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180 Views
2010 년 철강재 수급전망. 2009. 11 한국철강협회. < 목 차 >. 국내외 경제 전망 세계 철강수요 철강 수요산업 동향 및 전망 국내 조강생산 전망 2009 년 철강재 수급실적 ( 추정 ) 2010 년 철강재 수급전망 - 주요 품목별 전망 7. 종 합. 1. 국내외 경제전망. 세계 경제성장률 : -1.7%(’09) → 3.4%(’10) (OECD, ’09. 11)
E N D
2010년 철강재 수급전망 2009. 11 한국철강협회
< 목 차 > • 국내외 경제 전망 • 세계 철강수요 • 철강 수요산업 동향 및 전망 • 국내 조강생산 전망 • 2009년 철강재 수급실적(추정) • 2010년 철강재 수급전망 - 주요 품목별 전망 7. 종 합
1. 국내외 경제전망 • 세계 경제성장률 : -1.7%(’09) → 3.4%(’10) (OECD, ’09. 11) • OECD, 세계 경제성장률회복세 예상되나가계부채 조정 지속 및 확장적 거시정책종료에 따라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전망되나 불확실성 상존 • 미국/유럽 : ’10년에도 재정부양책이 남아 있고 금리도 낮아 성장추세 지속 전망.일본은 최근 디플레이션 공식 선언 및 엔高 추세 등이 악재 작용 예상 • 중국/인도 : 내수 성장 지속 및 정부의 부양책 지속으로 高성장 지속 전망 세계 주요 국가별 경제성장률 (%)
국내 경제성장률 : 0.2%(’09) → 5.5%(’09)로 급속 회복 전망(KDI, ’09.11) • 민간소비 : 환율, 소득, 고용상황 등 전반적인 경제여건 개선과 함께 5% 내외 회복 • 설비투자 : 세계경제 회복 및 환율안정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로 큰 폭 개선 전망 • 건설투자 : 공공부문은 유지, 민간부문 건설투자 부진 완화로 전년수준 예상 → 세계경제 불안, 소비 및 투자의 더딘 회복, 환율 등 불확실성 상존 국내 경제지표 전망 국내 경제성장률(%) (단위 : %) 자료 : KDI(’09. 11)
(-1.4%) (9.2%) (-8.6%) 백만 톤 (5.0%) (18.8%) (8.5%) 백만 톤 2. 세계 철강 수요 • 세계 강재수요 : 11.04억톤(’09) → 12.06억톤(’10)(전년비 9.2%↑/ WSA, ’09. 10) • 북미, 유럽 등 선진국 및 중동 지역의 비교적 높은 회복세 전망 • 반면, 중국은수출 둔화 및 전년의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세 둔화 전망 * ’09년 수요, 중국의 급증에 힘입어 4월 전망치(10.2억 톤) 대비 8천만 톤 상향 주요 지역별 수요 전망 세계 및 중국 수요 추이 자료원 : WSA(’09. 10)
3. 철강 수요산업 동향 및 전망 • 조선(건조물량) 제외한 대부분의 수요산업 생산활동 회복 전망 • 건 설 : ’09년 공공부문 중심의 수주증가 실적이 ’10년 건설투자로 이어지며 증가세 지속 전망► 토목투자는 ’09년 수준 유지, 건축투자도 미분양 적체 완만한 해소 등 회복 예상 • 자 동 차 : 경기회복 따른 국내외 소비심리 상승, 국산차 품질/브랜드가치 상승 따른 내수/수출 증가, 380만대 생산 전망 • 조 선 : 조선경기 부진에 따른 계약취소/인도지연 등으로 건조량 10.7% 감소한 1,250만CGT► ‘09년 대비세계 신조선 발주 증가 전망 불구, 본격 회복에는 다소 시일 소요 예상 • 일반기계 : 국내 설비투자 회복 따른 내수 증가 및 ’09년 하반기 이후 수출시장 점유율 상승 지속 • 가 전 : 프리미엄 가전제품 중심으로 증가 (단, 해외생산 증가 지속은 수출증가 제약 요인) 수요산업별 생산활동 전망 (%)
