참여정부는 그 어느 정부보다 인터넷과 디지털사회에 관심이 높음 O 국정지표로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IT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함 • 참여정부의 IT부문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조사 결과 • 조사개요 o 조사기간 : 2003.3.4~3.12 o 조사대상 : 서비스, 기기, S/W 매출비중 940 주요업체 o 조사내용 : 신정부(참여정부)에 바라는 IT부문 중점 추진과제
붙임2. 전세계 SARS 강타 (4월) • 중국에서 시작한 SARS는 전세계에 파급되어 세계경제에 많은 영향을 끼침 O IT부문에서는 영향없음이 44.6%, 수출관련사업이 32,5%, 내수시장침체가 13.3%순으로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조사됨 기타 : 수주불안정, 원자재조달 어려움, 중국지역 공장가동 어려움, 거래지연 등 • 조사개요 o 조사기간 : 2003.5.2~5.15 o 조사대상 : 서비스, 기기, S/W 매출비중 940 주요업체 o 조사내용 : 국내IT기업의 SARS의 파급현상
매우 기여할 것이다 18.7% 붙임3. 9대 IT신성장 동력 출범 (8월) • 참여정부는 한국사회의 10년 후 먹거리 산업을 발굴하여 집중 육성할 목적으로 정통부, 산자부, 문광부, 과기부 등 관련부처에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여 추진계획을 발표함 O 정통부에서는 9대산업을 미래 핵심산업으로 선정하여 집중 육성할 계획임 • 9대 IT신성장 동력에 대한 기업체의 의견 수렴 • 조사개요 o 조사기간 : 2003.9.1~9.8 o 조사대상 : 서비스, 기기, S/W 매출비중 940 주요업체 o 조사내용 : 국내IT기업의 SARS의 파급현상
붙임4. IT기업 해외 진출 러시 • 내수부진, 국내경기 불안정성 증가 등의 요인에 의해 그 타결책의 하나로 중국 등 해외로 진출하려는 움직임이 눈에 띄게 나타남 O 그 중 중국에 대한 관심이 어느 해보다 높게 나타남 • 조사개요 o 조사기간 : 2003.4.1~4.10 o 조사대상 : 서비스, 기기, S/W 매출비중 940 주요업체 o 조사내용 : 국내 IT기업의 해외진출시 유망국가 • 조사개요 o 조사기간 : 2003.11.3~11.12 o 조사대상 : 서비스, 기기, S/W 매출비중 940 주요업체 o 조사내용 : 국내 IT기업의 중국진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