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612 Views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의 신경해부학 연구 :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Functional Neuroanatomical Study of Inhibitory Response-Control: Activation and Neurochemical PET Brain Imaging. 연구책임자 : 김상은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 정상 비정상 (ADHD, OCD, 약물중독 , 치매 ). Neuroanatomical mapping
E N D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의 신경해부학 연구: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Functional Neuroanatomical Study of Inhibitory Response-Control: Activation and Neurochemical PET Brain Imaging 연구책임자: 김상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 정상 비정상(ADHD, OCD, 약물중독, 치매) Neuroanatomical mapping 15O-Water PET, FDG PET Tasks Neuropsychological tests Behavioral study Neurochemical mapping Dopamine Acetylcholine GABA 처치효과(methylphenidate, SSRI, detoxification) • 억제적 반응통제의 신경해부학적 회로 규명 • 억제적 반응통제의 신경화학적 기전 규명 • 인지신경기전의 신경화학적 해석 • 신개념의 억제적 반응통제 인지모델 개발 • (신경해부학적-신경화학적 통합 인지모델) • 고차기능 응용시스템 개발을 위한 과학적 기반 구축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의 신경해부학적 회로 탐색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의 신경화학적 회로 탐색 ADHD 스크리닝 위한 CAARS 표준화 작업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 관련 행동연구 뇌 포도당 대사 연구 (FDG PET) PET도파민 신경회로 탐구 ([11C]Raclopride ) ADHD OCD FTLD • 억제적 반응통제의 신경해부학적 회로 규명 • 억제적 반응통제의 신경화학적 기전 규명
성인 ADHD의 스크리닝을 위한 CAARS 표준화 작업 • ADHD가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국한되는 장애가 아니라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만 • 성적인 장애라는 증거들이 축적되어 왔음. • ADH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들에서 ADHD 환자에게서 도파민의 활동 저 • 하나 전두엽의 이상이 관찰되고 있음. • 도파민 활동의 저하가 ADHD의 원인과 관련될 것이라는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음. • ADHD의 원인을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 장애가 만성적인 경과를 밟을 가 • 능성은 크고 근본적인 정신병리가 동일하다고 할지라도, 외현적으로 발현되는 증 • 상은 성인과 아동의 경우에 다르게 나타날 것임. • 아동기 ADHD의 특징적인 증상을 제시하고 있는 DSM Ⅳ의 진단준거만으로 성인 • AHDH를 진단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할 수 없음.
대상/방법/결과 • 대상 :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및 성인 700여명 • -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 - Spielberger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 -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CAARS) • 평가 규준 : DSM-symptom이 총점 65T 이상이면서 다음 중 하나인 경우 • - 하위 점수 중 하나가 70T이상 경우 • - 두개의 하위 점수가 모두 65T이상인 경우 • 이상의 경우 임상적 규준에서 ADHD로 진단. • 결과 : 총 32명을 ADHD군으로 모집. • 이중 구조화된 면접을 통하여 ADHD로 확진 된 15명이 연구에 참여함.
성인 ADHD 집단과 정상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 * P< .05 ** P < .01 *** P <. 001
ADHD 및 OCD 환자에서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의 평가 • 기존의 전통적 CPT 과제는 난이도가 낮고 억제기전보다는 반응의 기전에 • 주의를 주고 있음. • 억제 기전에 초점을 둔 CPT 과제와 난이도를 조절한 Go-NoGo과제를 개발 • 함. • 정상군과 CAARS 표준화를 위한 대단위 스크리닝 검사에서 선별된 비임상 • 적 ADHD 군에 대하여 3가지 억제적 반응 통제 기능 평가 과제와 전두엽 기 • 능 검사 실시.
전두엽 기능 평가 과제 Color Trails Test Stroop Color and Word Test 빨강 파랑 초록노랑 빨강파랑 초록 노랑 ㄱ 4 1 8 ㄷ 2 ㄴ 7 3 ㅁ ㄹ 6 ㅂ 5 단어의 색을 명명하는 과제 : 자동화된 정신과정(읽기)에 대한 적극적 억제적 통제가 요구되는 과제 일련의 순서에 의하여 숫자와 철자를 연결하는 과제: 두개의 자극 종류를 연결하는데 있어 적절한 통제 절차가 요구되는 과제
Color Trails Test Stroop Color and Word Test • 전두엽 기능을 의미하는 stroop_interference 점수에서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 • 은 점수를 얻음. 이는 환자군에서 전두엽 집행 기능의 저하를 의미함. • 두 종류의 trail making 과제에서 특히 강박증 환자의 과제 수행 시간이 현저히 길어져 • 있음을 알 수 있음. • ADHD환자의 경우 오히려 정상에 비하여 저하되거나 같은 수행 시간을 보이고 있음. • 이는 환자 집단에서 과제 수행진행에 있어 적절한 조정능력의 결손가능성을 보이고 있음.