4. 국내 조강생산 전망 • 고로 신규가동 및 합리화, 전기로 가동률 향상 등으로 전년비 17.3% 증가한5,746만톤 전망 • 전 로 : 포스코의 신제강 가동 및 현대제철 신규 고로 가동으로 19.2% ↑ • 전기로 : 포스코(하이밀), 동부제철 및 한국특수형강등의 가동률 향상, 함양제강 신규 가동(50만톤, ’10년 6월정상가동 예상) 등으로 14.6% ↑ → 2007년 이후 고로 생산 비중 확대 (단위 : 천톤, 전년비 %)
< 주요 설비능력 변동 > • 제강능력 : 현대제철 고로 및 포스코 신제강 가동, 함양제강(’09.12) 전기로 신설 등에 따른 능력 증강 • 신규가동 : 포스코 후판(광양), 현대제철 후판(’09.12) 설비 증가 • 합 리 화 : 포스코 포항 1제강 신예화 등
5. 2009년 철강재 수급 실적 (추정) • 명목소비 : 경기회복 부진으로 수요산업 생산활동이 침체, 21.8% 감소(45.8백만톤) • 수 출 : 미국向 반감 등 선진국으로의 수출 급감 불구, 중국/인도/중동向 증가로 전년비 2.7% 감소 • 생 산 : 생산능력 증가 불구, 국내외 수요감소 따른 생산조정 등 영향으로 11% 감소 • 수 입 : 국내 수요부진 심화 반면, 생산성 향상 등 공급 증가로 큰 폭 감소 기록 (환율하락 영향으로 ’09. 10월 이후 증가세) (단위 : 천톤, 전년비 %) 주 : 수입은 차공정용 핫코일 / 반제품 포함
6. 2010년 철강재 수급 전망 • 전반적인 수급상황 개선 예상되나, 경기회복 불확실성 상존, 환율 등 무역환경 변동가능성 내재 등이 변수로 작용 예상 • 명목소비 : 건설경기 소폭 개선, 조선을 제외한 제조업 회복으로 12.2% 증가(51.4백만톤) (’08년도의 87% 수준) • 수 출 : 글로벌 경제 회복에 따른 전반적인 수출수요 회복, 주요 업체의 해외 공급망 확충 등이 수출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5.9% 증가(21.4백만톤) < 수출 전망 > < 명목소비 전망 >
생산 : 경기회복 따른 완만한 수요증가 및 신증설 설비의 본격가동으로 ’08년도 수준에 근접 예상 (63.6백만톤) • 수입 : 전년의 기저효과 및 중국의 수출여력 증대에 따른 저가 수입재 유입이 증가할 것 으로 예상되나, 신설비 가동/생산성 향상 등에 따라 국내공급이 증가, 반제품 및HR 등의 수입대체 효과 예상 (2.8%↓ 전망) < 수입 전망 > < 생산 전망 >
7. 종 합 • 2010년 국내외 경제, 불확실 요인 불구 완만한 회복 전망 - 미국의 고용불안, 일본의 디플레이션/엔고 및 주요 선진국 금리인상 가능성 등 불안요인도 있으나, 주요 전망기관들이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수정하고 있고, - 국내경제도 유가, 환율 등이 변수로 작용하겠지만 4%대~5% 중반의 비교적 높은 성장예상 • 국내 철강재 생산/소비, 경제상황 등 환경 개선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전년비 10%대 증가 전망 - 국제철강협회, WSD 등 주요 기관, 글로벌경제 회복을 바탕으로 세계 철강생산 및 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WSA 9.2%↑, WSD 6.8%↑) - 국내 철강재 명목소비는 자동차, 기계 등 제조업의 생산활동 확대로 전년비 12.2% 증가한 51.4백만 톤, 수출도 해외 공급기지 확충 등에 힘입어 5.9% 증가한 21.4백만 톤이 전망되며, - 국내 설비능력 확충에 힘입어 생산이 11.5% 증가한 63.6백만 톤, 수입은 2.8% 감소한 19.7백만 톤이 전망됨. 다만, 국내공급 증가에 따른 국내경쟁 심화와 일본, 중국의 적극적 수출마케팅 정책 등으로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우려가 큼 ⇒ 국내 철강재 수급상황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실질적 회복이 아닌 전년도 부진에 대한 기저효과에 의한 부분이 크므로 대내외 불안요인 감안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