Go-NoGo task 1 반응 반응억제 반응 Go-NoGo task 2 반응 반응 반응 반응억제 반응 억제적 CPT task 반응 반응 반응억제 반응 반응 반응억제 반응 반응억제 반응 통제적 반응 억제 기능 평가를 위한 행동 과제
Go-NoGo task Task 1 • 정반응율은 ADHD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음. • OCD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정반응율이 다소 낮았음. • Commission error의 반응시간이 환자군에서 정상보다 길었음.
Go-NoGo task Task 2 • 정반응율은 ADHD환자군이 정상에 비하여 낮았음. •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오히려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음. • 정상군은 난이도가 상승되면 정확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좀더 신중하게 반응하려는 의도를 • 보인다는 것을 의미함.
Modified CPT task • 성인 ADHD 집단은 검사 초기 시간 경과에 따라 누락 오류가 증가한 반면, 정상 집단은 시 • 간 경과에 따라 수행이 안정되는 패턴 보임. • 성인 ADHD 집단은 ISI가 빠른 조건에서 더 많은 오류 보임.
요약 및 결론 • 전두엽 기능 검사와 억제적 기능의 평가에서 정상과 환자군이 수행도에 •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음. • 과제의 난이도가 쉬운 경우보다 어려운 경우에 정상성인과 환자군의 차이 • 를 더 잘 볼 수 있었음. • 정상군에 있어서 과제 진행에 대한 수행 안정 효과가 있는 반면 ADHD에 • 서 이러한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음. • 신경 인지과제를 통하여, 환자군에서 전두엽 기능의 저하 또는 비적절성 • 을 확인할 수 있었음.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 이상환자에서 FDG PET 연구 ADHD NC < ADHD NC > ADHD P <.005 uncorrected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 이상환자에서 FDG PET 연구 OCD NC < OCD NC > OCD P <.005 uncorrected
NC >OCD NC >ADHD NC < OCD NC < ADHD 정상 대조군 vs ADHD 정상 대조군 vs OCD
요약 및 결론 • ADHD는 정상에 비하여 inferior frontal 영역과 middle frontal 영역의 대 • 사 증가를 보임. • 반면 parahippocampal gyrus를 포함한 medial temporal 영역의 대사가 • 저하되었음. • 한편 OCD에서는 우측 superior temporal gyrus, 죄측 superior frontal • gyrus, 좌측 middle frontal gyrus, 좌측 inferior occipital gyrus의 대사증 • 가가 보였음. • 반면 양측 inferior temporal gyrus, 우측 postcentral area, 좌측 anterior • cingulate gyrus, 좌측 orbitofrontal gyrus의 대사가 저하되었음.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 이상환자에서 FDG PET 연구 퇴행성뇌질환 • 전두측두엽치매는 전두엽과 측두엽의 손상을 보임. • 전두엽은 집행 기능 및 억제적 반응통제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전두엽 기능 저하를 보이는 전두측두엽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뇌 포도당대사 • 의 변화를 평가하였음.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Prototypic neurobehavioral syndromes • Frontotemporal dementia (FTD) • - Impairment in social conduct and personality change • Frontotemporal dementia with motor neuron disease (FTD + MND) • - Upper or lower motor neuron involvement • Semantic dementia (SD) • - Fluent speech with impaired naming and comprehension •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PA) • - Nonfluent speech with agrammatism and anomia
R L 100 50 0 Frequency (%) Frontal executive Personality change Visuospatial Spontaneous speech Comprehension NC > FTD p< .0001 uncorrected, k=100
100 L R 50 0 Frequency (%) Frontal executive Personality change Visuospatial Spontaneous speech Motor neuron involvement Comprehension NC > MND P< .0001 uncorrected, k=100
100 L R 50 0 Frequency (%) Frontal executive Personality change Visuospatial Spontaneous speech Comprehension NC > SD P< .0001 uncorrected, k=100
100 L R 50 0 Frequency (%) Frontal executive Personality change Visuospatial Spontaneous speech Comprehension NC > PA P< .005 uncorrected, k=100
SUMMARY and CONCLUSION • Different metabolic patterns between FTLD and AD • Distinct metabolic patterns between clinical syndromes of FTLD • Good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patterns and clinical symptoms of FTLD • These data provide a biochemical basis of clinical classification of FTLD. • FDG PET may help evaluate and classify patients with FTLD.